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maximize pest control effectiveness has emerged, efforts to put it into practice have continued. To implement IP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to determine the control method by identifying pests and weeds that dama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rops in the field,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level,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cost and effectiveness. Also, damage to host plants caused by increased density of insect pests appears to change plant’s health that key factor for managing crop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pests and the damage to the host plants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insect pests and damage to the host plants for estimating the economic injury level of insect pests on the host plants and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est control decision-making using plant health status.
Pest control treatment was carried out using an unmanned automatic pesticide spraying system that can spray pesticides on crops while moving autonomously to control pests in vegetable greenhou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rol effect on tomato and strawberry on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pests, 85.6% of yellow flower thrips were found in tomatoes and 87.5% in strawberries, and 81.7% (tomato) and 80.6% (strawberry) of greenhouse whitefly. In addition, the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pesticide treatment method showed a control effect of 81.7% of the chemical spraying treatment by manpower and 83.9% of the automatic moving pesticide spraying treatment (F=22.1, p < 0.001). When comparing the control effect between the two treatment sections, there was no significance, but the automatic transfer spraying treatment showed a 2.2% higher effec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praying time of the drug, the automatic unmanned control sprayer had a spraying time of 5 min/10a, which took about 25 min less than the conventional manpower spraying time of 25-30 min/10a.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automatic transfer spraying method could be usefully used for efficient pest control in the facility greenhouse during the peak period of development.
경북 영양지역 고추 비가림하우스 재배지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발생조사는 영양읍, 청기면, 일월면을 중심으로 임의 10개 포장을 선정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총채벌레류는 5월 중순, 6월 중순, 7월 상순∼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걸쳐 총 4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꽃노랑총채벌레가 84.8%로 우점하였다. 총채벌레 피해과율은 조사연도에 따라 0.8~7.3%로 조사되었다. 담배나방 유충에 의한 과실피해 는 7월 상순, 8월 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많이 발생하였다. 진딧물류는 5월 중순~5월 하순, 7월 중순∼8월 하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가루이류는 8월 중순~8월 하순, 9월 하순~10월 상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담배가루이가 98.1%, 온실가루이가 1.9%로 담배가루이가 우점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농약 시설재배 오이에서 잎, 꽃 및 과실을 가해하던 응애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오이긴털가루응애(Tyrophagus neiswanderi)로 동정되었 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분류학상 응애목(Acarina) 가루응애과(Astigmat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는 유백색의 계란형을 띄고 체장은 490.1㎛, 체 폭은 288.1㎛의 매우 작은 응애이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잎, 꽃, 과실에 모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증상은 정식 초기 유묘의 경우 신초가 수축되면서 연노란색으로 탈색이 되고, 심하면 신초가 멎는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오이가 생육을 하는 과정에서 잎이 피해를 받으면 처음에는 오이 잎에 흰색의 반점이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점에 구멍이 나고 찢어진다. 꽃에서도 흰색 반점과 찢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실에서는 어린 과실일 때 피해를 받으면 과실의 비대가 저해되거나 기형과가 나타나며, 과실이 비대하더라도 코르크증상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아스파라거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피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도에서 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총 5개목 16종의 해충이 관찰되었다: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하와이총채벌레(Thrips hawaiiensis),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 줄고운가지나방(Ectropis excellens),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아스파라거스잎벌레(Crioceris quatuordecimpunctata),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그 중에서 파총채벌레는 아스파라거스 전 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었다. 아스파라거스잎벌레와 달팽이류는 봄 수확기에 아스파라거스 순을 가해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아스파라거스 입경기부터 생육기에는 진딧물과 나방류 해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나방류 해충 중에서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등 밤나방과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파라거스 재배에서 해충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In order to achieve the optimized pest control, correct estimation of pest densities is a prerequisite to monitor pest damage and to provide efficient pest management plans. Parameters regarding diffusion (e.g., diffusion constant) and population size (e.g., growth rate) were estimated by using diffusion equation. The time series dispersal data of Whiteflies collected in greenhouse were used for modeling. Cross-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ange and direction of pest population invasion. Sampling theory was further investigated regarding estimation of densities, and population dynamics of Whiteflies were discussed in two dimensions.
A genome project has been launched and aims to sequence total genome of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On this process, several open reading frames (ORFs) have been identifi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one and expres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genes, PTP1 and PTP6. The ORFs of these two genes consist of 900 and 891 bp, respectively. PTP1 and PTP6 are genes of a group of genes that has been implicated as important regulatory components i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by certain viruses. In this work,we studied the cloning and expression patterns of these genes in Plutella xylostella, a lepidopteran host of C. plutellae.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ed the corresponding products of PTP1/6. These PCR products were cloned and expressed using an expression vector pBAD-TOPO, and then over-expressed using an inducer, L-arabinose. Then the purified proteins were confirmed using Western blotting (immunoblotting using V5 antibody) and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s of both proteins were about 40 kDa. Expression of PTP genes were analyzed in the parasitized P. xylostella by realtime RT-PCR, which indicated late expression pattern of both PTPs during parasitization. We are pursuing to elucidate their physiological function in the parasitized host insect.
가지 주요 해충 약제방제 체계 확립을 위하여 아바멕틴 유제와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체계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해충 발생 초기에 시험약제 교호로 7일 간격 2회, 10일 간격 2회, 7일 간격 3회, 10일 간격 3회 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후 28일 까지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는 엽당 0.3~1.8마리, 점박이응애는 엽당 0.0마리로 높은 밀도 억제 효과와 방제지속 효과가 인정되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와 온실가루이는 약제 처리후 밀도억제 효과는 높았으나 약효 지속기간은 꽃노랑총채벌레와 점박이응애보다 짧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가지에서 문제시되는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해서는 발생초기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