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보수 및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량 바닥판은 교통하중과 염화물 침투 등 다양한 유해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지속적인 열화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교량 바닥판 유지보수 의사결정을 위해 비파괴 조사 방법 중 하나인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차량형 다채널 GPR 장비를 통해 취득된 방대한 양의 탐사자료는 해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분석가의 주관이나 숙련도에 따라 해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딥러닝 (Deep Learning) 기반의 GPR 자료해석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 바닥판 상태 평가 작업 효율 향상 을 위해 딥러닝 기반 GPR 자료해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현장자료 예제로는 영동대교 정밀안전진단 과업에서 교량 바닥 판 상태조사를 위해 취득한 GPR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딥러닝 기법 적용 결과를 분석가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예측 성 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반경계조건의 설정이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의 폭발저항성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 기법을 사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반경계조건은 고정조건과 PML(perfectly matcher layer)을 이용한 경계조건의 두 가지로 적용하였으며, 폭발하중은 대상 구조물의 설계하중보다 큰 하중을 사용하여 경계조건의 영향을 명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폭발압력의 분포 및 경로, 구조물에 발생하는 변위, 콘크리트의 파쇄여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응력을 비교․분석하였으며, PML을 적용하였을 때 지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로 인해 구조물 기초부의 변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콘크리트의 파쇄여부, 콘크리트 및 철근에 발생하는 응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구조물의 거동에는 뚜렷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방호시설의 설계를 목적으로 폭발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반경계조건에 고정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안전측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해석시간이 단축되는 이점도 있으므로 이러한 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반경계조건을 고정조건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최근 도심지에서 지중매설관의 구조적 결함에 의한 토사 유실로 인해 지하 공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하 공동을 파악하는데 있어 현장 실험 수행 결과 전기비저항 탐사와 공압콘관입시험이 지반 조건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전기비저항 실험 측정값을 정량화 하여 평균 비저항 값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대형 실험 결과, 평균 비저항 값이 감소할수록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공압콘관입시험 결과, N치가 작을수록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한적인 측정 데이터 수를 토대로 평균 비저항 값과 공압콘관입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을 때, 지반의 지하공동 발생과 관련된 위험 수준을 제한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fishing condition variation of anchovy in the set net fisheries of Anggang Bay, the monthly catch of anchovy was analyzed and examined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2006 to 2010 in 13 different fishing grounds. Anchovy consistently appeared from April to December and reached the production of 840 to 1,424 t (average : 1,228 t), with a big annual variation. However, anchovy production in this area accounts for approximately 75% of the production by set net in Anggang Bay whereas it holds 6.8% of the nationwide production (=18,034 t) by set net. The school of anchovy starts to appear in April at the west mouth of the bay and move north-eastward. Afterward, having three of clockwise turns in the middle of the bay, they scatter to swim into the deep place of the bay and finally go out to turn back to their coming way. These behaviors of anchovy are likely related to thermal fronts as well as distributions of food. The production of anchovy (y, kg) relied greatly on frequencies of effective northeasterly (x1) or northwesterly (x2) wind (≤3.5m/s) which blow between April and June. Their relationships are as follows: y=1086.27+21.499x1-15.16x2 (r=0.901).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the northeasterly wind, which appears in the breeding season of spring, played a role to retard the movement of anchovy school to the eastern sea, while the northwesterly wind inhibits the invasion of anchovy school into the bay.
한국 남서해 연안 해역인 나로도 주변 어장에서 2000년 동계, 춘계, 하계 및 추계에 조사한 해양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이 어장의 해황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나로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동계의 수온, 염분 및 클로로필의 분포 범위는 각각 4.3∼10.˚C, 33.1-34.9psu 0.1-26.2ug/Ω 이었고, 춘계에는 8.1∼13.7˚C, 33.1∼34.3psu, 0.1-24.4ug/Ω이었다. 또한, 하계에는 14.5∼24.2˚C, 30.5∼34.1psu, 0.1∼30.0ug/Ω이었으며, 추계에는 14.8∼18.6˚C, 30.1∼34.0psu, 0.1∼19.1ug/Ω이었다. 2) 수온은 외해보다는 연안에서 더 높았으나, 염분은 연안역에서 낮고 외해에서 높은 정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온과 염분은 동계와 추계에 연직 혼합을 일으키고, 춘계에는 수평적인 분포를 하며, 하계에는 표층과 중층 사이에 수온 약층과 조밀한 염분 분포를 형성하였다. 3) 클로로필의 분포는 연안수에 의해 공급되는 영양염류의 농도에 크게 지배되고 있는 연안역이 외해역보다 높고, 주로 표층보다는 저층에서 클로로필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동계와 추계에 연직분포를 하고, 춘계와 하계에는 수평적인 분포를 하였다. 4) 연안수의 유엽은 어장의 북쪽으로부터 유입되고 외해수의 연안 유입은 소리도의 남쪽 외해측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ceanic condition of fishing groun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sea of Korea,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ship of Yosu university on May, August and November in 1998. Main features in the observation are as follows; 1) the ranges of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and chlorophyll-a were from 14.5℃ to 18.0℃, from 33.5‰ to 34.5‰from 24.0 to 25.5 and from 1.0μg/l in spring (May) from 15.0℃ to 27.5℃, from 0.0‰ 35.0‰9.0 to 26.0 and from 0.5μg/l to 4.0μg/l in summer(August), and from to 21.0˚ 31.0‰, from 22.0 and from 4.0μg/l to 20.0μg/l in autumn(November), respectively, 2) the temperature in the coastal reg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pen ocean while salinity, density and chlorophyll-a were lower, and the convection was identifi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ottom during in spring and autumn, 3) the chlorophyll-a in the this region was varied in each season, being highly distributed offshore Yosu Bay, 4) on evidence of sea water intrusion toward Kumun island was observed.
Temperal and spacial analysis for catches have been drawing up a catch distribution chart and analysing catches and CPUE(Catch Per Unit Effort) using catch data with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to establish a selective method of effective fishing the tuna purse seine fishing ground.The temperature profile section and catch was surveyed to analyse the effect of catch in relation to the fishing ground environment.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atch variation between 1983 and 1984, the catch mainly took place on150˚E, and after that it moved eastward enlarging the range of catch. In the monthly catch variation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the catches mainly happened on 135˚~ 150˚E, and then moved to the gradually westward. However, from July it moved to the South and from October Southeast.2. As to the e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ed object, the pelagic migrating school and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biological objects, the c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 objects was the highest. The c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ed object was high in June, July and November whiles between January and March for the pelagic migrating school.3. SST(Sea Surface Temperature) was around 28~29〈/TEX〉C〈/TEX〉 on the observing line of 137˚E〈/TEX〉 and the catches took place in the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situated on around 5˚~6˚N. SST in the northern summer was 1〈/TEX〉C〈/TEX〉higher than winter and it was about 29~30〈/TEX〉C〈/TEX〉. The catch happened with the center of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The reason why the catch mainly took place on the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is that main catch of tuna purse seine was the school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It is thought that the fishing grounds are made in waters that have many drift objects like drift logs from the coast.
1970~1988년의 19개년간 한국 남해안에서 어획된 멸치의 어황조사 자료와 해황조사 자료를 토대로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장형성과 어황변동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획량은 1970년에 21, 000M/T에 불과하였으나 그 후 크게 증가하여 최근에는 10만 M/T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대상어종은 멸치로서 이 한 종이 전체 어획물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기는 1월~3월, 7월~12월까지이며, 이 중 성어기는 7월~12월(최성어기: 8월)이고 한어기는 1~3월로 나타났으며, 어장은 여수해협으로부터 남해연안을 거쳐 방어진 사이의 해역에서 형성되나 계절별로 다소의 변동을 하고 있다. 3. 멸치의 춘계(4~6월) 산란군의 어획량(X)과 추계(7~12월) 어획량(Y)과의 사이에는 Y=62,246+1.30X, r=0.63의 관계식으로 나타나므로서 멸치의 춘계 산란군의 양과 추계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황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황 풍.흉은 해양구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멸치의 중심 어장인 남해 중동부 해역과 동해남부 및 남해서부해역의 수온이 심한 차이를 보이므로서(수온표준화지수 FI는 남해 중동부 해역이 -50~-150) 수괴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수온전선이 연안측 가까이에서 형성될 때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최성어기인 8월에는 수온약층이 20~22℃의 수온대를 중심으로 10m에서부터 20m 이내의 수층에 조밀하게 형성 될 때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불황을 보인 해에는 남해 중동부 해역에서 현저한 저수온(FI=-50~-150)을 보이거나 해역간의 수온 분포가 동질적이어서 수괴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 8월의 수온약층도 30m보다 깊은 수층에서 나타났다.
여수연해 정치망 어장의 6월, 7월, 8월의 해황변화에 따른 어황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천수의 유입이 많은 내해와 돌산연안의 정치망 어장에서는 고온.저염분수가 분포하고 외해에는 저온 고염분수가 분포한다. 2) 정치망 어장부근에는 6월의 와류형성과 8월의 수온약층 형성으로 어류가 군집을 하는데 영향을 미쳐 좋은 어획량을 보여 주고 있다. 3) 정치망 어장에서 어획수온범위는 11℃~28℃이며 좋은 어획량을 나타내는 범위는 21℃~27℃였다. 또한 염분의 범위는 31.60‰~34.80‰이고 어획이 가장 좋은 범위는 33.80‰~33.99‰였다. 4) 어획대상물의 어획순위는 삼치, 전갱이, 삼치, 정어리, 고등어, 갈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지나해.황해의 저층에 서식하는 강달이 어장의 형성구조와 그 변동에 미치는 해양환경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안강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1970~1979)와 해양관측재료를 이용하여 어장의 계절별, 경년별 변동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강달이 어획율의 약 70%가 집중하고 있는 중요어장은 대흑산도와 Sokotra Rock 주변해역이었다. 또한 이들 해역은 CPUE가 비교적 크고, C. V.가 0.9~1.4로서 작게 나타나 어황이 안정된 좋은 어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주어기는 2~3월과 6~7월이었으며, 1974~1976년의 주어기 CPUE는 평년의 약 2배 이상이었다. 중심어장의 분포역은 평균수심 50m 내외의 황해저층냉수와 대마난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이었으며, 수온 및 염분은 각각 10~13℃, 32.5~34.4‰ 이었다. 주어장은 주로 황해 저층 냉수괴의 연변에서 형성되고, 이 수괴의 소장에 따라 계절변동을 하고 있었다.
The ground tracking support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navigation performance of spacecraft orbiting around the Moon. Because of the tracking limit of antennas, only a small number of facilities can support lunar missions. Therefore, case studies for various ground tracking support conditions are needed for lunar missions on the stage of preliminary mi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ground supporting condition effect on orbit determination (OD) of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in the lunar orbit. For the assumption of ground support conditions, daily tracking frequency, cut-off angle for low elevation, tracking measurement accuracy, and tracking failure situations were considered. Two antennas of deep space network (DSN) and Korea Deep Space Antenna (KDSA) are utilized for various tracking conditions configur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daily tracking frequency effect, three cases (full support, DSN 4 pass/day and KDSA 4 pass/day, and DSN 2 pass/day and KDSA 2 pass/day) are prepared. For the elevation cut-off angle effect, two situations, which are 5 deg and 10 deg, are assumed. Three cases (0%, 30%, and 50% of degradation) were considered for the tracking measurement accuracy effect. Three cases such as no missing, 1-day KDSA missing, and 2-day KDSA missing are assumed for tracking failure effect. For OD, a sequential estimation algorithm was used, and for the OD performance evaluation, position uncertainty,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true and estimated orbits, and orbit overlap precision according to various ground suppor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Orbit prediction accuracy variations due to ground tracking conditions were also demonstrated. This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selecting ground tracking support levels and preparing a backup plan for the KPLO lunar mission phase.
As the ground subsidence phenomenon is become a social issu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aking great efforts for ground subsidence prevention and response, and suggests a variety of related materials. In this study, based on related materials to analyze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a occurring ground subsidence in the domestic area. Using the result, ground subsidence phenomenon prevent occurrence. The results, three possible 1) underground pipeline, 2) Excavation, 3) Items classified as geological conditions cases occurred in city area, and it could be divide three categories again.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및 예방교육의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및 실태를 규명하고, 그 심각성을 살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교폭력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올바르고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이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환경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지역에 소재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adminstration method)으로 총 6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07부를 제외한 393부의 설문지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및 예방교육의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및 실태를 규명하고, 그 심각성을 살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 분석 하였으며 연구를 통하여 학교폭력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올바르고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이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환경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지역에 소재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adminstration method)으로 총 6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07부를 제외한 393부의 설문지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서는 많은 중학생들이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둘째, 학년별 예방교육의 차이 비교에서는 담임교사의 역할과 가정에서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의 원인과 심각성에 있어서는 각 요인 중 가해학생과 심각성의 언어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차이를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순위는 가정교육강화, 부모, 자녀와의 대화시간 증대, 학교폭력에 대한 부모교육 실시, 처벌의 강화 등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라고 분석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학교폭력 실태를 파악함에 있어 설문조사에 대한 일관적이고 객관성이 있어야 하며 조사된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집단 표집에 대한 체제와 지원이 갖추어져야 하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하며, 신고 후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크므로 피해자 신분보호에 대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학교장과 담임교사에게 의무적인 교육과 책임의식을 갖도록 하고 가정에서 밥상머리교육을 살릴 수 있도록 사회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학교의 교육 관계자가 해당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의 특성에 맞는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에 맞춰진 프로그램이 개발 체계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꾸준하고 지속적인 실천과 피드백을 통해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터널은 대규모 단층파쇄대가 존재하여 기존 설계시 강관다단그라우팅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보강이 완료된 터널이다. 본 터널굴착공사는 상반굴착 완료후 1년간 중지된후 하반굴착을 위하여 공사안전 확인 계측을 실시한 결과 최대 천단부에서 28cm 이상의 변위와 하반 측벽부에서 융기가 발생되어 원인분석과 추가적인 보강대책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붕락 발생가능성 높은 터널에 대한 변형원인과 보강대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관통된 터널에서 일정 시간 경과후 지표면 함몰붕괴가 발생한 터널시공사례로서 발생원인과 보강대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와같이 터널 관통후 지표면 함몰붕괴는 매우 드문사례로서 붕괴원인을 터널시공 조건, 지질조건과 굴착중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터널의 경우, 토피고는 14m∼22m이고, 지질조건은 붕적토 내에 점토로 피복된 상당한 규모의 핵석(core stone) 및 전석이 존재하는 구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계측값은 변위가 3mm 이내로 수렴인 상태이다. 붕괴원인은 붕적토내에 국지성 강우가 유입되므로서 핵석과 전석의 점착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붕락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