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95

        764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64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fluorescence chromatographic assay for the quantification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which is a well-known risk predi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 new assay system consists of a chromatographic strip in a cartridge, enzyme buffer containing cholesterol esterase, cholesterol oxidase, horseradish peroxidase, and color developer AEC, and a laser fluorescence scann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relative fluorescence units was 0.968 in the new assay, showing a reliable linearity through the tested range of cholesterol. Recovery test and comparability with a Hitachi 747 instrument showed 106.5-94% and r = 0.939 (p<0.001), respectively. The new assay system for cholesterol was developed as a pre-POCT platform conducted in clinics since it is fast (8 min) and uses a small volume of sample (5 μl), and it may be applied for on-site diagnostics to replace expensive automated biochemical analyzer.
        4,000원
        764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food preservatives, sulfur dioxid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was conducted on 73 seasoned dried fishes(41 squids, 17 filleted fish, 6 Alaska pollack, 9 others) collected from domestic markets and internet. Among preservatives, only sorbic acid was detected in 25 samples including 23 seasoned dried squids, 1 seasoned filleted fish and 1 seasoned dried Alaska pollack with a range 0.01~0.92 g/kg. Sulfur dioxide was detected from one sample(seasoned dried squid) and its content was 10.5 mg/kg. All samples were contaminated by total aerobic bacteria, and the degree was 3.00~6.45 log10CFU/g(average level was 5.09 log10CFU/g).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most of the seasoned dried fishes were appropriate for Korea food standard, yet biological hygiene control will be needed constantly.
        4,000원
        764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uspected endocrine disrupting pesticides among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northern area of Seoul in 2007. 3,026 samples was analyzed by multiresidue method. Detected Pesticide in 11 cases were procymidone, endosulfan, chlorothalonil, chlorpyrifos, cyermethrin, fenvalerate, hexaconazole, carbendazim, pendimethalin, permethrin, parathion and exceeded 7 cases of endosulfan, procymidone, carbendazim, chlorothalonil, chlorpyrifos, cypermethrin, fenvalerate in the maximum residue limits(MRLs). Procymidone, endosulfan,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comprised up to 80.5% in detected pesticides. Among the 321 cases of detected agricultural products, 287 cases(89.4%) were vegetables, 25 cases (7.8%) were fruits, Others were 9 cases(2.8%).
        4,000원
        764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d-wash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fection control and in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hand-washing, their hand washing practic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direct observation in restrooms were separately carried out in a university campus and over four weeks’ period. A total of 97.4% of the survey respondents claimed to wash their hands after using toilet, and 98.2% of the observed students actually did so according to the unnoticed observational study. However, only 6.3% of the students who washed their hands in the direct observation washed for more than 10 seconds, although 46.4% of respondents in the survey reported that they usually wash their hands for more than 10 seconds. Among the observed students who washed their hands, only 0.9% used soap, and 0.9% washed four parts of their hands. Paper towel was the most common hand-drying method in the direct observation and also in the surve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uration, use of soap, part of washing, and hand-drying method betwee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irect observation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handwashing and hand-washing practice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Further research should examine hand-washing practic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restrooms outside the university campus.
        4,000원
        764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strogenic activity of Cucurbita pepo seed extract which includes β-sitosterol and other phytosterols. Sample was extracted from Cucurbita pepo seed by supercritical carbondioxide method and resuspended with ethanol. Estrogenic activity was measured by recombinant yeast assay which detects estrogenic activity using recombinant yeast with high level of estrogenic receptor. However, estrogenic activity of pumpkin seed extrac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data, pumpkin seed extract will not cause estrogenic disturbance.
        3,000원
        764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consumption inclinations of consumer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for bet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FAP. Consumer inclinations in large supermarkets from April 7th to 30th, 2008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showed that 90.4% of consumers recognized EFAP and 76.4% of those who recognized the products had actually bought the products. Members of the "have purchased group" bought EFAP once a week because they believed these products were safe from hazards, such as pesticide. The amount spent on EFAP was less than 20% of the total food budget and the major consumed items were green vegetables and fruits. The sale location was mainly large supermarkets and agricultural cooperation outlets. Although many people were satisfied with EFAP from the viewpoint of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ies and safety compared with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they were notsatisfied with the price. Many consumers trusted that EFAP were safe and nutritional. Members of the "not purchased group" also trusted the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ies of EFAP and recognized the safety issue,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ice, compared with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Consequently, to succeed in the market, EFAP should maintain the confidence of the consumer while decreasing in price.
        4,500원
        765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 재배면적 전국의 2,427헥타 중 전남은 312헥타이고 장흥군은 135헥타로서 전국 총면적의 6%를 차지하고 전남 에서 제일 많은 주산단지 고장이며 특히 표고버섯은 전국 생 산량의 13%, 전남의 75%를 차지하고 있어 장흥군의 버섯산 업이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특히 장흥군 은 표고버섯을 재배하기에 적당한 기온과 습도 등 기후적 여 건을 갖추고 있어 장흥군이 버섯재배의 최적지로 알려진 무 공해 청정지역이다. 장흥군의 버섯재배 농가의 생산액을 보면 년간 표고버섯 은 180억, 느타리버섯은 20억, 새송이버섯 18억, 팽이버섯 10억, 상황버섯 10억 등 지역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 고 있고 전국 최초의 민관합자 지방공기업인 장흥표고유통 공사 운영으로 버섯판매 및 직영재배, 종균배양 등 버섯관련 기반시설을 갖추었으며, 1997년에는 포고가공식품(표고음 료, 표고간장·된장·고추장) 개발로 고부가가치 창출을 하 였다. 장흥군은 버섯 가운데 표고가 특산품화되어 전남지역의 거래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전남의 건표고 생산량은 2004년 기준 전국의 생산량의 33.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생산량의 75%를 장흥군에서 생산하고 있다. 2005년 농산버 섯 재배현황 중 전국대비 생산량을 기준으로 장흥군은 상황버 섯의 생산량 중 5.85%, 새송이 버섯 2.18%를 차지하고 있다. 버섯산업이 농림업에서의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살펴보 면 2004년 말 기준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1년도부터 200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이 농림업이 4.9% 성장률을 보 인데 비하여 9.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유망산업으 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기존 식용으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약용, 기능성 등 버섯의 소비형태와 쓰임새가 다양해짐에 따 라 급격히 성장하는 산업으로 전략적 대응을 위한 전문 연구 기관의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장흥군의 표고버섯은 종전부터 전국에서도 그 명성 이 높아서 이를 기반으로 농협을 중심으로 구축된 생산과 유 통기반을 정비한다면 전국적인 버섯산업의 생산, 가공, 유통 및 관광이 어우러진 종합 중심 메카로서 버섯산업 활성화와 지역경제자립화 및 고용촉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을 기 대 된다.
        7652.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b2.0 refers to a new service models based by a community oriented philosophy. This creates new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providers and service. The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in the base of open source technology provide opportunities for increased distribution and visibility to farmer and general user. We would like to find out vest service models and platform that will find new ways of agricultur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new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strategy in new paradigm of web 2.0. should be revised and adapted to Open API and new applied strategy in agriculture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impact of web 2.0.
        5,500원
        765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은 자실체 건조 100g당 43.6g의 β-글루칸이 함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큰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는 버섯이다. 최근 일부 재배자들은 단목재배법으로 버섯을 재배하여 인터넷을 통해 유통판매하고 있으나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 되어 일반소비자들에게는 쉽게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누구나 손쉽고 실용적인 재배법으로 재배가 가능하도록 경제성 있는 배지를 구명함으로써 상업적인 활 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용적인 버섯재배법을 개발 산업화 하고자 수행하였다. 꽃송이버섯은 약용버섯으로 일반화된 신령버섯보다 3배 이상의 β-글루칸을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이 버섯의 성분 과 효능은 일본 동경약학대학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야도마에, 2001) NHK 등 매스컴에서 반향을 불러일으킨 후 다양한 건강기능 식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꽃송이 버섯이 국내에 선을 보이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일본 직수입품을 판매하였으나 현재는 웰빙의 바람으로 국내에서 도 다양한 꽃송이버섯 제품이 수입 또는 자체 개발되어 인터 넷 직거래 등 백화점에서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 숲가꾸기를 통한 침엽수 톱밥 부산물이 증가추세에 있음에도 마땅한 처리방안이 없어 퇴비로 활용되는 사례가 대부분이었으나 침엽수 톱밥자원을 활용하는 꽃송이버섯 재 배의 경우 경제성 있는 버섯 재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 근 꽃송이버섯 재배 및 연구의 증가로 인해 우리의 재배조건 에 적합한 우수균주가 곧 개발될 전망이다.
        765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소비자들은 자연식품, 저칼로리식품 그리고 유기농 식품을 선호하여 이러한 식품군에 속하는 버섯류의 소비량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느타리버섯은 소비자들이 많 이 찾는 대중적인 버섯류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버섯류가 암, 뇌졸중 및 심장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개선한다고 보고 함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성인 병, 만성퇴행성 질환, 노인성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분야 의 연구와 더불어 천연물질 중 암 예방 성분이나 생리활성 조 절물질(Biological reponse modifier: BRM)및 식품 중 기능 성 성분을 밝혀내어 이를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해 활용하 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Pleurotus 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비교분석은 이러한 연구 중 하나이다. 품종별 느타리버섯의 생리활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미 노산성분을 분석하고 Polyphenol ,β-glucan 함량을 계산, 그 외에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활성 을 측정해보았다. 13종의 서로 다른 품종끼리도 그 속은 같 으나 실험별로 다른 활성능을 보였으며 신품종 중에서도 노 랑느타리버섯이 모든 실험에서 뛰어난 활성능을 보였다. 아 미노산 측정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필수아미노산 성분 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품종 에서 20 mg% 함량이상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영지버섯보 다도 높은 함량이며 특히, 노랑느타리에서는 목질진흙버섯 에 들어있는 함량과 비슷한 양으로 31.13±0.82 mg%로 가 장 많은 함량을 기록했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일 반품종에서 대부분이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으나 노랑느타 리에서는 IC50값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항산 화제인 Vit.C(10 mg/ml)와 비교했을 때 10-1배정도의 값 을 나타내는 것으로 좀더 짙은 농도에서는 더 높은 항산화활 성이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는 β -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루칸 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 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 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 성을 촉진시킨다. 면역성분인 β-glucan 함량 측정에서는 Yeast control 함량이 59%일 때 노랑느타리에서 37.67± 0.2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 외에 원형1, 장안 PK에서 각각 28.75±0.61%, 27.95±0.33%의 순으로 높은 순을 기록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정상세포인 고환세포 와 신장암세포를 실험한 결과 노랑느타리 1°brix 농도에서 암세포에 대해 36.9%, 1.5°brix 농도에서는 42.9%의 세포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정상세포에서도 9%정도의 적은 세포 독성이 측정되었으나 암세포에 대한 독성능에 비해 미미한 수치라 여길 수 있다. 항고혈압 활성실험에서는 혈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ACE 에 대한 활성억제율을 측정하였다. 고혈 압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 근경색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 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 하였다. 노랑느타리 1°brix 농도에서 60.5±0.2%의 저해율 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captopril 과 비슷한 수치였으며, 그 외에도 흑평에서도 약56%, 여름 에서 약50%정도의 비교적 높은 저해율이 측정되었다. 항 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을 이용하였다. 혈전의 초기단계 는 상처부위의 과도한 지혈작용과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등 의 원인에 의해 혈소판이 점착, 활성화, 응집되면서 시작되 며 활성화된 혈소판의 막에 존재하는 GP IIb/IIa 수용체와 fibrinogen 이 결합하여 혈소판 응고가 촉진된다. 혈전용해활 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Positive control 로는 혈전용해효소인 plasmin(1U/ ml)과 용해면적을 비교하여 활성능을 계산하였다. 3°brix 농도에서는 전부 50%이상의 용해활성을 보였으며 노랑느 타리에서 거의 Plasmin과 동등한 활성을 기록했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 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 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 해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 도를 측정하였다. 항당뇨 실험에서는 소장점막내 효소 중 α -glucosidase complex 를 구성하는 glucoamyl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므로써 단당류의 소화 지연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로는 탄수화물의 소화흡수를 방해하여 식후 혈당상승을 방지하는 acarbose를 사용하였는데 그 활성은 66%정도 측정되었으며, 노랑느타리에서는 50.5±0.8%의 효소저해율이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항염 실험은 다음과 같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획득면역 등 다양한 숙주반응에 관여하여 항상성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 시에는 nitric oxide 와 cytokine 을 생산하 여 감염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독소로 알 려진 lipopolysaccharide 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 하며, RAW264.7 과 같은 macrophage에서 염증매개물질들 을 증가시킨다. 항염활성에서는 Nitric oxide 의 생성을 억제 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노랑느타리에서 68.4±0.3%가량 의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모든 생리활성실험을 측정한 결과 느타리버섯품종 18종중 노랑느타리가 비교적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노랑느타리는 건강에 유의한 영양물질을 보유하고 있 을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에 대한 탁월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의약품 및 건강기능 성식품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765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송이버섯 유사종의 재배와 품종개발은 버섯산업의 활 성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재배되 기 쉬운 것이 주로 연구된 느낌이며, 외국에서 도입된 품종 에 대한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등한시 되었다. 백영고 및 아위버섯은 중국의 신장성 위구르 지역 사막에서 자생하 는 미나리과 식물 Ferulae속 식물에 기생하는 새송이버섯 유 사종이다. 최근 국내에서 재배에 성공하여 상품으로 판매되 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식품표시나 품종 등록을 위해서는 백 영고 및 아위버섯의 분류학적 위치가 불분명한 것이 문제점 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및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분자표지를 해석하였다.
        765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 버섯류의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백색느 타리 신품종을 육성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백색느 타리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특성검정을 하였다. 2007년에 육 종모본 수한의 백색변이체 ASI2842와 원형의 백색변이체 MGL0205를 선발, 교잡하여 84개의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중에서 우수한Po2007-63 (2842-7×0205-7) 을 선발 하여 특성검정, 확대재배를 실시하여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 종 선정심의회에서 ‘고니 ’로 명명되었다. 주요특성으로 균사 생장 적온이 25~30℃이며 버섯 원기 형성 및 발생 온도는 11~17℃이였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백색으로 자연 상태에서 늦봄부터 이른 가을까지 재배가 알 맞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균사체 배양기간은 30~35일이며 균긁기 후 초 발이소요 일수는 3~5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단축된다. 자실체 형태는 얕은 깔때기형이다. 유효경수는 병당 8±2개, 대굵기는 14 ±1㎜, 대길이는 67.6±8㎜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자실체 대가 굵고 길며, 갓두께는 4.7±0㎜로 갓이 작고 부스러짐에 강하여 품질이 우수하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850㎖) 91± 13g로 대조군 미소의 수량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97이 였다. 품질을 높게 하려면 재배온도를 11℃ 정도로 다소 낮 은 생육온도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가변특성으로는 감자배지와 버섯완전배지에서 균사를 배 양한 결과 20-25℃에서는 버섯완전배지에서 생장이 빠르 다 그러나 30℃에서는 감자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이 러한 현상은 대조구인 미소에서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또한 2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 ‘고니’와 모 균주에 대한 DNA profile을 분석한 결과 primer 1에서는 양 친주의 밴드를 모두 가지며 대조구인 미소와는 뚜렷하게 구 분되었고, primer 2에서는 양친주와 대조구의 밴드를 모두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품종 백색느타리 ‘고니’는 백색이 갖는 깨끗하고 신선한 이미지로 웰빙식품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시대에 맞게 다양하 고 우수한 버섯을 요구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7657.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develope desirable strategy to offer agricultural information for leaf vegetables farmers.187 farmers are surveyed to collect data. Many farmers get agricultur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hannel.They satisfied with agricultural information contents, rightness of time but dissatisfied with the easiness of gain, fitness of information relatively. And the mean score of farmer's information needs on agricultural inform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theoretical mean. relatively high items were new seed information, technology of cultivation, pesticide purchase and prevention, laborer finding, consumer information, the trend of leaf vegetables price, marketing place, government's agricultural policy and laws etc.To make farmers get information easily, we recommend to gather information at one place and provide them on internet portal site composed with information related for paddy rice farmers. To make desirabl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armers should bring up their internet searching ability, and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in count/city have to make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more often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visiting farmers, using internet or e-mail service, pamphlet, and so on.
        5,700원
        765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등균류 중 진균류(Eu m y c e t e s )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에 속한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 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 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의 효능 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 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다당류에 의한 항암효과 및 항바이러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물은 항 산화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세계 적으로 식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 자실체 추출물을 분석하 여, 성인병 예방 및 면역증강에 관련된 물질을 분석하였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 법을 통하여 진행되어 ‘가을 수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 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 식품에 존재하는 영양성분 중 의 하나인 페놀류(polyphenol)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를 Folin ciocalteu 방법을 통한 실험결과 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 는 β-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 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 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 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실험부분에서는 ACE 저해활성 측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고혈압의 치료제 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근경색의 발 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 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봄수확 동고갓’에서 비교적 높은 ACE 저해활성능 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 을 이용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봄수확 동고갓, 자루’에 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표고버섯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효과 및 면역력증강, 혈장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근거로 의약품 개발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응용을 한다면 그 부가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765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 장내 세균 및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선인장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항균활성은 96well- plate법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줄기 추출물의 경우 96well-plate 및 paper disc법의 결과, 장내유해균인 Eubacterium limosum 및 Clostridium perfringens, C. butyricum, C. difficile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경우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장내유해균 및 장내유익균에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is에 대하여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경우 열 및 pH에서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에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열매와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3.02 mg/g, 5.85 mg/g, 플라보노이드는 1.04 mg/g, 2.1 mg/g, 전자공여능은 87, 88%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은 줄기 추출물의 경우 88.8% 열매 추출물의 경우 69.2%의 항고혈압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억제 및 유익균의 증진을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7660.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b usability for e-commerce sites becomes a more important issue as e-commerce gains its popularity. As for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r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during transaction process. Successful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Wine.com and Tesco, identified regular usability testing as part of key success f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processes for evaluating usability for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vide strategies to improve usability. The study aims to evaluate e-commerce usability of selected e-commerce sites using heuristic evaluation to provide objective e-commerce sites usability analysis for each transaction process.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