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ly, the two major aspects of road design have been (i) The design principles – like AASHTO 1993 Empirical Design or lately, Mechanistic Empirical Pavement Design Method (MEPDM) (ii) The materials & technologies of pavement construction The fundamental design principles have not undergone major changes, however, the advancement in materials and technologies have improved tremendously over last few decades and this makes it necessary to revisit some of the conventional concepts in road design. The new technology now challenges the conventional wisdom and has brought us to the threshold of an era of all new sustainable green roads of tomorrow. AASHTO 1993 Empirical Pavement Design is the basis for pavement design today; in most parts of the world.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re is a movement towards Mechanistic Empirical Pavement Design Guideline (MEPDG), but the movement is slow and gradual as this approach is expensive and heavily dependent on software programs due to its inherent computational complexities. The concept of Structural Number and Layer Coefficients of pavement layers under AASHTO 1993 Empirical Pavement Design was derived from AASHO road test carried out in Ottawa, Illinois between 1958 & 1960. The conventional Layer Coefficient value of 0.44 which is used today was recommended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available at that time. But, in view of the new technology available now, this needs to be revisited. Secondly, AASHTO 1993 Empirical Pavement Design provides for assuming certain values for Drainage Coefficients, ranging between 0.4 to 1.4, based on certain criteria. It is quite common to assume a value of 1 for drainage coefficient, in most parts of the world. Now, with the advent of new nanotechnology for waterproofing of road lay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higher values for drainage coefficients. The new nanotechnology for soil stabilization can make subgrade soils well bonded, strong and flexible, allowing the designer to assume higher values of Resilient Moduli in the AASHTO 1993 design equation, which may bring the required structural number down and allow a lighter design of cross-section of structural layers on top of the subgrade. Indicative calculations for a typical 100 MSA, two lane (10 m wide) highway show that the new technology, while remaining within the AASHTO 1993 design guidelines, enables designing a pavement that is 3 times better (it will now be a 300 MSA pavement instead of 100 MSA) with a cost reduction of about USD 114000 per km. This paper takes an overview of latest trends in USA regarding pavement design approaches. It also puts forth, the opportunities presented to a pavement designer, by the new nanotechnology and proposes a new design approach, for optimized pavement design - green, sustainable & economical; while remaining within the AASHTO 1993 guidelines or MEPDG.
18,000 TEU 급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그린쉽 설계에 관한 연구로 기본설계와 에너지 효율 향상 관점에서 선형 최적화 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환경적 측면 및 법규 등을 고려하여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둘째, 기본설계 및 성능 관점에서 단축선형과 쌍축선형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셋째, 설계 흘수 및 속도에서 저항과 추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축 및 쌍축선의 선형 최적화를 CFD와 모형시험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최적 선형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운항조건을 고려한 추정된 운항 흘수와 속도에서 CFD를 통해 최적화된 최종 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형컨테이너 운반선의 그린쉽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선형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설계 흘수와 실제 운항조건 및 연료 소모량을 고려한 총 에너지 효율식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단축 및 상축 선형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조명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야간 보행자의 보행안전 확보를 위해 대로변에 조성된 완충녹지 공간을 고려한 조명기구 배치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효율적 경관조명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로조명기준에 부합하는 가로 조명환경을 구현하고 일정 수준 성장이 이루어진 가로수를 배치하여 가로수에 의한 조명감소환경을 구현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배광이 제어되지 않은 보조 조명기구를 가로등 하단부와 보행로와 완충녹지경계에 위치시켜 설치 위치에 따른 조도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에서 보행로의 조명환경 개선 효과와 동시에완충녹지의 조명환경 역시 크게 개선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조 조명기구를 가로등 간 보행로와 완충녹지의 경계에설치할 경우 배광이 제어되지 않은 조명기구보다 배광이 적절히 제어된 조명기구의 개선효과가 조도의 측면에서 우수함을알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야간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기 위해 조명설계와 완충녹지 설계 시 경관조명 시뮬레이션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화의 영역확대와 복합적이고 다 학문적 관점으로써 관람자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실내 공간디자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실내 벽면녹화의 사례를 자극물로 선정하여 관람자 선호시점에 대한 요인의 상호 상관 관계성을 구체적이고 개별적 특성으로 추출해냄으로써 폭 넓게 확산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영역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관람자들은 자극물에 대해 '쾌적한, 멋진, 풍요로운'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형용사 이미지 언어는 '시원한, 깔끔한, 자연스러운, 편안한, 아름다운' 이다. 자극물에 대한 선호디자인 요소의 공통되는 중요도는 색채>구성요소>이미지 형태 식물특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수준별 요소는 대비조>가구>모던 중심형 넝쿨성 관엽식물 순으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정량적 측정에 관련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방향제시의 기회를 갖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한국형 온실 표준설계도 및 Greenhouse Structure Design Manual(1999)에 의거하여 최대설계 하중을 받는 와이드스팬형파 2-bay벤로형 온실시스템에 대하여 해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부구조물을 라멘형식으로 단순화한 구조형식에 BOX형 및 I형 단면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형 유리용실 표준도를 활용하여 라멘형식의 단순화된 와이드스팬형 및 2-bay 온실구조시스템의 안전성 평가결과 기존의 트러스 등의 보강재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안전성확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리온실 표준도를 라멘형식으로 단순화하고 Greenhouse Structure Design Manual (1999)이 제안하고 있는 최대하중에 대해 경량I형 단면 부재를 적용할 경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인 경량 I형 단면 3가지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검토조건에 부합하는 최소 기둥단면(H200×175×3.2×6)을 제시하고 있다. 와이드스팬형 및 벤로형 온실형식의 안전성평가에서 발생되는 처짐은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발생되는 응력이 보다 민감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검토된 온실표준단변형식이 전체적인 구조변형에는 안전하나 응력발생이 일부부재에서 취약함으로 변단면 등을 활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온실의 채광량, 시공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벤로형 구조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지붕높이의 변화를 통하여 보다 경제적인 형식이 개발가능하며, 3-bay 벤로형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ed and actual corporate image in the market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green-oriented corporate identity (CI) visual design as a useful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how green-oriented CI visual design can effectively convey corporate image to consumers. The methods of research used to achieve this aim were case studies and questionnaire surveys. In regard to the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consumers'perceived favourable corporate image and companies' expectation about corporate image was found.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green-oriented visual identity (VI) design can improve corporate image. In turn, the gap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perception of corporate image can be decreased through green-oriented design. Based on these results, a method of effective development for green-oriented VI design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xamples of green infrastructure presen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as a part of basic research to assess hub green spaces in cities. With the specific goal of green infrasturcture in mind, the study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humanities’, ‘hydrology’, ‘ec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this we assessed the elements of planning for the target site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With regard to the aspect of humanities, planning urban hub green spaces wa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life’ that people expect to enjoy at parks or other green areas in general. Rather than focusing on direct and visible benefits, which might come from green infrastructure’s technological elements, people hoped that parks and green areas have macroscopic values. For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cologically manages stormwater’ was applied the most in planning hub green spaces in cities, and it mainly took the form of technological elements or factors. Third, the planning elements pertaining to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a combination of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elements that ‘reintroduces native plants’ and ‘habitat for wildlife’. As for the plans to instill eco-friendly aspects, the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on air, climate, weather, heat reaction, soil, energy efficiency, and use and application of resources is importan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measure the potential quantitative benefits of ‘reusing or recycling materials’, ‘reducing urban heat’, and ‘cooling air tempera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for the assessment of urban hub green space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green design introducing nature into the commercial place is viewed how it gives not onl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lues to the customers but also economic value to commercial business self. Because economic value is to be difficult, complex and inaccurate in figu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economic values of introduction of naturality by conversions of brand valu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ustomers give economic benefits to the brand attitude and brand royalty when they were conscious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urality in family restaurant and how customers expressed brand loyalty by revisits and recommended to others. For the analogical interpretation, it were clarified with three hypotheses. The first hypothesis was visual factors will have positive effects to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and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among customer evaluation factors, introductions of naturality will affect more to th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an visual factors. The third hypothesis was family restaurants of natural stlye would have introduced green design factors which were represented by plants and natur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was verified that visual factor was influenced for positive effect on higher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of customers. The second hypothesis was investigated that recognition of natural elements were influenced for positive effect on higher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of customers. Thirdly, the restaurants of natural stlye were explained by natural elements factors and has more positive relations to th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an other type for introducing plants. Finally, this study was propsed that introducing natural plants in commercial family restaurant was to estimate brand asset values and to have motive to practice green design with natural elements, speciality natural plants.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도시지역에서는 국지적인 폭우의 발생건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국지성 폭우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해의 종류가 다양해 질 뿐만 아니라 재해 피해 규모도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는 펌프장, 하수도 등과 같은 방재시설이 폭우재해의 대응에 적극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방재 시설만으로는 도시 전체의 방재성능을 향상 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도시지역의 공원녹지와 같은 도시계획시설에 방재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부담시켜 효과적인 도시방재가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실제로도 가상유역에 공원녹지의 우수유출저감 모의분석을 한 결과, 공원녹지에 저류기능을 갖추었을 때 약 15%의 저감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경우 전체면적의 약 29%가 공원녹지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방재성능 향상에 활용 할 경우, 기존 방재시설 이상의 재해 저감적응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국토해양부 훈령으로 제정된 공원녹지 기본계획 수립지침만 있을 뿐 우수유출저감을 위한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공원녹지 설계 지침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우재해 저감·적응 기능을 위한 공원녹지를 설계 할 수 있는 자습서 형식의 매뉴얼을 마련하고자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공원녹지 설계 매뉴얼 및 방재관련 법제도를 검토를 통하여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해를 돕고자 실제 대상지에 적용한 예시를 매뉴얼의 설계순서에 맞춰 작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유형을 신도시형, 리모델링형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매뉴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공원녹지를 설계할 수 있는 하나의 매뉴얼로써, 실무자에게 기준적인 지침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study estimates the non-stationary design flow in the Upper Green River Basin (UGRB), WYby applying a moving window with the streamflow projections under A2, A1B, and B1 scenarios.The reliable estimates of design flow are necessary for the water management and planning andthe operation of infrastructure to reduce the risk of economic loss, the environmental damage,and the loss of life.The design flow is generally estimated by the flood frequency analysis under the stationaryassumption, which the historical flood distribution is similar to the future flooddistribution. However, nature is not stationary. This study considers the non-stationarity ofthe future streamflow in determining the design flow.To estimate the design flow, this study uses the 112 bias-corrected spatially downscaled(BCSD)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projections of the 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 (WCRP)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3 (CMIP3) datasets. Furthermore, this study usesthe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 (VIC) model to simulate the streamflow projections underthree climate scenarios (A2, A1B, and B1). The non-stationary design flows for each year usinga moving window are estimated for 2, 5, 10, 20, 30, 50, and 100 year return periods using theGeneral Extreme values distribution.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Upper Green River Basin in Wyoming. Moreover, thisstudy presents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design flow.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도시지역에서는 폭우재해로 인한 피해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대응에는 하천, 하수도 등 전토적인 방재시설이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나, 기존의 방재시설로 도시의 전체적인 방재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경제적․물리적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공원녹지와 같은 비방재적 도시계획시설에 유출저감기능과 같은 방재성능을 추가하여 일정용량의 재해방지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새로운 도시방재수법이 필요하다. 특히 가상유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우수유출저감 모의분석을 한 결과, 공원녹지에 저류기능을 부가할 경우, 약 15%의 저감효과가 나타났음에 따라 공원녹지가 방재시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우재해 발생 시 재해저감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원녹지의 설계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해외 방재관련 법제도의 검토와 가상유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우수유출저감능력 모의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공원녹지 설계 가이드라인(이하 ‘공원녹지 설계기법’)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공원녹지 설계기법을 실제 공원녹지에 적용하여 시범설계를 함으로써 공원녹지 설계기법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우재해 발생지역에 재해저감적응형 공원녹지를 설계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경관특성평가(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는 지속가능한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찾는데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경관(Rural landscape)평가방법의 잠재성에 초점을 두고 전문가에 의한 쉐필드 그린벨트의 경관가치 평가가 그린벨트 안이나 주변에 사는 거주자들의 의견을 반영했는지를 연구하였다. 쉐필드 그린벨트지역을 대상으로 경관특성평가를 하였고 설문지 조사 결과는 경관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green campus coexisting in human, nature and culture through making the ecological ly stable campus. The 'green campus' has the six design concepts. These are follows; Vivid campus, Blue campus using the water, Eco-campus aimed at green hand, Cultural campus, Progressive campus and Scholarly campus. These concepts are not only made with the independent role but also the in interactive relation. Campus will be changed into the huge biotope or ceo-garden through the green-hand and water system. Because of the various organism(human, trees, insect etc.), campus will be changed in form of the more vivid space. It should be expected thing this design as following points ; First, it will be improved environmental quality in Kook-Min Univ. changed into the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green campus as well. Secondly, it will be energetic campus as a living space for rest and cultural activities. ThirdJy, it will be improved the image of campus and opened to the public. FourthJy, it will be grown the talented man who has both a human nature and a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