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인지적 허약(cognitive frailty) 평가도구에 대한 동향을 살피고 특성을 비교하여 평가하 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 평가도구를 선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인지적 허약에 대한 합의가 제공된 2013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Web of Science, PubMed, Embase를 통해서 cognitive frailty OR ( cognitive impairment OR cognitive decline ) AND ( frailty OR frail ) AND ( measurement OR assessment OR screening OR evaluation )를 검색했고 최종적 으로 48개의 문헌이 수집되었다. 해당 문헌들은 PRISMA 2020을 통해서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결과 : 인지적 허약과 관련된 연구는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연구를 많이 진행 하고 있다. 신체적 허약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Fried frailty index가 63.27%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한 5가지 항목 FRAIL 평가도구가 16.33%로 많이 이용되었다.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MMSE가 42.31%, CDR이 17.31%, MoCA와 NCGG-FAT이 11.54%로 많 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지적 허약 평가도구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평가도구는 질 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과정과 연구의 질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해당 연구는 앞으로의 임상 또는 연구에 서 대상자를 선정할 때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평가 도구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동일노동 동일임금과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객관적이고 타당한 직무평가 도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기존의 직무평가 도구로 글로벌 컨설팅 사들이 제공하는 범용 직무평가 도구가 활용되고 있지만 비용 측면이나 평가 항목과 가중치에서의 산업 및 조직의 직무 구조 및 특수성 반영의 필요성측면에서 현실적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사 간 참여의 균형과 협력적으로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타당하고 수용성 높은 직무평가 도구를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직무평가 도구 개발 과정은 크게 6단계로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로 수행해야 할 주요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조직, 산업의 직무구조와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직무평가 도구를 구성하기 위한 과정과 다양하고 차별적인 항목과 가중치로 구성된 산업별 직무평가 도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무평가 도구 방법론을 보건의료, 철강, 은행, 호텔 산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직무평가 도구가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 항목 및 가중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도출된 직무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직군 분류, 직무급 설계 등 직무중심 인사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 number of screen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human balance capability. Many of them were designed to identify the elderly with falling risk. Three different screening tools, which have been well used many clinical fiel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alance capability in facilities maintenance workers in korea.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le and female when evaluated with three different screening tool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age groups irrespective of gender when evaluated with three different screening tools. The results of three different screening tools in korea showed poor values compared with previous result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facilities maintenance workers faced more critical falling risk in korea.
Supposing that somatotype evaluation results would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group with less amounts of exercises and the special group with intensive exercises for three to four times a day,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mutual 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determined by somatotype evaluation tools such as visually calculated index(VCI), Rohrer's Index(RI) and Body Mass Index(BMI). The public, taekwondo players and judo players groups were com˗ posed of fifty persons, taekwondo players and judo players passed through VCI determination, respectively. Their height and weight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somatotype evaluation tools. Comparison of somatotype dispersion of RI and VCI showed that most women were determined by VCI as lean type but were deter˗ mined by RI as normal type. And that women were determined by VCI as fat type but were determined by RI as normal type. Therefore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CI and RI. Comparison of somatotype dispersion of VCI and BMI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wer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by VCI rather than by BMI. Comparison of somatotype dispersion of RI and BMI showed that men were less determined by BMI as lean type compared with women; both men and women less determined by BMI rather than by RI as normal type; and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were more determined by BMI as fat type but men were more determined by BMI rather than by RI as fat type. Total somatotype consistency by tools showed that VCI has the greatest possibility of determining the public group, compared with other groups as lean type and that the consistency of the three tools were relatively higher for the taekwondo players and judo players groups, compared with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line of process capability evaluation and to apply this guideline improving the quality of products, especially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is study we deal in the concept of process capability evaluation, the calculation of process capability index, and the application of a case study. Man must compare the state of process with the standards in evaluating of the process capability. Control chart can be used as a yardstick for judgement for the long term period and the distribution shape of histogram for the short term period. Man should regard to the significant figure by the calculation of process capability index.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라쉬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외래환자로 169명이었다. 조사방법은 사전연구에서 항목의 중요도로 수집된 23개의 일상생활수행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자료는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작업치료사가 평가한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을 하였다.
결과 : 7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 16개 항목이 적절한 항목으로 채택되었다.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32~6.2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로짓점수+6.32)/(6.32+6.23)100" 이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기위한 항목을 난이도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항목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하여 개발된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도구이다.
목적 :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 5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뇌졸중 입원환자 308명을 대상으로,작업치료사가 평가한 6개 영역의 23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하였다.
결과 : 3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남은 20개 항목의 난이도 순서를 배열하였다.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77~6.7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 =(로짓점+6.77)/ (6.77+6.73) 100" 이었다.평가항목의 난이도는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 항목 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항목의 적합도와 난이도에 관한 결과제시로 개발되었으며,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평가도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