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happy applicants achieve more? Although it is well established that happiness predicts desirable work-related outcomes, previous findings were primarily obtained in social settings. In this study, we extended the scope of the "happiness premium" effec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text.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an applicant's happiness signal captured using an AI system effectively predicts his/her objective performance. Data from 3,609 job applicants showed that verbally expressed happiness (frequency of positive words) during an AI interview predicts cognitive task scores, and this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among women than men. However, facially expressed happiness (frequency of smiling) recorded using AI could not predict the performance. Thus, when AI is involved in a hiring process, verbal rather than the facial cues of happiness provide a more valid marker for applicants' hiring ch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thods for attracting more students into maritime colleges, for making sure they remain happy, satisfied with their decision and finally for enabling them to have job security. At International Maritime College Oman (IMCO), the Deck Officer program is a field of study that incorporates the ancient knowledge and techniques in navigation with the latest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the maritime industry. The industry requires officers who are well trained and capable of working as professionals on board vessels. The goal is to attract more students into the maritime industry, to ensure their achievement in future and to make sure they are happy with their choice to join the maritime industry.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about deck cadets’ experiences of work and life at sea, with thirty-one questions, was prepared,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s, and distributed to deck cadets studying in International Maritime College of Oman (IMCO). It was answered by sixty deck students in years two, three and four. The students were of both genders and from various countries including Oman, UAE, Saudi Arabia, Bahrain, Qatar and Egypt. The age ranges varied between eighteen to twenty-five. The main problems adversely affecting the students’ happiness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related to loneliness and emotional insecurity at sea, resulting from inadequat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as well as uncertainty about employment prospects. Colleges need to focus more on supporting cadets’ emotional well-being. Shipping companies also need to play a greater role in reducing cadets’ uncertainty by sponsoring them, by providing guarantees of employment and by looking after them well at sea, especially by ensuring availability of cheap interne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장애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횡단적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가족의 행복에 대한 해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에 대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를 둔 가족 유형별 분포와 종단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 과, 장애인 가구 유형은 단독가구(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15.5%p 증가)와 2세대(6.2%p감소)와 3세대(5.6%p감소)의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은 단독가구가 일관되게 행복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구성별 행복 수준은 초기 조부모의 행복 수준이 낮았으나 최근 가족구성원간 행복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그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사업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적용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창의․인성을 바탕으로 행복마인드를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수업 주제로는 ‘행복, 성찰, 공감, 꿈’을 설정하였다. 1학 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1학기에는 국어 수업과 독서 시간에 구안․적용하였고, 2학기에는 국어 수업과 자유학기제 선택 수업인 광고 수업에 구안․적용하여 행복마인드를 키우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행복마인드를 키우기 위한 학생활동중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행복감, 성찰 능력, 공감 능력, 진로인식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2017년까지 정부는 사회적기업 3천개를 육성하고 사회적기업에 10만명을 고용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래 본격적으로 육성을 시작, 2015 년 현재 1400여개의 가파른 양적 성장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양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여전히 대다수 사회적기업이 그 경제적․사회적 목적에 맞는 자립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정부에 대한 높은 의존을 하고 있는 점과 규모의 영세성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이에 내실화를 이루고 안정적인 사회적기업의 정착을 위해 사회적기업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또 하나 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상생모델의 제시를 통해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나래(주)의 사회적기업 지원에 대한 성과분석을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안정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또 하나의 방안으로서 모범적 상생모델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을 위한 돌봄교실 운영과 주5일제 수업 정착을 위한 토요방과후학교 활성화 등질 높은 방과후학교 운영이 요구되는 시기에 ‘꿈과 끼를 키우는 다양한 내실있는 체험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해 학교에서 긍정적 정서와 습관, 가치 있고 의미 있는 활동에의 몰입,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에서 의 자아실현 등으로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실천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체험중심의 여건 조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내실있는 운영, 발표회 등이 행복한 학교생활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천 전후 설문분석결과 체험중심 다양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내실 있는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가 운영 전보다 높았고 체험중심 다양한 방과후학교 운영으로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즐겁고 행복해졌다고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대한 결론은 체험중심의 다양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건 조성을 통해 학생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이 추진되어 방과후학교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되었고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외활동 등의 사교육을 학교 안으로 끌어 들여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고, 학부모로부터 신뢰받는 교육풍토를 조성하며,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꿈과 끼를 키우는 체험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행복한 학교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 게 창의성과 소질을 계발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올바른 인성이 함양되어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발생되는 아동의 정서·행동상의 문제개선과 학교적응성을 높이고, 코칭활동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한 학교환경을 개선하고 학교생활에서 행복감을 높이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과 코치가 1:1면대면 방식으로 주1회 60분에서 90분씩 총10회기 동안 코칭을 실시하였다.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정서·행동을 개선하고, 학교폭력으로 발생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자기이해, 대인관계개선, 계획과 실행력향상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수 있는 설득력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향후 학교폭력예방과 치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개선, 친구·가족·교사와의 관계개선, 학업성취, 진로지도, 교사역량계발, 학부모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코칭이 학교현장에 확대·적용 실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계발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Bristol Fairy’ 아조변이체 ‘Gyp99’의 한 계통인 ‘Gyp06-31’의 방임수분 결과 얻어진 실생계통으로부터 특성이 우수한 ‘Gyp08-42’ 계통을 선발하여 2년 동안 특성평가 및 특성검정을 통해 ‘Happy Dream’ 품종을 육성하였다. ‘Happy Dream’ 품종의 초형은 중간형이 고, 잎 모양은 피침형, 소화는 주걱형의 꽃잎수가 많은 백색 겹꽃으로 꽃잎 끝 모양은 약간 둥근형 그리고 꽃받침 모양은 컵형인 식물체 고유 특성을 가졌다. 또 한 화경이 단단하고 분지각이 작으며, 흰가루병에 강하 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었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Happy Dream’ 개화는 ‘Bristol Fairy’보다 26일 늦 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고 줄기가 굵었다. ‘Happy Dream’의 엽장은 ‘Bristol Fairy’보다 짧았으나, 엽폭 은 넓고 소화는 더 컸다.
본 연구는 행복지수에 기초한 ‘행복한 코칭’의 방법론과 그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코칭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객은 왜 코칭을 받는 것인가?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코치는 우선적으로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해봄이 바람직할 것이다. 첫째는 행복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둘째는 코치입장에서 코칭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그러나 안타깝게도 두 가지 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답을 찾기란 쉽지가 않다. 첫째, 행복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표된 방법 중에서 GNH(Gross National Happiness; 국민 총 행복)은 국가 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방법이며, Rothwell과 Cohen의 행복지수는 개인 차원의 행복을 측정하는 방법이기는 하나 설문에 의존하며 다소 정적(靜的)이어서 동적(動的)인 실제생활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둘째, 지금까지 소개된 무수히 많은 코칭 방법론은 어떻게 코칭할 것인가에 대한 코칭 방법에 국한하고 있을 뿐 고객이 코칭을 받은 후에 얼마나 행복해졌는지에 대한 성과 측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코칭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첫째, 행복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 행복지수를 활용하여 코칭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코칭 결과에 대한 성과를 객관적인 측정과 평가가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호접란 촉성재배를 위한 하계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 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실 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령지방 폐광의 자연냉풍온도는 12~14oC이였으며 이 온도를 주온 22oC, 야온 20oC로 조절하여 6월부터 8월까지 처리하 였다. 이 온도는 호접란 화성유도 기본 온도범위이었으 며, 이 때 외부 평균기온은 28.4~32.8oC로 나타났다. 화경 발생은 20일저온경과에서 3% 발생되었으며, 45일 경과에서 65% 이상 발생되었고, 90일 경과에서 100% 발생하였다. 화경장은 30일 경과에서 48.7cm로 짧았으며, 60일 경과에서 62.4cm로 길어져 처리기간이 길수록 화경장이 신장되었다. 화수장, 소화수도 같은 경향이었고, 화경 마디수는 6~7개로 저온 경과일수와 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는 45일 경 과에서 9월 15일에 가장 빨리 개화되었고 저온 경과 일수가 길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폐 광 자연냉풍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화경 발생시기는 3개월, 개화기는 4개월 정도 촉진되었다.
교통과 여행은 1850년대를 기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로빈슨(Robinson)은 교통의 영역, 물리적 거리는 기술발전으로 인해서 개념자체가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영토권에 대한 개념, 즉 관광객측면에서 볼 때는 생활과 장소의 개념 자체가 좁혀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여행에서 가장 중요한 매체, 즉 관광매체라고 할 수 있는 교통에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행의 교통수단에는 무수히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대중을 위한 수단이 렌터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관광지 부동의 1위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의 경우 업체들의 과도한 경쟁과 난립으로 안정성보다는 이윤추구가 우선시 되고 있으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고 보다 편안한 여행이 가능해져 있는 현 시점은 개인의 차량의 경우 안전장치와 보조안전장치들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렌터카들의 경우는 비용절감과 대여요금 인하 등으로 이러한 안전편의장치들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 중에 관광객의 안전성 선호와 인식의 상향으로 인하여 하나둘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업체들이 늘어 가고 있다. 보험과 편의사항은 기본이며 서비스질의 향상에 중점을 두어 기존의 최고 시장점유율 업체를 향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의 렌터카 중에서 대형차량을 제외한 일반관광객이 다수 이용하는 가장대중적인 렌터카 업체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광고기획 방안을 마련 업체의 매출상승에 기여하여 보다나은 서비스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렌터카를 대여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제주 관광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