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91

        26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을 바를 때 피부와 손가락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계수는 화장품의 주관적 평가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in-vivo상태에서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는 접촉자의 모양이나 거칠기의 정도 그리고 누르는 하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리니어 모터와 다축 로드셀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접촉자를 in-vivo상태에서 직접 피부에 접촉시키고 실시간으로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화장품을 바를 때의 전후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화장품을 바를 때 주관적인 평가에서 이용되는 형용사를 조사하며 마찰계수와의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는 화장품의 종류와 접촉자의 성질에 따라 0.17-1.2사이에서 나타나며, 주관적인 평가 또한 화장품을 바른 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변하며, 그것은 마찰계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6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cosmetics are emulsion products that contain the source of nutrition vegetable oil, mineral oil, natural extract and carbohydrate etc.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o be contaminated by microbia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with thiamine dilauryl sulfate(TDS), which was prepared to use cosmetic lotion formulation.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and Escherichia col(E. coli) were used as test organism. MIC value of TDS was determined aganist microorganism for the growth inhibition by concentration of TDS. From the MIC results, antimicrobial effect of TDS was generally more effective to gram positive than gram negative. Antimicrobial effect with pH value against some microorganism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 pH 5 > pH 6 > pH 7. It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and weak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If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formulations with TDS, it would be effective to reduce the artificial preservatives.
        4,000원
        26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of female cosmetics on the purchasing preferences of vie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onsumers of female cosmetics from their twenties to the forties. and were 195 consumers who dropped int
        4,000원
        267.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분 함량은 어린 동아 착즙에서는 3.1%, 익은 동아 착즙액에서는 0.1%를 나타냈고, 주성분은 당으로 89.7%를 나타냈다. 팩틴 함량은 익은 동아즙은 4.11mg/ml, 어린 동아즙은 4.43mg/ml이었다. 당 함량은 익은 동아 육질은 sucrose 0.1%, glucose 0.32%, fructose 0.35%, 미확인당 1이 0.06%, 2가 0.04%로 합계 0.87%를 나타냈다. 어린 동아 육질은 sucrose 0.33%, glucose 1.04%, fructose 1.12%, 미확인당 1이 0.18%, 2가 0.12%로 합4계 2.79%를 나타냈다. pH는 익은 동아는 4.64, 육질은 4.94, 어린 동아의 속은 4.96, 육질은 5.40을 나타냈다. 유기산은 익은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409, malic acid 0.084, succnic acid 0.048%, 속에는 citric acid 0.648, malic acid 0.127, succinic acid 0.057%, 어린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028, malic acid 0.219, succinic acid 0.298%, 속에는 citric acid 0.039, malic acid 0.360, succinic acid 0.224% 들어 있다. Fumaric acid는 미미하다. 총량은 익은 동아 속이 0.833, 어린 동아속 0.624, 어린 동아 육질 0.546, 익은 동아 육질 0.541이었다.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은 대조군이 9(Ø, cm)인데 반해, 비열처리 동아즙은 2.6, 열처리 동아즙은 2.5, 1/5 농축한 것은 1.9, 1/10 농축한 것은 2.5, 동결건조한 것은 2.3을 나타냈다. 멜라닌 생성 억제력은 0.01%에서 대조군이 29 ㎕/ml인데 반해 열처리 동아즙은 15 ㎕/ml을 나타냈고, 비열처리 동아즙은 이보다 약간 높았다. 1/5 농축한 것은 24 ㎕/ml, 1/10 농축한 것은 23 ㎕/ml, 동결건조한 것은 19 ㎕/ml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에 따라 동아즙을 30% 가하여 나리싱크림과 밀크로숀을 조제하였다.
        4,000원
        27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제품디자인관련 종사자들은 제품심미성이 소비자의 제품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 많은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ulcorner 소비자 반응에 대한 그 영향을 어떻게 측정 할 것인가\ulcorner 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에 대한 심미성 차원의 영향을 탐색하고, 남성용 화장품 용기의 심미성 차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측정을 통한 실증적 결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남성용화장품용기에 국한되었다 할지라도 다른 다양한 제품의 심미성 역할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27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4,000원
        27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합성타르색소인 적색204호, 적색215호, 등색203호의 3가지 색소에 대하여 유전독성시험을 행하였다.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에서의 염 색체이상시험과 ddY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 및 초파리 날개를 이용한 체세포돌연변이 재조합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염색체이상시험과 소핵시험에서는 적색204호, 적색215호, 등색203호에서는 유전독성을 나타내는 변이원으로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파리날개를 이용한 체세포돌연변이시험에서는 각각 100 ㎎/㎖에서 single small spot의 출현빈도가 p<0.05의 유의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양상을 보였고, twin spot의 빈도 수는 적색204호의 경우는 50 ㎎/㎖ 농도에서, 적색215호의 경우는 100 ㎎/㎖ 농도에서 p<0.05의 유의수준에서 증가양상을 보여 약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273.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the problem point of stability for this study to produce cosmetics and to occur in the circulation process, and specially in a case of alcoholic toilet water the precipitation materials to float on content materials has study on the solubility of perfume, and it has practiced in order to examine the problem point whether the raw materials of plastic vessel is or not harmful in content materials. In testing result, A study on stability of alcoholic toilet water is above all the precipitation materials which floats in content materials, and It is appeared by combination ratio to the raw materials of perfume, ethanol, solubilizer and refining water etcs, and in second the alkali degree which has gushed out of glass vessel can understand the thing that the change of PH is largely increased follow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in third the harmful component of content materials out of raw material in plastics vessel must certainly consider a stability and a safety in quality control of products.
        4,000원
        274.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raw materials, the inorganic pigments, such as mica, talc and some metal oxides were mainly used in Make-Up cosmetics. Some other polymerics, organics and functional pigments were also used to cope with the various consumer's demends. Recently, excellent sliding, adhensivness, coverture and UV cutting properties were strongly required in Make-Up cosmetics. According to these demends, it needs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each pigment and consider the proper use for some purpose. And so, this report introduce the properties of inorganics, polymerics and functional pigments and their application fields for Make-Up cosmetics.
        4,000원
        275.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념의 섭취는 고대 에집트 시절부터 시작되어서 현재에까지 인류의 식탁을 지켜 오고 있다. 양념의 용도는 시대에 따라서 다양화되고 있다. 고대에는 양념의 용도는 단순히 음식의 풍미를 돋구기 위해서 사용하였지만, 현대 사회로 올수록, 다양한 음식과 음료수의 맛과 향, 식품저장, 의학적 생리학적인 용도, 및 화장품 및 향수 제조를 위해서 사용한다.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양념의 수는 약 70여종에 이르고 있으나, 우리나라 식탁을 오르내리는 상용하는 양념의 수는 10종 내외로 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음식 향과 맛의 단조로움을 느끼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양념의 개발이 요청된다. 최근 들어와서 고추와 마늘의 생리학적 기능이 재평가되고 있어서, 현대인의 고민인 고혈압과 이와 관련된 순환계 계통의 질병 및 암의 발병 방지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되고 있다. 위궤양 및 위산분비 비정상인은 자극적인 양념인 고추나 마늘의 섭취를 금지하여 왔으나, 특별히 고추의 섭취가 이러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반듯이 위액분비를 자극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되어 있다. 양념에 함유된 영양소의 함량으로 미루어 보면 열량 무기질의 일부 및 비타민의 일부 공급원으로 중요하다. 한국인에게 중요한 양념으로 여겨지는 고추와 마늘의 섭취량은 한국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그 섭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4,000원
        276.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 점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화장품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화장품 회사들은 자신들만의 브랜드 전략과 홍보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한 마케팅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심층연구로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브랜드 태도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태도를 매개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관리 및 운용을 중요성을 인지하고 효율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한 제안으로 화장품 브랜드 연구에 대한 실증연구로써 화장품 브랜드 관리와 운용에 있어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와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27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로드샵이 많이 있는 명동쇼핑거리, 강남쇼핑거리, 이대쇼핑거리를 방문한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자 외선차단제 중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선쿠션 제품에 대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선택속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제품 구입 시 고려요인 6개 (‘사용감’, ‘자외선차단지수’, ‘용기디자인’, ‘편리성’, ‘브랜드’, ‘가격’)를 선정하여 각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연령별로 ‘자외선차단지수’와 ‘용기디자인’, ‘브랜드’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용기디자인’ 항목에서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와 40대로 갈수록 평균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 요인 전체와 비교해봤을 때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근 뜨거운 열풍을 불러일으키는 아이돌의 이미지와 신뢰도를 구축한 인기 캐릭터를 선큐션 용기에 접목한 캐릭터 콜라보레이션이 젊은 세대뿐 아니라 청장년층에게도 어릴 적 추억을 떠올리고 세대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중심의 제품개발에서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올 수 있는 용기디자인 중심의 제품개발에도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자외선차단지수’와 ‘가격’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와 요구 성능을 반영한 제품개발 및 디자인 구상과 이에 따른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78.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하라케케(Harakeke)로 불리는 신서란(Phormium tenax)를 화장품 및 의약품산업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서란 잎을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이것들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신서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한 결과,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NO와 PGE2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2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분획물에서는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였다.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에 의한 NO, PGE2 생성 억제 활성이 NOS 및 COX-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더불어, hIFN-γ로 자극된 HaCaT 세포에 용매 분획물을 처리하여 MDC 및 TRAC 생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바,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65%, 52% 생성억제 시켰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93%, 84%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활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능성 화장품, 의약외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27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참당귀 재배 시에 발생하는 추대 참당귀를 부산물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대 참당귀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총 무게는 수확기 비추대 참당귀의 지하부 무게 대비 약 98.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추대 당귀의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총 함량은 주 생산품인 참당귀 신(身)의 지표성분 총 함량인 4.24%와 대비해 부위별로 0.64%~2.39%로 나타났으며, 이는 추출물로 이용 시 생산품 대비 15~5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상화 활성의 경우 추대 참당귀는 전반적으로 비추대 참당귀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대 참당귀의 생산량, 지표성분 함량 그리고 항산화 활성 결과를 고려해 봤을 때, 추대 참당귀의 부산물은 사료 첨가제 및 화장품 용도의 추출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28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화장품의 살균⋅보존제 성분은 포지티브 리스트로 관리되고 있다. 포지티브 리스트는 적절한 정량분석법이 필요하지만 아직 분석법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불꽃이 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살균⋅보존제 성분 14종을 동시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법의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검량선의 직선성은 dehydroacetic acid (0.9891)를 제외한 14종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검량한계(LOQ)는 각각 0.0001 mg/mL ∼ 0.0039 mg/mL와 0.0003 mg/mL ∼ 0.0118 mg/mL로 나타났으나, dehydroacetic acid는 각각 0.0204 mg/mL, 0.0617 mg/mL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1.0% 이하로 나왔으나 dehydroacetic acid는 7.1%로 나왔다. 회수률은 96.9% ∼ 109.2%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유통 중인 화장품 50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보존제는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parabens 이고,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