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도는 한반도와는 다른 기후와 생태계로 특이성과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독도의 전반적인 생태계를 관찰하고, 주요 식생에 고정조사구 를 지정하여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독도 식생 경쟁 및 천이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의 식생은 시기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도 외부유입종인 큰이삭풀, 왕호장근의 세력 확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생태계복원사업 시행으 로 식재된 사철나무, 섬괴불나무의 군락이 소규모 안정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comparatively the ground beetle communities of 1993 and 2023, with 30 year interval, in broadleaf and coniferous stands of the Gwangneung forest, a biosphere reserve in South Korea. 2,906 individuals (53 species, 38 genera, and 15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broadleaf stands and 1,782 individuals (36 species, 32 genera, and 14 families) from coniferous stands in 1993. The dominant species was Synuchus cycloderus in both stands. In 2023, 1,682 individuals (110 species, 78 genera, 21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broadleaf stands and 990 individuals (92 species, 67 genera, 22 families) from coniferous stands. In 2023, the dominant species were Eucarabus (Parhomopterus) sternbergi sternbergi in broadleaf stands and Coptolabrus jankowskii jankowskii in coniferous stands. Species richness (R'), species evenness (E'), species diversity (H'), and dominance (DI) were all higher than in broadleaf (R'=15.472, E'=0.336, H'=1.601, and DI=0.371) and coniferous (R'=13.756, E'=0.369, H'=1.324, and DI=0.326) forests in 2023.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류는 서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 양상과 개체군의 군집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감지하는 지표종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라산 아고산지역에 서식하는 나비 개체군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영실에서 백록담까지 9개 구간을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확인된 나비목 곤충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는 총 5과 35종 15,943개체로 나타났으며 2018년이 다른 해에 비해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간별로는 선작지왓부터 윗세오름 통제소까지 구간 (D)에서 29종, 남벽통제소부터 백록담까지 구간(H)에서 4,590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A구간과 6월, 풍부도 지수는 D구간과 7월, 균등도 지수는 G구간과 7월이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종다양도 지수는 A구간이 가장 낮은 반면 그 외 구간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월별로는 7월이 가장 높았 다.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8개의 생물기후인자를 분석한 결과 주요 출현종의 분포는 강수량과 강수 일수가 개체 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강 수계의 대형보가 2017년 6월부터 수문을 개방하기 시작하면서, 보의 상·하류에 다양한 모래톱이 드러나거나 새롭게 만들어지면서, 하천사주 지형의 생태계 가치를 파악하는 연구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을 대상으로, 광학 위성영상 공간분석을 통하여 보 건설 전, 보 건설 이후, 보 수문개방 후의 하천의 수변 서식처 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은 물의 난반사로 인하여 수중공간을 구분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수역은 단일 분류하고, 육상역인 하안사주와 하중도를 나지 부, 초본부, 목본부, 웅덩이 등으로 세분류하여 총 9개의 서식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위성영상을 공간분석하여 단위서식처를 추출하고 그 면적비를 산출하였다. 보 건설 전·후를 비교한 결과, 보 건설 전에는 3개보 모두에서 전구간에서 사주가 폭넓게 발생하였지만, 보 건설 후에는 대부분의 사주면적이 급감하였으며, 특히 나지형 사주는 거의 사라졌다. 이러한 효과는 하류 공주보와 백제보로 갈수록 더욱 두드러진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수문개방 이후에는 다시 사주의 면적비는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나지형 사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상류 세종보에서 가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금강수계에서 보 건설에 의한 서식처 감소효과는 수계의 하류로 갈수록 크고, 보 개방에 따른 서식처 회복은 수계의 상류로 갈수록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을 발견하였다. 앞으로 서식처다양성과 생물다양성 간의 관계 연구를 통하여 조절하천의 자연성 회복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농촌 경관은 논과 밭을 중심으로 넓은 경작지와 함께 숲이 어우러진 다소 복잡한 경관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숲은 농경지와 산림 서식지 간 생물 이동과 종자 전파를 원활하게 하는 생태통로와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피난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곤충 개체군의 이동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각 서식지 간 다양성 양상을 시공간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는 충남 (금산)과 충북 (옥천), 전남 (해남, 영광) 등 4지역에서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으며 나방은 자외선등 트랩을 딱정벌레는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딱정벌레는 35과 225종 2,457개체, 나방은 17과 141종 40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역별로는 딱정 벌레 종 수와 개체수 모두 충청지역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 으나 나방은 두 지역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서식지 유형별 종 수와 개체수 양상은 산림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 로 과수원, 논 순이었다. 서식지 간 식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산림에서는 초식성곤충이 과수원과 논에서는 포식성 곤충 출현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나방은 전남과 충청의 출현이 동일한 반면 딱정벌레는 시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식지별로 숲, 과수원, 논 등에서 모두 봄과 여름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논에서는 늦여름에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딱정벌레 역시 나방과 유사하였지만 숲에서 과수원이나 논보다 늦게 개체수가 늘어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추후 농경생태계 내 다른 서식지 형태 사이에서 분류 군의 출현양상에 대한 장기간 조사를 통하여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계절학적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의해 참매미 번식울음이 영향을 받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기상청의 생물계절 관측이 이루어지는 도시 중 한반도 중부지방인 서울시를 선정했다. 장기간 생물계절 분석은 기상청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매미의 생물계절 모니터링은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 연구를 위해서는 향후 장기적인 매미과 생물계절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참매미의 생물계절 변화 분석 결과, 초성일은 점점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참매미 생물계절 데이터와 평균기온 간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6월의 평균기온과 매미의 초성시기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월의 강우량과 참매미의 번식울음 종료 시기 및 총 울음기간이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서울 참매미 번식울음 시작 시기와 기상요인 간 회귀분석 결과, 6월을 포함한 봄철(3~6월) 평균 기온이 증가할수록 참매미의 시작일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작일 증가율은 약 3.0~4.5일/1℃이었다. 넷째, 서울 참매미의 번식울음 종료 시기와 총 울음기간과 기상요인 간 회귀분석 결과, 10월 평균 강우량이 증가하면 참매미 종료일이 빨라지고 총 울음기간이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성일 감소율은 –0.78일/1mm이었으며 울음기간 감소율은 –0.8일/1mm이었다. 본 연구는 참매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에 의한 생물계절 변화를 밝힌 초기 연구로 의의가 있다.
        4,000원
        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 내 상업지역의 지리적 분포 양상과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변화가 활발히 일어나는 홍대지역을 사례로 상업 집적지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발생한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 변화를 탐지하는 데에 적합성이 높은 유동인구 자료와 기존의 연구들에서 활용한 요식업 현황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2016 4월년부터 2017년 4월까지 세 개 시점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인구유동 자료에 기반을 둔 분석 결과, 홍대지역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가 점차 확장되었으며 특히 북측 방향과 남측 방향으로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요식업 현황 자료에서도 유사한 공간적 변화가 탐지되었으나, 변화량이 다소 적게 나타났다. 홍대지역과 신촌·이대거리, 망리단길은 상업 집적지 간의 연결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별개의 집적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홍대지역의 상업 집적지는 포화상태인 기존의 공간적 범위를 벗어나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가로 확장되는 형태로 변화해나간다는 점이 재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와 방법론 및 정량적 분석 결과는 젠트리피케이션을 비롯하여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관련된 논의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800원
        1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every summer, cicadas emerge and become numerically and ecologically dominant in Korean penninsula. Especially, cicada emergence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in cicada species, we analyzed the temporal changes in cicada exuviae based on meteorological and non-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artificial light intensity and habitat characters on urban park area surrounded by residential houses. Combined multivariate analyses with a cluster analysi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re conducted.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cluster based on differences of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Moreover, Random Forest model (RF) showed a high predictability of daily mean temperature on species peak abundance. These results provide a strong evidence that meteorological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icada emergences. Regarding the non-meteorological factors, we found no relationship in cicada emergence.
        1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rovement in functional gait is one of treatment goals in treatment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on gait in spastic cerebral palsy patients by investigating changes in gait temporal spatial parameters. As the subjects, 15 spastic bilateral cerebral palsy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mporal spati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using GAITRite system under three gait conditions. Bare foot gait, gait in shoes, and gait in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look at differences in temporal spatial parameters according to three gait conditions, repeate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As post hoc test, Bonferroni was conducted. A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α=.0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the left lower extremity significantly changed. When the subjects put on customized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the effect was grea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tance time, single support time, double support time, swing % of gait, and stance % of cycle. Therefore, gait with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positively influenced functional gait improvement and will be able to be usefully employed for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as one of gait assistance devices.
        4,000원
        1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emporal variations of soil CO₂ efflux (Rs) under sown alfalfa pasture and rangeland in the Loess Plateau was studied. Results showed t㏊t diurnal changes of soil CO₂ efflux were highly associated with changes of soil temperature, with tendency t㏊t the minimum values occurred between 0100 to 0600 (Beijing Standard Time, BST), maximum value between 1200 and 1600. Soil temperature at 5㎝ depth gave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ccount for 72.2% and 89.5% of diurnal variation in soil CO₂ effluxes at rangeland and alfalfa pasture, respectively. Annual CO₂ emissions from alfalfa pasture were 488.5 g C/㎡/yr, which was higher t㏊n t㏊t from rangeland.
        1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irst occurrence of oak wilt disease(OWD) in Korea was reported in 2004 and a Platypodid beetle, Platypus koryoensis, was known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To reduce the oak wilt disease, it is necessary to control density of P. koryoensis under injury level. This experiment conducted to clarify the flying period of adult P. koryoensis. Four forests containing dead trees by OWD were selected and the location of the experimental sites were Mt. Surak in Seoul, Goyang-si, Paju-si in Gyeonggi-do, Hongcheon-gun in Gangwon-do. Sticky trap or vertical multi-funnel trap was settled on Quercus mongolica trees located in infested forest. Density of P. koryoensis was survey with one or two week interval from May to October in 2007 and 2008. The number of the beetle collected by the vertical trap and sticky trap was positively correlated (r2=0.69). The optimum flying period of the beetle was ranged from late June to late July with geographical variations.
        1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에 연계되어 있는 사기막천(비오염 지점), 조종천(중등도오염 지점), 마석천(오염 지점)을 대상으로(7개 지점)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을 1993년 1년간 채집, 분류하고, 우점 지수, 종다양성 지수, 유사도 지수 및 풍부도 지수치를 월별로 비교하여 각 지점에서의 수질을 생물학적 또는 생태학적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기막천의 1지점에서는 Epeorus pellucidus, Uracanthella rufa 및 Drunella a
        4,000원
        15.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five hydropower dam reservoirs in South Korea.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and chlorophyll-a (Chl-a) showed high fluctuations in summer and autumn at all reservoir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seasonal effects. At all five reservoirs, the concentrations of suspended solids (SS) and total nitrogen (TN) fell under the “slightly bad” category and those of total organic carbon (TOC) fell under the “slightly good” category or higher,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living environment of lake water quality.”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ranges and degrees of change in SS, TN, and TOC among reservoirs were observed, indicating the influences of rainfall,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easonal changes. Daecheong and Namgang Dam showed high Chl-a concentrations in summer, indicating that the metabolism of microbial communities, such as algae, was active.
        1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상의 시공간적변동에 대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1차원HEC-RAS 모델과 2차원CCHE2D 모델을 이용해 하상변동을 평가하였다. 실제하천의 장기간 하상변동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변동 특성을 일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변화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있는 평가방법을개발하고자유사단면누가곡선, 유사단면모멘트, 유사확률분포함수의 세 가지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유사단면 누가곡선법은 단면의 총량적 개념의 침식 또는 퇴적
        1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is known to affect both natural and managed ecosystems, and will likely impact on the terrestrail carbon balance. This paper report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patial-temporal changes in carbon reductions in South Korea's during 2000-2100. Future carbon (C) stock distributions are simulated for the same period using various spatial data sets including land cover, net primary production(NPP) and leaf area index (LAI) obtained from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climate data from Data Assimilation Office(DAO)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This study attempts to predict future NPP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o model dependence of soil respiration on soil temperature. Plants store large amounts of carbon during the growing periods. During 2030-2100, Carbon accumulation in vegetation was increased to 566~610gC/m2/year owing to climate change. On the other hand, soil respiration is a key ecosystem process that releases carbon from the soil in the form of carbon dioxide. The estimated soil respiration spatially ranged from 49gC/m2/year to 231gC/m2/year in the year of 2010, and correlating well with the reference value. This results include Spatial-Temporal C reduction vari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fore this results is more comprehensive than previous results. The uncertainty in this study is still large, but it can be reduced if a detailed map becomes available.
        1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rine dinoflagellate Alexandrium minutum producing paralytic shellfish toxins is responsible for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To investigate its temporal distributions in Chinhae Bay where PSP occurs annually, SYBR GreenⅠ based A. minutum-specific real-time PCR probe was developed on the LSU rDNA region. Assay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ere tested against related species, and its specif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sequencing of field-derived samples. Ten months field survey in 2008 (a total 100 surface water samples) by using the real-time PCR probe showed that A. minutum was detected at very low densities of 1-4 cells L-1 in May and June being spring in Chinhae Bay, Korea.
        19.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경년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천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천주위의 토지이용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안천 유역의 지방 1, 2급 하천에 해당하는 1966년, 1981년, 2000년 항공사진에 내, 외부표정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1914 - 1915년 지형도를 이용하여 1966년, 1981년, 2000년의 하천과 비교하였다. 이 영상을 이용하여 경년 하천형태와 하천부지의
        20.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tect and evaluate the historical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on the Balan watersheds from three thematic mapper (TM) data, which were taken in 1985, 1993, and 1996. The supervised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were adopted to classify five land cover categories: Paddy, upland, forest, residential, and water. The results indicated residential are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ast eleven years, Forest and paddy were converted to the urban areas. Future land cover patterns were forecasted using a Markov chain method, and the simulated land coiler change ratio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