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에서 수인목판화가 사회주의 민족미술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그 주요 특징 을 고찰하였다. 2017년 수인목판화기법이 북한의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수 인목판화는 여전히 북한 미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수인목 판화가 대두하게 된 배경을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50년대 말 북 한 미술계에서 동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화를 민족적 양식으로 재발견하였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한 수인목판화의 기법을 도입하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 중반 북ㆍ중 외교갈등 속에서 북한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주체미술론을 바탕으 로 출판미술에서도 조선화화법의 도입을 요구했다. 둘째, 1991년 김정일의 「미술론」 발표 이후 북한 미술계는 수인목판화를 민족판화로 주목하며 그 민족적 독자성을 강조했다. 본 연 구는 또한 북한 수인목판화의 주요 소재를 체제선전, 전통풍속, 자연풍경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북한 수인목판화는 여성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통한 체제선전과 인민 의 정신함양을 도모하는 점에서 중국 수인목판화와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특히 북한 수인 목판화와 중국 수인목판화가 각각 조선화와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과 담채의 처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북한 민중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작품들은 북한 당국의 민족체육 정책과 관련이 있는데, 수묵과 색조의 농담 보다는 먹선으로 윤곽을 잡고 수성안료로 색을 표현한 북한 초기 배운성의 수인목판화 특징 이 엿보인다. 북한의 수인목판화는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하는 대표적 시각예술로, 민족 주의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arying levels of neutral detergent-soluble fiber (NDSF) in Hanwoo growing cattle diets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CH4) emissions. A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experiment utilized feeds with different NDSF levels, incorporating ingredients such as corn grain, soybean meal, soybean hulls, palm kernel meal, beet pulp and timothy hay. The NDSF contents in the diets were 9.02% (T1), 10.09% (T2), 12.42% (T3) and 14.63% (T4).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t 48 h was 7.4% higher for T4 compared to T1 (p<0.05). Total gas production at 48 h was 6.6% higher for T4 than T1 (p<0.05). CH4 pro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t 9 h and 12 h for T1 and T2 (p<0.05). At 48 h, CH4 production was 5.6% higher for T4 compared to T1 and 6.7% higher compared to T2 (p<0.05). At 12 h ans 24 h, the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of T4 was approximately 33.1% and 40.4% lower, respectively, compared to T1 (p<0.05). The acetate to propionate ratio at 48 h was approximately 18.8% higher for T4 than T1 (p<0.05). From 9 h to 48 h, the proportions of butyrate and vale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4 (p<0.05). At 48 h, the dominant phylum in T4's rumen microbial community was Candidatus Thermoplasmatota Methanomassiliicoccus, an Archaea.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increasing the NDSF content in growing Hanwoo cattle diets up to 12.42% increases IVDMD without increasing CH4 emissions, which is expected to positively impact Hanwoo productivity.
헤스페리딘(Hesperidin, HD)은 다양한 식물체에 존재하는, 강한 항산화 기능을 가진 대표적인 flavonoid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HD인 Hesperidin glucoside(HDG)가 가지는 세포손상 회복, 항염증 인자억제 및 melanin 생성억제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비교하였다. HDG는 HD에 당전이 효소반응 으로 제조되었으며, HD에 비해 20,000배 이상 수용해도가 증가되었다. HaCa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은 HDG가 HD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HD와 HDG는 모두 자외선 조사된 HaCaT 세포에서 세포생존율 회 복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D와 HDG는 세포내 산화질소(NO), 종양괴사인자-α(TNF-α) 및 인터루킨 -6(IL-6)과 같은 염증 매개체 및 cytokine을 감소시켰으며, HD 보다는 HDG의 효과가 다소 우수하였다. Melanoma B16F10 세포주를 이용한 melanin 형성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HD와 HDG 모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DG가 약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HD의 당전이체인 HDG는 HD에 비해 동등이상의 세포손상 회복, 염증성 매개체 및 cytokine 억제능과 melanin 형성억제능을 나타내 었으며, HDG의 높은 수용성과 낮은 세포독성 등의 특성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용도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colloidal silica-containing powder to enhance the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rivaroxaban using a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NEDDS).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oidal silica on a nanoemulsion system for preparing powdered SNEDDS. The liquid SNEDDS comprises 30/20/50 (w/w/w) Peceol/ Cremophor RH40/Tween 80,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the smallest droplets. Three powdered SNEDDS formulations are prepared by suspending the liquid SNEDDS formulation using colloidal silica and spray drying. The powdered SNEDDS prepared with liquid SNEDDS and colloidal silica at a ratio of 1/0.5 (w/w) exhibits the highest water solubility (0.94 ± 0.62 vs. 26.70 ± 1.81 μg/mL) and dissolution rate (38.4 ± 3.6 vs. 85.5 ± 3.4%, 45 min) when compared to the drug alone. Morphologically, the liquid SNEDDS is adsorbed onto colloidal silica and forms smaller particles. In conclusion, an SNEDDS containing rivaroxaban, prepared using colloidal silica, facilitates the creation of a nanoemulsion and enhances the water solubility of rivaroxaban. Accordingly, this technology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commercialization.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로인해 진드기와 냄새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충국 추출물 (Tanacetum cinerariifolium), 수용성 피톤치드(water-soluble phytoncide)가 진드기 퇴치제로서 효과와 탈취 및 항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에서 제충국 추출물(Tanacetum cinerariifolium) 23.33점, 수용성 피톤치드 22.00점 으로 높은 기피효과를 보였다. 복합추출물로서의 진드기 기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 실험에서 기피 효과가 확인된 제충국 추출물, 수용성 피톤치 드를 포함한 복합추출물(Sample이라 함.), 타사 제품(Control이라 함.)로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를 진행하였다. 결과 Sample 13.00점, Control 26.67점으로 Sample이 높은 기피 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진드기 실내 기피제 효력 시험법에서도 Sample이 88%, Control이 12%로 우수한 진드기 기피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을 가지고 탈취 시험을 진행한 결과 암모니아에서 98.3%, 트리메틸아민에서 99.5%의 탈취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항균시험에서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모두 99.9%의 항균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위 소재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은 추후 진드기 기피제와 탈취 및 항균에도 효과가 있는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Carbon dots (CDs) were synthesized from phloroglucinol (PG) by simple heat treatment at 220–230 °C in the atmosphere without catalysts and solvents. PG-CDs heated at 220–230 °C could be completely dissolv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and exhibited a photoluminescence (PL) peak at 485 nm with 85 nm of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The water-soluble polymer-dot-like PG-CDs were estimated to be 1.6–3.2 nm in size, and exhibited a wide range of PL wavelength at 370–630 nm. Since the PG-CDs are water-soluble materials, PG-CDs could be homogeneously mixed with a polymer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PVP) in water as a solvent, and PG-CDs/PVP films were prepared. The films exhibited PL characteristics that convert ultraviolet light at 350 nm to visible light above 400 nm. Thus, using PG as the raw material which has widely been produced industrially, the water-soluble fluorescent PG-CDs/PVP films could be prepared at a low cost by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stir-frying, steaming, superheated-steaming) on the contents and the true retention of moisture, water-soluble vitamins, and bioactive compounds of ten selected vegetables: broccoli, brussels sprout, cabbage, eggplant, green bean, onion, red cabbage, red onion, squash, and tomato. The total color difference (ΔE) values were decreased after stir-frying the samples, except for eggplant, green bean, and tomato. The true retention of water-soluble vitamins (B1, B2, B3, and C) was increased in most vegetables after superheated-steaming, as compared to steaming and stir-frying. Moreover, compared to the uncooked vegetables, a higher true retention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as obtained for most vegetables subsequent to superheated-steaming.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detected only in eggplant, red cabbage, and red onion, and a smaller loss of anthocyanin was determined after subjecting red cabbage to superheated-steaming. Also,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superheatedsteaming vegetables, except in eggplant and squas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erheated-steaming induces a positive effect for retaining water-soluble vitamin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vegetables.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water-soluble vitamins such as vitamin B1 (thiamin), B2 (riboflavin), B3 (niacin), B5 (pantothenic acid), B6 (pyridoxine), B7 (biotin), B12 (cyanocobalamin), and C (ascorbic acid) in dishes containing meat and seafood consumed in Korea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ltraviolet and fluorescence detection.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nder strict quality control of vitamins B1, B2, B3, B5, B6, B7, B12, and C.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1 was observed in Bugeo-gangjeong (1.373 mg/100 g) an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B2 (5.162 mg/100 g) was found in pig liver. Bugeo-gangjeong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3 (21.676 mg/100 g), and kkomak-muchim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s (43.310 mg/100 g) of vitamin B5. Vitamin B6 was not detected in most seafood dishes except for yangnyeom myeongran-jeot (0.274 mg/100 g) and was present at low levels or not present at all in meat dishes.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7 was 6.506 μg/100 g in saeu-jeon and kkomak-muchim showed the highest content (21.132 μg/100 g) of vitamin B12.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C was in yangnyeom myeongran-jeot (84.508 mg/100 g). In addition, the analysis methods of each water-soluble vitamin were verified. These results showed that seafood-based ingredients in several dishes could be a good source of water-soluble vitamins.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상으로 겨울철 한파와 봄철 저온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과수의 개화기 저온피해는 꽃눈의 생육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발육이 진전될수록 내한성이 약해져 개화 직전부터 낙화 후 1주까지 한계온도가 다르게 발생한다. 따라서 개화기가 빠른 사과 ‘홍로’가 ‘후지’보다 피해가 심각한 것이 일반적이나 2020년 4월 저온피해는 개화기가 늦은 ‘후지’의 피해가 심하게 발생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충북 보은군 사과나무 ‘후지’와 ‘홍로’를 동시에 재배하는 2농가를 대상으로 품종 간 피해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확한 품종 간 비교 분석을 위하여 생육단계가 동일한 시료를 선택하여 인위적으로 저온처리(-2.0℃, -4.0℃)를 하여 피해 정도를 조사하고, 원인 분석을 위해 조직 내 유리당과 호르몬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2농가 모두 ‘후지’가 ‘홍로’보다 피해율이 높았으며, 특히 B농가(저지대, 평지) ‘후지’의 경우 피해율이 60.5%로 가장 높았다. 또한 동일한 생육 단계의 시료를 사용한 인위적 저온 처리 시험결과에서도 ‘후 지’와 ‘홍로’ 품종 간 피해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리당 함량은 저온 피해율이 낮았던 ‘홍로’가‘후지’보다 높았으며, 호르몬 분석 결과 정상 꽃눈보다 손상된 조직에서 ABA, IAA 와 SA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조직내 유리당 함량이 높으면 저온 피해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저온 피해율은 sorbitol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식생활의 기본적인 구성식단 중 하나인 고기류, 곡류, 그리고 면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 B군(B1, B2, B3, B7)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고기류의 B1은 0.039-0.295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2는 0.029-0.32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3는 0.158-3.183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7은 0.812- 2.588 μ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곡류의 경우 B1은 0.069-0.09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2는 0.008- 0.100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3는 0.092-0.709 mg/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7은 0.814-8.918 μ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면류의 경우 B1은 0.057-0.128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2는 0.008-0.048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3는 0.022-6.53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7은 0.474-3.067 μ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고기류, 곡류, 그리고 면류에 수용성 비타민 함량은 영양성분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로써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ndoseal TCS, an mineral trioxide aggregate-based root canal sealer, mixed with water-soluble mangostin derivatives (WsMD) of Garcinia mangostana L. (mangosteen) ethanol extract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ndoseal TCS mixed with WsMD against three strains of E. faecalis and three strains of S. aureus was performed using agar diffusion test. The data showed that Endoseal TCS mixed with 0.115% WsMD had a zone of inhibition of 0.7 ± 0.2–2.4 ± 0.1 mm. The results suggest that Endoseal TCS mixed with WsMD of Garcinia mangostana L. ethanol extract is useful as a root canal sealer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faecalis and S. aureus .
본 연구에서는 13종의 밥류, 11종의 면류, 그리고 15종 의 소스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 B1 (thiamin), B2 (riboflavin), 그리고 B3 (niacin)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검출한계(LOD) 와 정량한계(LOQ)를 확인하였으며, 표준인증물질(SRM 1849a)을 통한 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여 우수한 지표를 나타내었다. Thiamin에서 밥류의 경우 잡채밥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고, 면류의 경우 막국수, 그리고 소스류의 경우 토마토 스파게티소스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Riboflavin은 밥류의 경우 짜장밥, 면류의 경우 비빔국수, 소스류의 경우 강황카레 약간 매운맛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Niacin에서는 밥류, 면류, 그리고 소스류에서 각각 치킨볶음밥, 잔치국수, 짜장 소스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한국인 성인 남녀의 수용성 비타민 1일 섭취권장량에 대하여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양을 확인한 결과 강황카레 약간 매운맛에서 가장 높은 riboflavin의 함량이 남자의 경우 217.40%, 여자의 경우 271.75%로 가장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밥류, 면류, 그리고 소스류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에 대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1일 섭취권장량에 대한 식품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의 함량 확인을 통해 국민 식생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vitamins B1 (thiamine), B2 (riboflavin), B3 (niacin) and B12 (cyanocobalamin) in seafood-based dishes by using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he ultra violet and fluorescence detector. The vitamin B1, B2, B3 and B12 contents were analyzed in 29 seafood-based dishes. The method validation was performed on the method to determine the linearity, accuracy, limits of quantification, limits of detection and precision for vitamin B1, B2, B3 and B12. An excellent linearity range (R2=0.999~1.000) in the calibration curve for the water-soluble vitamins was observed. All analytical methods for the water-soluble vitamins showed the acceptable accuracy (89.4~119.7% recovery) and the precision (0.6~4.8% repeatability and 1.0~4.2% reproducibility).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1 was 2.646 mg/100 g in the kkongchi-jorim, and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B2, B3 and B12 were 0.370 mg/100 g, 10.971 mg/100 g, and 17.193 μg/100 g, respectively, in the kkongchi-gui. Our results provide reliable data on the contents of the water-soluble vitamins of seafood-based dishes in Korea.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 was successfully prepared from tetrahydrofuran-soluble fraction of coal tar pitch cocarbonization with petrolatum by air-blowing. The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mount of petrolatum added on the composition and spinning properties of resultant pitches were investigated. It indicated that petrolatum could effectively improve the softening point, aromaticity, hydrogen content and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ant pitches by promoting cross-linking and dehydrogenation polymerization reactions at low air-blowing temperature. Moreover, more aliphatic and naphthenic structures had been introduced into resultant pitches as addition of petrolatum and also inhibited the generation of quinoline-insoluble particles. The obtained green fibers were facile to be stabilized and carbonized and the resultant carbon fibers showed fully isotropic and finer, uniform diameter with smooth surface and higher tensile strength of up to 0.92 GPa. It provided a facile chemical modification method for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 production.
Mechanically enhanced supramolecular carbon nanotube (CNT) films were prepared in water by employing the π-electronrich phenyl, naphthalenyl, and pyrenyl end-functionalized polyethylene oxides (PEOs) as supramolecular linkers, followed by vacuum filtration. Among them, the supramolecular CNT film produced by the pyrenyl end-functionalized PEO (PEOPy) exhibited the highest mechanical strength, which was ~ 1.5–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NT films produced using the typical dispersant, Triton X-100, although the functionality of PEO-Py was lower than that prepared using other linkers, and the content of PEO-Py in the CNT films was lower than that obtained using Triton X-100. Fluorescence and UV–Vis spectroscopy demonstrated that the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upramolecular CNT film result from the formation of π–π interactions between the CNT and the pyrene moieties of the PEO-Py linker. Finally, the supramolecular CNT film exhibited a 40–50 dB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iciency through hybridization with silver nanow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