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긴노린재류(Nysius species)는 세계에 널리 퍼져 있는 해충으로 기주범위는 매우 넓으며 특히 국화과의 주요해충으 로 알려져 있다. 최근 종실 들깨에서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들깨를 수확할 때 종실과 같이 다량의 애긴노린재류가 함께 혼입되어 그 발생밀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애긴노린재류가 들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들깨 종실의 무게변화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건전한 들깨(들샘) 종실에 애긴노린재류 성충 0, 5, 10, 15, 20, 25마리를 인위적으로 접종하여 3일과 5일 후 들깨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접종한 노린재 밀도가 5, 10, 15, 20, 25마리로 높아질수록 0마리일 때 보다 들깨 무게가 3일 접종 시에는 각각 2.6, 5.5, 9.0, 10.5, 11.0% 감소하였고, 5일 접종 시에는 각각 2.9, 9.9, 12.0, 17.6, 18.1% 감소하였다. 애긴노린재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종실의 무게가 감소폭은 컸으며, 3일 접종 때보다 5일 접종 때가 들깨의 무게는 더욱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들깨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발아율도 함께 떨어졌다. 노린재 흡즙에 의한 피해로 들깨 종실의 무게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들깨의 발아율이 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2.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질(良質)의 천궁근(川芎根)을 생산(生産)하기 위한 우량품종(優良品種)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각(各) 주산지(主産地)의 재배산(栽培産) 종근(種根)을 수집하여 종근(種根)의 무게를 표준구(標準區)(20~25 g)와 소구(小區)(15~20 g)로 구분(區分)하여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주당(株當) 생근(生根) 및 건조근(乾燥根)의 중량(重量)은 표준구(標準區)가 92.7 g 과 18.5 g 이었으며, 소구(小區)에서는 94.5 g 과 17.0 g 이었다. 지역간(地域間)에는 울릉산(鬱陵産)이 타지역산(他地域産)에 비(比)하여 많았다. 생근(生根) 및 건조근(乾燥根)의 수량(收量)은 표준구(標準區)의 경우 906.8kg/10a와 190.2kg/10a이었으며, 소구(小區)에서는 721.2kg/10a, 165.2kg/10a으로서 표준구(標準區)의 수량(收量)이 더 많았으며, 울릉산(鬱陵産)의 수량(收量)이 타지역산(他地域産)에 비(比)하여 많았다. 회분(灰分) 및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은 각각(各各) 3.38~3.59%와 3.67~3.87%의 범위에 속(屬)하였으며, 대전(大田), 공주산(公州産)은 회분함량(灰分含量)이, 울릉산(鬱陵産)은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이 비교적 많았다. 표준구(標準區)에서는 주당(株當) 근중량(根重量) 및 수량(收量)은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소구(小區)에서는 회분함량(灰分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므로 천궁(川芎) 재배시(栽培時)에는 종근(種根)의 무게가 20 g 이상(以上)인 울릉산(鬱陵産)을 선정(選定)함이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한 천궁근(川芎根)을 생산(生産)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4,000원
        3.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많이 보급되고 있는 사배체품종(四倍體品種)들의 채종적기(採種適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Giant, Wase king, Wase hope, Tetrone를 공시(供試)하여 1984년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개화후(開花後) 10일(日)부터 34일(日)까지 주기적(週期的)으로 6회(回)에 걸쳐 종실(種實)의 수분함량(水分含量) 탈립(脫粒), 천립중(千粒重), 발아율(發芽率)을 조사(調査)하였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
        4,000원
        4.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대량번식 및 양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자 무게와 저장방법에 따른 발아특성과 유묘생장을 조사하였다. 실온저장과 4℃건조저장의 발아율은 종자 무게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습윤모래저장의 발아율은 종자무게가 무거울수록 높아졌으나 저장 120일에 매우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4℃ 습윤여과지저장의 발아율은 60 일, 90일, 120일 저장 모두 80% 이상으로 높았고, 종자 무게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발아일수는 실온저장과 건조저장에서 30일 내외의 긴 시간이 요구되었지만 습윤저장(모래, 여과지)은 13일 내외로서 짧았다. 엽수, 엽건물중, 줄기직경, 뿌리건물중은 종자 무게 1.21 g 이상부터 평균치를 상회하였고, 줄기길이는 종자 무게 1.01 g, 식물체건물중은 종자 무게 0.81 g, 줄기건물중은 종자 무게 0.61 g부터 유묘의 평균치를 상회하였다. 유묘 생장은 종자 무게가 무거울수록 양호하였으며, T/R율은 종자가 무거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동백나무 유묘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종자 무게 및 크기를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고, 파종을 위한 종자저장은 4℃ 습윤여과 지저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of excellent resources and true seeds of southern medicinal plant (Camellia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 Camellia japonica seedlings (measure in October, seeding in May) were 7.4 leaves, 1.0 g leaf dry weight, 6.7 ㎝ stem length, 2.9 ㎜ stem diameter, 0.3 g stem dry weight, 17.3 ㎝ root length, 1.0 g root dry weight, 2.0 g plant dry weight and 1.4. T/R ratio. Leaf number, leaf dry weight, stem diameter and root dry weight were higher than average after 1.21 g of seed weight. Stem length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1.01 g of seed weight, plant dry weight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0.81 g of seed weight, and stem dry weight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0.61 g of seed weight. Seedling growth was good when the seeds were heavy, and T/R ratio tended to decrease when the seeds were heavy. Conclusions : In order to mass-produce of seedlings using Camellia japonica seeds,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weight and size of the seeds.
        6.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of excellent resources and true seeds of southern medicinal plant (Camellia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 The germination rate at room temperature and 4℃ dry storage did not show a tendency according to seed weight. The germination rate of 4℃ wet sand storage increased with seed weight but showed very low germination rate at 120 days of storage. The germination rate at 4℃ wet filter paper storage was higher than 80% in 60 days, 90 days and 120 days storag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rmination rate with seed weight. The mean number of germination days was about 30 days in average at room temperature and 4℃ dry storage, but wet storage (sand, filter paper) was short as about 13 days. Conclusions : The seeding of Camellia japonica seeds (last autumn harvest) in the spring of the next year was evaluated as the most efficient way to 4℃ wet filter paper storage
        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 weight (SW), often expressed as 100-seed weight (HSW), is an important yield component in soybean and has been foun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 yield. It is shown to behave as a quantitative trait controlled by many loci that are largely unclear. In this study, we represent the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regions controlling the seed weight in soybean. We used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 population, consisting of 188 lines derived from a cross of a wild soybean PI483463 (HSW: 0.85g) and a cultivated soybean cultivar Hutcheson (HSW: 14.05g) to identify the chromosomal regions controlling the SW trait. The population, along with parental samples and check, William82 (HSW: 21.2g) was grown for four years and phenotype data was recorded postharvest. A total of 535 SNP and 16 SSR markers, polymorphic between the parents were employed to genotype the RILs using Golden gate assay to develop the linkage map. Whole genome QTL scanning identified a total of 17 QTLs, spanning 10 chromosomes for the 100-seed weight. All these QTLs explained phenotypic variation (PV) in the range of 3.77 to 12.33%. Of the 17 QTLs, 2 QTLs qSWA1-1 and qSWD2-1, found to be the consistent QTLs, expressing in all the four environments. The QTL qSWD2-1 explained highest contribution to the total PV with 10.04 -12.23 %. The remaining 15 QTLs were identified in at least one environment with PV ranging up to 10.39%.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genetic and molecular basis of SW and facilitate further genomic research leading to the yield improvements in soybean.
        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품종육성에 있어 잎의 크기가 종실무게와 관련된 형질 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조기선발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 명하고자 재래종, 도입종 및 야생종 등 229개 품종 및 유전 자원을 대상으로 단엽과 제1본엽 및 제3본엽과 종실 무게 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재료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의 단엽 면적은 3.2 ∼33.8 cm2, 제1본엽 면적은 9.2∼29.5 cm2, 제3본엽 면적은 7.2∼58.9 cm2, 종실의 100립 무게는 2.7∼ 39.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엽 면적과 종실 무게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상관의 크기는 단엽(r=0.80**), 제1본엽(0.75**), 제3 본엽(0.67**) 순으로 나타났다. 3. 엽의 장폭과 종실무게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단엽의 길이(0.71)와 폭(0.79)이 제1본엽, 제3 본엽 보다 상관이 높았으며, 엽장보다는 엽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된 콩 잎의 장 · 폭비는 상위엽이 높았다. 4. 콩 종실크기와 관련된 생육 초기선발의 간접지표로서 단엽 크기와 단엽의 폭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활성변화와 종실 수량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등숙관련효소인 ADP-glucose pyrophosphorylase(AGP)의 활성변화를 콩 품종별로 등숙기간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산나물콩은 협수 및 잎수가 131개 및 102개로 가장 많았으며, 100립중은 10.4g으로 가장 낮았으나 수량은 275kg/10a으로 가장 높아 물질생산 및 건물축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화시기(R1,R2) 에 AGP의 활성도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2. 품종별 CO2 동화량은 풍산나물콩이 20.96umolm2s1로 가장 많았으며 검정콩1호는 12.54umolm2s1로 가장 적었다. 3. 단파흑은 개체당 잎면적이 3,968cm2 로 가장 많고 100립중도 30.5g으로 가장 높은 반면 수량은 149kg/10a으로 가장 낮아 건물축적 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생육단계별 AGP활성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4. AGP의 small subunit은 60KD의 single band를 나타냈는데 개화기 이후 AGP의 활성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10.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란 재배시 관행적으로 이용가치가 적어서 버리는 설우(屑芋를 종우(種芋)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란의 출현은 종우(種芋)의 크기별로 약간의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인 설우(屑芋)나 소우(小芋)가 친우(親芋)보다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나 출현율은 친우가 높았다. 2. 생육은 자우(子芋)보다는 친우가 엽병장이 크고 엽병속수(葉炳束數)가 많아 양호하였으며, 자우(子芋)가 클수록 생육이 양호한 경 향이었다. 자우(子芋)중 설우(屑芋)도 엽병속이 1.5~2.6개 발생되어 정상적인 생장이 가능하였다. 3.토란 종우(種芋)의 크기에 따른 괴경(塊莖)과 부산물(副産物) 엽병(葉炳)의 수량은 자우(子芋)의 크기간에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가 클수록 수량이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설우(屑芋)도 크기에 따라 10a 당730~1,680kg의 괴경(壞莖)과 100~310kg의 엽병(葉炳)을 생산할 수가 있어서 대면적의 재배시 종우(種芋)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1.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seed weight is a important trait in cultivar developmen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nfirm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for seed weight variation in the F2 and F2:3 generations. QTLs for seed weight were identified in F2 and F2:3 generations using interval mapping (MapMaker/QTL) and single-factor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 the F2 plant generation (i.e., F3 seed), three markers, OPL9a, OPM7a, and OPAC12 were significantly (P<0.01) associated with seed weight QTLs. In the F2:3 plant row generation (i.e., F4 seed), five markers, OPA9a, OPG19, OPL9b, OPP11, and Sat_085 were significantly (P<0.01) associated with seed weight QTLs. Two markers, OPL9a and OPL9b were significantly (P<0.05) associated with seed weight QTLs in both generations. Two QTLs on USDA soybean linkage group C1 and R were identified in both F2 and F2:3 generations using interval mapping. The linkage group C1 QTL explained 16% of the variation in seed weight in both generations, and the linkage group R QTL explained 39% and 41% of the variation for F2 and F2:3 generation, respectively. The linkage group C2 QTL identified in F2:3 generation explained 14.9% of variation. Linkage groups C1, C2 and R had previously been identified as harbouring seed size QTLs. The consistency of QTLs across generations and populations indicates that marker-assisted selection is possible in a soybean breeding program.
        12.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mall seed size is one of the major traits of soybean cultivars for sprouts with regard to high sprout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seed size and weight in a set of F 6 seeds of 89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developed for sprouts and 'Jinpumkong 2', a soybean cultivar with no beany taste in seed due to the lack of lipoxygenases. The genetic map of 25 linkage groups with a total of 98 markers including RFLP, RAPD, SSR and classical markers was constructed from this F/sbu 5/-derived population and was used for QTL analysis. 'Pureunkong' was significantly smaller (P<0.01) than 'Jinpumkong 2'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Genetic variation was detected and transgressive segregation was common in the population for these traits. Seven DNA markers including opT14-1600 in LG A2, opF02-400 in LG B2, Satt100, opC09-700, opG04-730 and opQll-650 in LG C2, and opY07-1100 & 1000 in LG(unknow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and accounted for 4.7 to 10.9% and 5.1 to 10.1 % of the phenotypic variation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respectively. 'Pureunkong' alleles increased seed size and seed weight at the all four significant marker loci on the LG C2. These marker loci in LG C2 were closely linked and were presumed to be a single QTL. Overall, at least three independent QTLs from 3 linkage groups (A2, B2, and C2) were putatively involved in the control of seed size and seed weight.
        13.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황정(原黃精)(충층둥글레)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근(種根)을 선발(選拔)하고자, 청주(淸州)와 제천(提川)에서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종근(種根)의 크기를 15g, 30g, 45g, 60g(±2g) 별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파종(播種) 당년(當年)에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5일 늦었으나 파종(播種) 2 - 3년차(年次)부터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4 - 7일 빨랐으며 작은 종근(種根)보다 큰 종근(種根)일수록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초장(草長)과 경장(莖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15g 종근(種根)보다 60g 종근(種根)에서 더 길었다. 3 엽장(葉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5g 종근(種根) 〈 30g 〈 45g 〈 60g 종근(種根) 순(順)으로 큰 종근(種根)에서 길었으며 엽폭(葉幅)은 큰차이(差異)가 없었다. 4. 10a당 수량(收量)은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600kg/10a 이었으나 종근간(種根間)에서 15g의 종근(種根) 청주(淸州) 869kg, 제천(提川) 830kg에 비(比)하여 30g은 64 - 79%, 45g은 111 - 135%, 60g 종근(種根)은 157 - 161%가 각각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원황정(原黃精) 재배시(栽培時) 종근비(種根費) 등을 고려(考慮)하면 45g 내외(內外)의 종근(種根)이 유리(有利) 할 것으로 판단(判斷) 되었다.
        14.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에서는 중부이남 전역에서 수집한 재래재배종 대두 2,748 계통을 재배하여 백립중군을 분류하고 백립중군별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1. 백립중은 최소 7.3g부터 최대 48.4g까지 변이폭이 매우 컸으며, 군별 분류결과 1군(10.0g 이하)에 2.2%(60 계통), 2군(10.1-15.0g)에 14.7%(404 계통), 3군(15.1-20.0g)에 11.7%(323 계통), 4군(20.1-25.0g)에 26.2%(720 계통), 5군(25.1-30.0g)에 30.2%(829 계통), 6군(30.1-35.0g)에 10.6% (292 계통), 7군(35.1-40.0g)에 3.3%(91 계통), 8군 (40.0g 이상)에 1.1%(29 계통)가 분포되었다. 2. 백두중과 저형질과의 상관관계는 백립중과 성숙기, 결실일수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었으나, 백립중과 개화기, 경장, 분지수, 절수, 협수, 도복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3. 백립중군별 평균협수는 백립중이 가벼운 1군이 66개로 가장 많았으며, 백립중이 가장 무거운 8군이 30개로 협수가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