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energy-consuming processes in asphalt plants were evaluated, and the drying and mixing processes were characterized using a thermal equilibrium equation-based model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during the production of mixtures in asphalt concrete plants. METHODS : An energy consumption model based on the thermal equilibrium equ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aggregate drying process that consumes the maximum energy; the energy consumed for material transportation, storage, and operation of other facilities was cited from the litera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results obtained for recycled hot asphalt mixtures and recycled warm mix asphalt mixtures, and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conditions. RESULTS : An analysis of the main processes required to produce asphalt mixtures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had the largest impact on energy consumption (approximately 80%). This quantitatively supports the opinion of field practitioners that maximum energy is consumed during aggregate drying. Although some discrepancies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reasonable and within the range of typical measurements. CONCLUSIONS : The thermal 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model provides consistent resul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and can be used to derive the thermal energy consumption rates for individual materials, such as aggregates and binders. Thi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riorities for process optimization within a plant.
        4,0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아시아에서 돈육 생산과 소비의 강국인 중국, 일본, 한국 3개국의 과거와 현재 돈육 산업을 조사하고 향후 돈육 생산과 소비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경제 시스템 변화와 가속화된 경제 성장으로 돈육의 생산과 소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할 수 있었고, 양돈 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생산과 소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돈육 생산량은 오랫동안 꾸준히 감소해 왔다. 일본은 돈육 수입량이 많아 순위가 높지만 수입량에 비해 소비가 크지 않아 수입량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양돈산업의 발달과 대규모 농장 운영의 확대로 돈육 생산이 발달했고, 이를 통해 양돈 생산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돈육의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 부문의 경제적 측면에서는 돈육 생산과 소비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의 돈육 생산과 소비는 농업부문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000원
        4.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의 연유자기는 문인취향을 근간으로 하는 청ㆍ백자와 함께 송대 도자문화를 구성하 는 중요 요소이자 송 사회의 다양함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송대 연유자기는 명요 생산품에 비해 만듦새가 조악하여 민간 취향으로 치부되어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온 송대 연유자기에 주목하여, 생산지와 제작 기술적 문제, 더 나아가 소비양상을 고찰하였다. 문인취향의 청자와 백자가 송대 도자의 주류로 자리 잡았지만, 한편으로 연유자기는 기술 적으로 唐代의 연유도기보다 진화되어 이미 일상용기를 비롯한 예기, 부장품과 명기 등에 대한 수요로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대보다 더욱 확장된 생산규모는 송 사회의 연유자 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음을 방증하며, 소비 계층 역시 상류층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 게 사용된 점이 확인된다. 그 외 송대의 연유자기는 지역별 출토양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가령 북방은 일상용품이 주를 이룬다면, 남방은 도용과 같은 부장품의 출토가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특히 승려나 불상, 馬首人身ㆍ鳥首人身ㆍ人首蛇身ㆍ12지신 등 도교적 도상의 출현은 송 조정의 정치적 통치와 판단에 따라 유ㆍ불교가 조화된 사상의 확산에 따른 결과물로 이해된다. 특히 사 천지역에서 유독 도교적 도상의 출현이 많은 배경에는 도교의 발원지로써 일찍이 도교신앙이 널리 보편화된 배경을 꼽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이곳이 남북교통로의 접전지로 당대 북방 중 원지역에서 성행했던 삼채도용 제작과 장례문화가 남방으로 이전될 수 있었고, 남북방의 문 화가 융합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6,9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vibrio, norovirus, radioactivity, shellfish posion, hepatitis A, etc. and media reports, and whether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affect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according to hazardous substances. Second, it suggests seen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the prices of aquatic produ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and reporting of hazardous substances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distribution margin of aquatic products due to the complexity and rigidity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Fourth, consumers feel a threat to aquatic products safety and significantly reduce consumption when hazardous substances occu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ncerns about one item may lead to a decrease in consump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aquatic products that are not related at all to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In conclusion, aquatic products are exposed to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vibrio, norovirus, radioactivity, shellfish posion, and hepatitis A.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ts media reports could cause damage to the fishery sector.
        4,800원
        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정부와 효고현의 지산지소 추진 사례를 바탕으로 일본의 지산지소의 추진은 중앙정부와 지자체 등 행정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육기본법’을 기반으로 한 중앙정부의 ‘지산지소 모델타운 사업’ 등의 시행과, 효고현의 ‘식생활의 안전안심과 식생활교육에 관한 조례’ 등 지산지소의 추진을 위한 지자체의 조례제정 등을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산물직판장의 운영과 학교급식, 농산물가공 등 다양한 활동에 있어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역 내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계한 지역농업의 추진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행정이 주도하는 경우는 자칫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방향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효고현에서는 대도시 주변의 농촌지역에 농협 등이 중심이 되어 농산물직판장을 설치하고, 현 교육위원회에 ‘학교 식생활교육 추진위원회’를 설치하여 현 내의 모든 학교에서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지산지소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이 곧바로 효과를 낼 수는 없지만, 지역산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제고 및 소비 확대에 기여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직판장 등의 지산지소 활동 주체가 대부분 고령농업인이라는 점과 후계자 확보문제, 소비자 식생활의 서구화·다양화로 인한 전통적인 식문화의 단절, 학교급식 및 직판장에서 공급하는 농산물의 품목 구색 맞추기의 어려움 등 현실적인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지에서의 농산물직판장 운영, 귀농 농업인의 지산지소 활동 참여 유도, 학교 영양교사에 대한 지속적 교육 실시, 지역사회가 중심이 된 식생활 교육의 실시, 지역간 연계를 통한 품목 수 확보, 대국민 홍보 등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많은 지자체에서도 일본의 지산지소와 유사한 형태의 로컬푸드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로컬푸드 운동은 농업노동력의 고령화·여성화, 농촌 인구의 감소, 지역 전통문화의 단절, 농촌사회의 붕괴 등으로 고민하고 있는 지역의 농업과 농촌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로컬푸드 운동은 농산물 시장의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소농구조의 농업형태라도 안전성과 신선함 등으로 지역 소비자의 신뢰와 지지를 얻음으로써 농업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로컬푸드 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조례 제정 등 실질적인 제도적 기반 마련이다. 현재 친환경농산물 또는 지역농산물의 학교급식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례는 선언적인 내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의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 내의 로컬푸드 운동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지원이다. 농산물 직판장의 운영과 학교급식에 공급하는 지역산 농산물에 대해 조성금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 및 추진이다. 일본의 지산지소 활동의 사례와 같이 로컬푸드 운동 역시 다양한 유형을 만들어 갈 수 있다. 특히 지역의 전통적인 식생활과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한 농촌관광의 추진은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지역농업의 활성화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이다. 로컬푸드 운동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전통적인 식생활을 영위하는 젊은 세대를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농업과 농촌사회의 재생을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린 식생활교육이 그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교육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09년 5월에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되었고. 동년 12월 범국민적 식생활교육 운동체인「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가 출범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0년 초부터는 전국 각 지역에 식생활교육 지역네트워크가 설립되어지고 있다. 또한 2010년 4월에는 농림수산식품부 등 9개 중앙부처가 참여해 “음식이 세상을 바꾼다”라는 목표를 내세운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범정부적, 범국민적인 녹색식생활교육운동을 추진하는 등 식생활 교육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농업계의 기대 역시 매우 뜨겁다. 향후 우리나라의 식생활 교육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보다 먼저 식생활 교육을 추진해 오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할 바가 크다고 하겠다.
        4,000원
        1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ing a staple food for more than half of the population of the world and South Korea, rice is an important crop. For the past 20 years, global paddy rice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have shown an annual growth of 0.46% and 1.61%, respectively. Global rice consumption for food and processing has increased by 1.37% and 3.68%, respectively. Due to the main reason for such increasing human population, it is expected that from 439 million tons in 2010, additional 116 million tons will be needed in 2035. Global rice imports and exports have doubled in the last 20 years. However, in spite of such increment, global rice exports in 2013 were 8.4% of the total production. It is thought that rice protection policies in the producing countries are the main reason for such small scale of rice trading. In the past 5 years, India recorded the largest growth rate in rice exports (51.4%), whereas China showed the largest growth rate in imports (61.0%). For global utilization of milled rice during the same period, approximately 79.4% was used as food, 7.2% as animal feeds, and 1.4% for processing. Regionally, Asia has shown a similar pattern to the global rice usage, whereas utilization for processing in America, for food in Africa, and for animal feed in Europ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global rice usage. Korea’s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since the last 5 years, are 0.5% and 0.8% of those of the world, respectively. Its annual rice export is approximately 3,000 tons, which is 0.01% of the global rice export. Korea’s rice utilization is high for food and low for feed and for processing relative to global rice utilization. Therefore, a review must be conducted to increase Korea’s utilization of rice for processing and for feed production.
        11.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d energy consumption distribution by process and energy production-effect of MBT facilities inKorea. Generally, facilities that use fossil fuels for drying consumed energy about 70~80% in drying and exhaust gasestreatment process and energy distribution was heavily affected a position of drying and a kind of fuel. Energy production-effect by the ratio of input-energy to output-energy ranged from 4.54 to 9.60, however, if generation efficiency is reflected,it was standardized to low levels from 3.10~3.77. So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superiority of energy production-effect between facilities is not considerable.
        1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게임의 형식으로 일과 놀이의 융합을 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게임을 즐기는 놀이로서의 소비 행위가 곧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드는 경제적 생산 행위인 일로 연결되는 게임을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으로 규정하고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의 특이성을 규명한다. 게임은 이제 단순한 엔터테인먼트성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그 가운데 축적된 데이터가 그 자체로 다른 가치를 만드는데 쓰일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의 '생산적 소비' 행위는 '사용자 생성 컨텐츠'를 생산하여 온라인 게임 내적으로 회귀시키는 '재미노동'과 구별된다. 또한 게임행위의 결과(효과)가 플레이어에게 회귀되는 교육, 훈련, 치료,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게임의 생산 활동과도 다르다.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은 플레이어의 유희 욕망을 바탕으로 게임의 형식을 통해 집단적으로 생산된 게임 결과를 게임 외적으로 활용해 게임 개발자의 숨겨진 욕망을 채워준다.
        13.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dicinal plants used traditional medicin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formulary medicine which have been recorded on authorized books, for example, kampo drug in Japan. The second group is the fork medicines. These medicinal plants production is 165 billion yen(about 1.5 billion dollar) and which rate to to total pharmaceutical production is about 3% in 1990. The number of important medicinal plants treated in the market is 124 herbs from the total 364 herbs for kampo durgs(210 preparations kampo durgs) and other propritetary drugs (agents for common cold, laxatives, gastrointestional and so on). The production of the Ginseng and Bupleurum Root are increased about ten times in last twelve years(1976 or 1988). The 80% of these medicinal plants are imported from China, Korea and Southern Asian countries. Then the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shed "The Guideline of Medicinal Plant for Cultivation" for a quality control and a stabilization supply of 80 herbs. The first part(1992) of the guideline reported 5 herbs; Coptis Rhizome, Rehmannia Root, Bupleur, Root, Japanese Angelica Root and Rhubarb, The next part will be published following 5herbs; Cnidium Rhizome, Safflower, Coix seed and Fruiet, Platicodon Root and Zedo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