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3

        1.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2.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levels in self-directed learning (SDL) and learning engagement among 158 students at a college in Incheon, based on gender, video lecture usage, and English achievement level,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a Google surve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group differences.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ll subcomponents of SDL whil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nglish achievement, learning ac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between students who used video lectures and those who did not, suggesting that a weak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can positively influence learning motivation. Although there was a clear performance gap between the high and low achievement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any subcomponent of SDL or learning engagement. Notably, approximately 70% of female student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voluntarily utilized video lecture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eviewing, reviewing, and clarifying contents, demonstrating active SDL. Qualitative interview data further supported these findings, providing concrete examples of SDL and learning engagement in practice.
        5,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