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relationships of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expression degree in the developed CNU waxy corn lines. The used material were developed in Corn Breeding Laboratory, Coll. of Agri. & Life Sci., CNU. Total 10 primers used for SSR maker analysis. In genetic distance, the used lines divided into four groups; A group has two lines, B group has one line, C group has ten lines and D group has eleven lines, respectively. Among used lines, CNU427 and CNU588 were very closed as a 74, while CNU451 and CNU429 were remote as a 40 inbred coefficient, respectively. While heterosis degree were very variable not only hybrids but also cross parents. Average heterosis of most cross-parent was high in plant height, ear height, flowering day and ear length. Especially, CNU H09-23 hybrid was high as 79.4% than other hybrids. Here, we gained the fact has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이면 교잡을 통해 얻어진 36개의 F1 교잡종들에 대하여 수량 및 농업관련 형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6개 교배조합 의 F1과 교배친의 잡종강세를 조사한 결과, F1의 잡종강세 정 도는 종실수량에서 156%로 가장 컸고, 100립중이 가장 작은 7%로 나타났다. 농업형질에 의한 교배친들 사이의 표현형적 거리는 육성된 계보와 차이가 있었으며, 농업형질만으로 유전 적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SSR 분석에 의한 유전적 거리와 농업형질과의 상관을 확인하기 위하여 9개의 자식계통에 대한 92개의 SSR primer를 확인한 결과, 육성 계 보에 의한 유연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못하여 표현형적 거리와 SSR 마커에 의한 유전적 거리에서도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종실수량과 SSR 분석을 통 한 유전적 거리 사이의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종실수량과 정의 상관을 보이는 9개의 primer 조합을 선발하였다. 9개의 SSR primer들을 이용한 계통유연관계를 분석에서 옥수수 계 통들의 계보와 선발된 SSR을 이용한 유전적 거리는 연관성 을 찾을 수 없었지만, 종실수량과 선발된 9개의 SSR primer 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R2=0.703**). 선발된 SSR primer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와 교잡종의 주요 농업형질의 상관 분석 결과, 교잡종 자체의 수 량구성의 모든 요소뿐만 아니라 간장, 착수고도 유의성을 보 였고, 평균에 대한 잡종강세와는 종실수량이 정의 상관을 보 였다. 본 연구에서 선발한 9개의 SSR primer들은 옥수수 육 종연구에서 교배조합 구성을 위한 잡종강세 예측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terosis is very important for breeding hybrid cultivars and is intensively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rop plants. But the molecular basis of heterosis is still unrevealed to the scientists. This study selected 51 heterosis associated genes of Arabidopsis of different family on the basis of their high differential expression in a hybrid compared to its midparent value and identified their orthologues in Brassica oleracea. Then the selected B. oleracea genes were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structural properties, recognized functions and expression patterns in a cabbage hybrid progeny (Cabbage-36) of crosses between Cabbage-34 and Cabbage-35 accessions. Among these genes, a good number were found to express highly in the hybrid then the midparent value and better parent in some cases. Moreover, these highly expressed genes are mostly related to the yield contributing characters. Cotyledon and young leaf sizes of these three genotypes also well correlated with gene expression.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identified gen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mechanism of heterosis of B. oleracea hybrid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exploration of gene regulatory network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phenomenon heterosis in the plant life cycle. Subsequently, these genes would be useful resources for molecular hybrid breeding in Brassica crops as well.
        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heterosis of F1 hybrids and the genetic distance of parental lines.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number of leaves, plant height, bulb diameter, bulb height, bolting rate and marketable yield were examined in 15 F1 hybrids. The genetic distance among one male sterile line and fifteen restorer lines were analyzed with SSR markers. 21 primer pairs amplified polymorphic band and the average number of polymorphic allele was 3.4. As a result of UPGMA cluster analysis, the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among parental lines ranged from 0.43 to 0.63. Combination of M1 and R14 is high similarity and number of leaves, plant height and yield are 10.2, 66.7cm and 6,818kg·10a-1. The case of the lowest value combination, they are 9.0 and 63.7cm and 7,728kg·10a-1,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of F1 hybrids and only molecular marker does not predict growth traits and yield of onion.
        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terosis describes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F1 hybrid plants in terms of increased biomass, yield, vegetative growth rate, and tolerance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s compared with their inbred parents. Two sets of rice materials, 166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Korean indica-type rice) and Tong 88-7 (japonica Rice), and BC1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between the RILs and the female parent, Milyang 23, were produced to identify QTLs for heterosis of yield and yield-related traits. The QTLs were detected from three different phenotype data sets including the RILs, BC1F1 hybrids, and mid-parental heterosis data set. A total of 57 QTLs were identified for nine traits. Of eight QTLs detected for yield heterosis, five overlapped with other heterosis QTLs for yield-related traits such as spikelet number per panicle,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Four QTLs for yield heterosis, gy1.1, py6, gy10, and py11, wer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total of 17 EpQTLs for yield heterosis that explain 21.4 ~ 59.0 % of total phenotypic variation, indicating that epistatic interactio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terosis.
        12.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목화의 실용형질 향상으로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육지면 5개 품종과 이들을 이면교잡 하여 얻은 F1 10개 조합을 재료로 주당 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종자장, 종자폭, 1삭 조면중 등 6개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조합 능력, 유전성분, 유효유전자수, 유전력 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eterosis와 heterobeltiosis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 1삭 조면중에서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GCA와 SCA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평균우성정도는 주당수량, 주당 삭수, 1삭 종자수 및 종자폭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났고, 종자장은 완전우성, 1삭 조면중은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유효유전자수는 주당 수량, 주당 삭수, 종자장에서 2개, 1삭 종자수, 종자폭 그리고 1삭 조면중에서 1개로 추정되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주당 수량, 주당 삭수 및 1삭 종자수에서는 낮았으나 종자폭에서는 높았다. 광의의 유전력은 1삭 조면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높았다.
        1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무한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확시 필연적으로 미등숙 종실의 발생과 탈립으로 인한 수량 손실이 발생하는 등 재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는데, 현재 개발되고 있는 내탈립성 참깨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내탈립성 참깨와 기존품종들 간의 이면교잡을 실시하여 탈립성을 포함한 주요양적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탈립율은 모든 조합에서 탈립율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종강세가 작용하였으며 PA형(수원195호)/ID형(SIG960320-5-1-1) 조합에서 가장 컸는데, 이는 탈립 저항성과 관련된 형질이 모두 열성으로 F1 세대에서는 그 특성이 발현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 잡종강세 발현은 주당삭수, 주당수량 및 분지수 등에서 컸으며, 경장과 착삭부위장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3. 일반조합능력(GCA)은 6개 형질 모두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특정조합능력(SCA)에서는 탈립율, 주당삭수 및 주당수량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4. 모든 형질에서 GCA분산이 SCA 분산보다 커서 상가적 유전자 작용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교배친의 GCA 검정에서 수원195호는 탈립율과 경장의 감소효과가 크고 주당삭수와 주당수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SIG96320-5-1-1은 주당수량 감소와 경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교배조합별 SCA는 양백깨/수원195호 조합은 주당삭수 증대면에서, 안산깨/SIG96320-5-1-1 조합은 주당수량 증대면에서, 안산깨/수원177호 조합은 탈립율 감소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α-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이용한 토요식미치 추정(推定) 중회귀식(重回歸式)에 채택(採擇)된 주요 특성은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였으며 결정계수(決定係數)로 보아 약 49%의 적중율(的中率)을 나타내었다.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
        1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enetic basis underlying heterosis for agronomic traits of rice under cold water irrigated field cond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143 RILs and 286 BC1F1 lines from the cross between a cold-susceptible variety, Milyang23 and a co
        1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ty-four 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among eleven temperate japonica rice cultivars were grown and evaluated for traits related to cold tolerance including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in the cold-water irrigated plot (17℃) and
        1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ing grain yield and quality of japonica rice continues to be a major breeding objective in Korea. In this study we evaluated genetic divergence among four japonica rice cultivars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distance and hybrid perf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