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트레스는 인체의 다양한 기관과 정신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 항진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에서 국내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스트레스 호르몬 및 뇌 조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세포독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바이오 마커와 뇌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이 기초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 제작 후 2주간 100 n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은 100 nl/㎖ 농도 이하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6-진저롤 함량이 345 ppm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복측 피개부(VTA) 및 흑색질 치밀부(SNpc) 부분에서 TH-면역 반응이 때때로 중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교감신경 항진을 개선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산 생강은 교감신경 항진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새로운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위해도 기반 지역별 기름회수능력 설정 방법을 모델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을 설정하였다. 모델을 적용하여 설정된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오염사고의 발생이 가능한 지역 중 해상방제장비 동원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대산·태안·평택지역에 최대오염사고를 가정하여 각 지역에 배치된 해상방제장비를 동원하여 해상 기름회수작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고해역에서 3일 동안 해상에서 회수 가능한 기름의 양은 15,841㎘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해상 기름회수 목표량인 15,000㎘를 충족시키는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초자료의 획득 체계 및 가공 체계의 부재와 복잡한 사용자 입력 체계로 인해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류오염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방제 전략 수립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정을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 구동을 위한 최선의 상시 활용 체계를 수립하였다. 모든 기초자료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의 실시간 동적 자료를 연계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만을 직접 구축하여 실시간 유출유 확산 예측의 상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모델간 인터페이스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모델 연산 결과를 시공간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결과 표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구축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는 외부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모델을 구동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방제 현장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7.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류오염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출유의 확산을 예측하여 방제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신속성과 신뢰성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즉시 운용 가능한 시스템이 부재한 경우에 모델을 이용한 유출유의 확산 예측은 매우 어렵다. 모델 연산에 필수적인 실시간 입력자료 의 확보 및 모델에 가용한 형태로의 변환에 많은 수고가 필요하여 모델 구동을 위한 준비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한다. 또한 모델 에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준비된 자료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정보가 입력되어 잘못된 모델 연산 결과가 방제 현장에 적용되어 방 제전략 수립에 혼선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자료 확보와 모델 연계에서의 제약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정확한 자료 입력이 가 능하도록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활용을 위한 상시 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일부 실시간 자료의 경우 외부 자료에 의존적이지만, 자료 연계를 통해서 모델 활용에 적절한 실시간 자료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개발을 통해서 유출 유 확산 예측 모델의 입력자료와 결과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Rhus veniciflua Stokes oil (RVSO) and black garlic extract (BGE) on the lipid oxidation in Hanwoo (Korean cattle) beef model systems. The RVSO at 0.2% inhibited the TBARS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formation when tested in liposome model system. The antioxidant effect of RVSO was further found to be similar to 0.2%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and 0.01% vitamin E. On the other hand, BGE at 0.1% also showed the inhibition of TBARS formation in 4% NaCl-added Hanwoo beef patty and found to have slightly lower (p<0.05) effect than 0.1% vitamin E but higher (p<0.05) effect than 0.1% BH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oth RVSO and BGE possess strong antioxidant effects and help to increase the oxidative stability in Hanwoo beef products.
        4,000원
        9.
        2011.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논문은 “소요 오일붐 측정프로그램(OBM Program)”을 실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OBM Program 운용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 운용자와 운용환경 팩터 간의 관계 분석이 가능한 M-SHEL모델을 이용했다. M-SHEL 모델분석을 통해 얻은 결 과는 첫째, 운용자의 입력 값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감지 시스템 구축, 둘째, 운용자의 프로그램 사용시 운용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실용적 이고 편리한 매뉴얼 제작, 셋째, 시각화된 프로그램 프레임 구축이다.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운용상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성능과 더불어 효율적인 방제활동에 기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10.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ck sesame oil on hair growth in a shaving animal model of C57BL/6 mice. Five-week-old male mice were acclimated for one week under 22±1 µl room temperature, 50±5% relative humidity, and 12 hours of a light/dark cycle before beginning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the normal group (saline, N), positive control group (3% MXD, PC), and experimental group (black sesame oil, E) and received topical application of 100 µl once per day, six days per week, for a period of three week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gross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for SCF, the activities of enzymes, including ALP and γ-GT, and the expression quantity of growth factors, including IGF-1 in the skin of mice was performed or evaluated. Topical treatment with black sesame oil and 3% minoxidil for three weeks to dorsal skin resulted in more rapid acceleration of hair regrowth in the E and PC groups than in the N group. Development and elongation of hair follicles were promoted in the E and PC groups, compared with the N group. Serum ALP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 group,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hree weeks (p<0.05). Skin ALP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C group,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wo weeks (p<0.05), and higher in the E and PC groups than in the N group within three week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rum γ-G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C group,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wo weeks (p<0.01), a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 group,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hree weeks (p<0.05). Skin γ-G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C group,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wo weeks (p<0.05), a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C (p<0.01) and E (p<0.001) groups, compared with the N group within three weeks. IGF-1 expression in the sk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C and E groups, compared with the N group (p<0.01). SCF antigens were heavily stained in bulge, stem cells, and dermal papilla and middle stained in inner root sheath, outer root sheath, and epidermis in the E and PC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lack sesame oil effectively stimulated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via several mechanisms and that it can be used practically for hair growth or prevention of hair loss in human beings.
        4,600원
        11.
        200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hree-dimens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is propos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dispersion phenomena of oil droplet onto the surface of the water. This technique is able to get the dispersion rate of an oil droplet three-dimensionally just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over time. The obtained dispersion rate obtained through this technique is informative to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gravity, surface tensions between oil, water, and air. This technique is based upon the three-dimensional PIV(Particle Imaging Velocimetry) technique and its system mainly consists of a three CCD(Charge Coupled Device) cameras, an image grabber, and a host computer in which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is adopted for the acquisition of dispersion rate oil an oil droplet.
        4,000원
        12.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greater risk of oil spill at the coastal waters in Korea, some of risk factors were analyzed with historical data of oil spill and marine traffic. As a result, it is characterized that frequency of oil spill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greatest percentage of spill source is fishing boat. It is proposed that the ports of Ulsan, Yeosu, Incheon and Pusan will be designated as primary area of risk as they have a higher risk of oil spills and its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appropriate regional response capability for prompt and effective response to a future spill incident. In addition, the regional response equipments at Ulsan are examined under a assumption of a medium size spill and it is found that the use of chemical dispersant can be an alternative when mechanical containment and recovery is not feasible in this area, and the existing response equipments may be appropriate to address that size of spill. However, the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more numbers of stronger boom for unsheltered waters and more quantity of concentrate dispersant to disperse all spilled oils on the water, furthermore the response authority should be prepared for a possible future catastrophic spill with sufficient equipments.
        4,600원
        13.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1축 회전판형 한외여과막 모듈의 순수 투과율 예측모델과 기름 에멀션의 분리 특성 및 투과율 예측모델을 유도하였다. 1축 RDM은 한외여과막(UOP사, 직경 0.22m)으로 제작된 회전판막을 장착하여 25℃ 에서 압력, 각속도(ω ), 농도 변화에 따라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회전판막의 각속도가 0에서 52.36rad/s로 증가할수록 회전판내 유체가 받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강하와 분리막 표면의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로 순수 투과율은 최대 각속도에서 3.9% 감소하였다. 원심력과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는 선속도(ωr )의 자승에 비례하였다. 회전판의 각속도가 52.36에서 2.62rad/s로 감소할 때 5% 절삭유의 투과율은 30.16% 감소하였고 농도가 낮을수록 막회전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절삭유의 투과율(J; kg/m2ㆍs )은 회전에 의한 압력 강하를 고려한 유효압력차(Delta PT ; Pa), 벌크농도(CB ; %), 선속도(ω r; m/s) 등에 영향을 받으며 실험 결과에 저항 모델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유도하였다.
        4,000원
        14.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time-varying coefficient GARCH-in-Mean model. The benefit of our model is to allow the risk-return parameter in the mean equation to vary over time. At the end of 2019 to the beginning of 2020, the world witnessed two shocking events: COVID-19 pandemic and 2020 oil price war. So, we decide to use the daily data from December 2, 2019 to May 29, 2020, which cover these two major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movement between risk and return in four major oil markets: Brent, West Texas Intermediate, Dubai, and Singapore Exchange, during COVID-19 pandemic and 2020 oil price war. For the European oil market, our model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isk-return relationship in Brent during March 26-April 21, 2020. For the North America oil market, our model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isk return relationship in West Texas Intermediate (WTI) during March 12-May 8, 2020. For the Middle East oil market, we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isk-return relationship in Dubai during March 12-April 14, 2020. Lastly, for the South East Asia oil market,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isk return relationship in Singapore Exchange (SGX) from March 9-May 29, 2020.
        15.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석유 생산은 예기치 못한 유가 하락과 글로벌 석유물류의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 연구는 불확실성하의 해양석유생산 최적화를 위한 추계적 모형을 제시한다. 제시된 추계적 모형은 강인한 최적화 모형과 리코스 제한 최적화 모형을 사용하고 리코스 이익 변동의 척도로 하위부분평균을 사용한다. 제안된 모형을 바탕으로 불확실성 하의 원유의 가격과 수요에 관한 시나리 오 기반의 자료를 사용하여 수행한 계산실험 및 결과를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불학실성 하에서 위험을 고려한 해양석유생산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에 유의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6.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류유출사고는 치명적인 해양 생태계파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막대한 방제 및 피해보상비용이 발생하므로 일종의 재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초기 방제대책으로써 유출유의 확산범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출사고에 대하여 외력요소를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모형을 구축한 후, 확산분포에 대한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만리포 및 신두리 일대 해안에 유류가 유입되었던 유출사고 13시간 후인 2007년 12월 7일 오후 8시와 인공위성 사진이 존재하는 2007년 12월 11일 오전 11시의 확산분포를 관측상황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17.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s developed. The model can perform real time simulation in the case of oil spill accident in the ocean. The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and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Real time flow fields which are used in the calculation of advection of oil spill are obtained in the three 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The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cludes the evaporation dissolution emulsification and downward diffus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it is applied to the oil spill from the accident of Sea Prince. The results shows good agre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