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15

        118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mbodia covers an area of 181,035 sq km among them, forests cover 53 percent. As a tropical monsoon climate, average annual rainfall is about 1,400 mm(about 55 in) on the central plain and increases to as much as 3,800 mm (150 in) in the mountains and along the coast.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s about 27°C (about 80°F). There are many wildlife diversity in Cambodia, but regulated or unregulated logging and mining have diminished the country's wildlife rapidly. This expedi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2009 (7.2-7.11, 10.16-22, 12.25-12.30). Central Cadamon Protected Forest (N 11° 41' 13" E 103° 26' 31.3") and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N 12° 08' 20.8", E 106° 55' 2.7") were main area surveyed by pitfall trap, light trap and sweeping etc. As the result, totally 611 individuals of 11 families in Coleoptera was collected, among them Gonocephalumspecies of Tenebrionidae was highest number and species in Melonthidae, Chrysomelidae and Dynastidae etc., were collected, specially kind of Hydrophilidae species from wetland was surved in the expedition.
        1182.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 병해충 방제시 농약사용 절감과 방제효율 개선을 위해 고속살포기(SS기; Speed Sprayer; HA-1000SCA)를 사용하여 2개 시험포장을 대상으로 각 포장에 동일한 시험구로 관행구(노즐:ø1.0mm 표준노즐; 분무압력 : 20kg/cm2; 표준농도; 살포량 : 1L/3.3m2), 관행저물량구(노즐:ø1.0mm 표준노즐; 분무압력 : 20kg/cm2; 표준농도; 살포량 : 0.7L/3.3m2), 저물량-1구(노즐:ID노즐(Lechler사; 스위스); 분무압력 : 10kg/cm2; 1.5배 고농도; 살포량 : 0.5L/3.3m2), 및 저물량-2구(노즐:ID노즐 (Lechler사; 스위스); 분무압력 : 10kg/cm2; 1.5배 고농도; 살포량 : 0.7L/3.3m2)로 설정하여 방제하였는데, 시험포장에 따라 병해충의 발생 정도는 달랐지만 배 생육기 동안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꼬마배나무이,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방제 효과는 관행구와 저물량-2구에서 적은 병해충 발생량을 보였다. 관행저물량구와 저물량-1구의 병해충 발생량의 전자의 두 처리구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과실에 대해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피해과율은 재배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복숭아순나방 등 심식충류와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피해과율은 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고, 시포험포장 I과 II의 관행저물량구에서 깍지벌레류에 의한 피해과율이 각각 2.1과 7.5%로 가장 많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0.9~1.4%의 피해과율로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A.I.)은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18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vestigating the molecular clock, the ancestral character states, and the correlated evolution of discrete binary traits on phylogenetic trees, we studied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family Anthocoreidae, using ~3000bp of the mitochondrial 16S rRNA and nuclear 18S rRNA and 28S rRNA genes for 44 taxa. The BEAST and BayesTraits were used to examine the divergence times, cladogenesis, and historical habitat patterns. The correlated evolution of discrete characters was tested by reversible-jump Markov chain Monte Carlo. Our results suggest that (i) the ancestral habitat patterns of dead plants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rule for the stem group of anthocorids; (ii) the radiation of angiosperms and the prey insect in the mid-Cretaceous might have provided anthocorids with more habitat options; and (iii) the transition of habitat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change of ovipositor patterns in the family Anthocoreidae.
        118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unctional respons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arasitoid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host-parasitoid dynamics because information on these will give knowledge of the host-parasitoid interaction, which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y for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The functional responses of A. asychis on the green peach aphid and potato aphid was investigated in eggplant leaf-disc arena. As a result, among the three types of functional response, type III best described the A. asychis response to the aphid densities, according to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Functional respons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 asychis on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was investigated on 5x5 eggplants in the net cage. After M. persicae were inoculated uniformly at the densities of 1, 3, 6, 9 and 12 (per plant) on upper, middle and lower leaves of each 25 eggplants, one mated female of A. asychis was introduced on the central eggplant. Each aphid density was duplicated. A. asychis showed a type II functional response different from that estimated on the eggplant leaf-disc arena. Although the initial distribution of the aphids in the 25 eggplants was unifor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aphids became gradually concentrated on the upper leaves of eggplants, so did immature A. asychis.
        1187.
        2010.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relative proper motion measurements of H2O masers in massive star-forming region W51 Main, based on data sets of VLBI observations for H2O masers at 22 GHz with Japanese VERA telescopes from 2003 to 2006. Data reductions and single-beam imaging analysis are to measure internal kinematics of maser spots and eventually to estimate the three-dimensional kinematics of H2O masers in W51 Main. Average space motions and proper motion measurements of H2O masers are given both graphical and in table formats. We find in this study that W51 Main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hyper-compact H II region with multiple massive proto-stars whose spectral types are of late O.
        4,600원
        118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안 염해지 수목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을 선발하고자 한국 서해안 해안림의 식생조사와 토양염분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은 전체 평균 EC1:5 0.11dSm-1이었고, 최저 0.00dSm-1, 최고 0.68dSm-1이었다. 토양염분(EC1:5)은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 방향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Ⅰ지대〉Ⅱ지대〉Ⅲ지대〉Ⅳ 지대 순으로 각각 EC1:5 0.14dSm-1, 0.11dSm-1, 0.10dSm-1, 0.08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52과 104속 24변종 157종 총 181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1:5 0.51dSm-1를 초과하는 곳에서 EC의 특이값 또는 이상치의 수준으로 여러 번 출현하는 수종은 곰솔, 청미래덩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EC1:5 0.41~0.50dSm-1에서는 EC1:5 0.40dSm-1 이하에 속하는 식물들 이외에도 왕자귀나무, 멀구슬나무, 계요등으로 출현빈도가 매우 낮았다. 전체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등 이었고, 중요도가 높은 수종은 소나무, 곰솔, 이대, 청미래덩굴, 굴피나무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118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해안국립공원 15개소 일대의 관속식물은 117과 326속 436종 49변종 6품종 2교잡종으로 총 49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해안과 주변의 섬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으로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천선과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및 사스레피나무 등과 해안사구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해당화, 통보리사초 및 갯그령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풍나무, 사철나무 및 동백나무 등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합되어 분포하고 있어서 해안이라는 지역적인 특징과 중부아구와 남부아구의 점이지대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53종으로 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순비기나무, 두루미천남성 및 큰천남성 등으로 41종이 확인되었고, I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꽃창포 1종이 확인되었으며, II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모감주나무, 솔장다리 및 굴거리나무 등으로 7종이 확인되었고, IV 등급에 갯강활 1종, V 등급에 통발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도깨비가지, 미국자리공 및 달맞이꽃 등 17과 44속 51종 1품종으로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 동 식물로 알려진 도깨비가지, 서양금혼초와 양미역취 등 3종은 물리적 제거와 같은 관리가 요망된다.
        4,500원
        119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LED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소비와 자유로운 조명 연출의 가능성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LED조명을 활용한 인간의 감성적 반응을 유도하는 감성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설치된 LED조명의 색도를 변화해가면서 실내 생활인들이 시간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받는 것을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밝히고 있다. 실험 1(N=28)에서는 3초~20초에 이르는 짧은 시간을 인지하는데 LED 색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천천히 지난 것으로 인지한 반면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빨리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주어진 시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동일한 실험환경에서 진행된 실험 2(N=39)에서는 실험참여자가 6가지 색채조명환경에서 별도의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90초의 시간을 가늠하였다. 실험참여자가 인지한 90초의 소요 시간과 실제 소요된 시간과의 차이에서, 색채조명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밝혀내었는데, 실험 1에서와 마찬가지로 난색 계열보다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 시간이 더 빠르게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호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처럼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4,000원
        119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vinegar, alcohol and ascorbic acid on the color, microorganism,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pattern of minced ginger (MG)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28 days at 30℃. The values of L (lightness),a (redness) and b (yellowness) of the control (T-0) and all the treatments changed slightly at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however the elapse of time accelerated the changes.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0 showed 5.37 × 107CFU/g at the initial stage, but the MG-treatments decreased the bacteria above 4 log compared to T-0. It was showed that the additives were effective for inhibition of the growth of microorganism. Sensory properties of flavor intensity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0 and MG-treatments (p < 0.05). The result of volatile flavor contents of electronic nose analyzer (ENZ) showed that MG-treatments (T-I, T-II, T-III) was recognized stronger than non-treatment at the initial stage, but the change of flavor compound were stabilized soon regardless of type or quantity of additives during total storage period at 30℃.
        4,000원
        119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미국교정에 있어서 수용자인권의 신장과정과 제한적 조치의 내용 을 대표성있는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1960년대 이후부터 시대순으로 정리하고 그 사회적 배경을 기술한다. 또한 수용자소송과 관련된 수정헌법 조문을 기준으 로 각 권리영역에 속하는 소송결과를 나열함으로써 수용자의 권리가 신장되는 과정에서도 수용자권리보호와 시설의 안전과 질서유지 사이에 일정한 균형이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정치사회적 분위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 수용자인권정책이 그 한계를 벗어나 보 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6,100원
        119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만의 육상기인 오염부하에 대한 해역수질의 응답특성을 조사하고 만내 수질관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태계모텔에 의해 계산된 울산만의 수질은 만 내측에서 COD 농도 2.8mg/L로 해양수질 III등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산결과 울산만 전체 해역의 수질을 II등급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약 30% 이상 삭감해야 하며, COD 농도 1.0mg/L이하의 수질이 되기 위해서는 전체 육상부하의 70% 이상을 삭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수질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삭감해야 할 오염부하량은 약 3,083kgCOD/day, 이 때의 환경용량은 약 7,193kgCOD/day로 계산되었다. 태화강 하구역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Bloom)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해역이므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자생유기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가물 삭감 이외에도 영양염의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9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9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AN) was carried out in a mixture solution of dimethyl sulfoxide (DMSO) and water at 50~65℃ using α,α'-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n initiator. The increased molecular weight polyacrylonitrile (PAN) was prepared with increasing the H2O/DMSO ratio from 10/90 to 80/20.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H2O/DMSO solvent was 4.4 times larger than that of H2O/DMF solvent, and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was accelerlated due to the far decreased chain transfer effect of DMSO.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increased PAN molecular weight was regarded as the summation of two mechanisms: i) particle-particle aggregation and ii) particle-radical attachment. The theoretical equation derived from the mechanisms was well coincid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ing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H2O/DMSO ratio.
        4,000원
        119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tamin B (pantothenic acid, folic acid, and myo-inositol) that was supplemented to embryo culture medium on in vitro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PA) pig embryos. Cumulus-oocyte complexes derived from slaughtered ovari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porcine follicular fluid, cysteine, pyruvate, EGF, insulin, and hormones (hCG and eCG) for the first 22 h and then further cultured in hormone-free medium for an additional 22 h. After maturation culture, metaphase II oocytes that extruded 1st polar body were electrically activated and treated with cytochalasin B for 4 h. Then, PA embryos were cultured for 7 days in a modified NCSU-23 that was supplemented with pantothenic acid, myo-inositol, or folic aci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Myo-inositol added to culture medium did not show any beneficial or inhibitory effects on embryo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However, pantothenic acid significantly inhibited blastocyst formation compared to control (no addition) (24% vs. 36%, p<0.05). Folic acid ()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blastocyst formation (56%) compared to control (41%).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vitro development of PA embryo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vitamin B and addition of folic acid to culture medium improved in vitro development of pig PA embryos.
        4,000원
        1197.
        201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gene expression profile in basal ganglia of hexa-valence chromium exposed rat based on cDNA array analysis. For cDNA array, Sprague-Dawley male rats (300 ± 25 g) were administrated with 15 mg/kg B.W/day of potassium dichromate by gavage (0.3 ml) dissolved in saline for 10 days (n=5). For dose-related gene expression analysis,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0, 1, 5 mg/kg B.W/day of potassium dichromate for 10 days. Control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equal volume of saline (n=5). For cDNA array analysis, R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brain tissue and reverse-transcribed in the presence of [α32P]-dATP. Membrane sets of the Atlas array II and Toxicology array kits were hybridized with cDNA probe sets. RT-PCR and Northern blot hybridization methods were employed for validation and assessment of the dose-related gene expression profile, respectively. Among the 2352 cDNAs, 43 genes showed significant (>two-fold) changes in expression. 22 genes were up-regulated and 21 genes were down-regulated in the 15 mg/kg B.W/day hexa-valence chromium treated group than control. According to the Northern blot hybridization analysis, heat shock protein 47, neurodegeneration associated protein 1 and pituitary specific growth factor 1a genes were up-regulated, but Gamma-aminobutyl-acid a1 subunit, neuroligin2, brain calcium-transporting plasma membrane type ATPase genes were down-regulated even in the low-dose of hexa-valence chromium exposed group (1 mg/kg B.W/day) than control. Genes that detected in this study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hexa-valence chromium-induced neurotoxicity in the rat basal ganglia and addition study of these genes can give some mor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neuro-toxic mechanism by hexa-valence chromium.
        4,900원
        1198.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성판악 탐방로를 따라 해발고별로 식생구조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 750m 에서 1,450m까지 17개 조사구(단위면적 4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하고, ordination 기법중 DCA분석을 실시하여 보완한 결과, 군락 I은 개서 어나무-때죽나무군락, 군락 II는 때죽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III은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W는 신갈나무-개서어나무군락, 군락 V 는 당단풍나무군락 그리고 군락 W은 신갈나무-구상나무군락의 6개의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해발고별로 종조성을 살펴본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해발 1,000m 이하의 지역에서는 연속적이지만 1,000m 이상의 지역에서는 불연속적으로 나타나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지역은 해발 1,000m를 중심으로 식생의 변화가 뚜렷한 특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연륜분석결과 50여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200원
        119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 보령 지역 트라이아스기 후기 하조층은 충남분지의 최하위층으로서 하부는 주로 각력암이나 역암, 중부는 역암, 상부는 역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하조층은 입자지지 수평층리 역암, 입자지지 균질 각력암, 기질지지 균질 역암, 기질지지 점이층리 역암, 역질 사암, 평행 엽층리 사암, 균질 사암, 정상 점이층리 사암, 역전점이층리 사암, 판상 사층리 사암, 곡상 사층리 사암, 저경사 사층리 사암 그리고 이암의 13개의 암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4개의 상조합을 이룬다. 상조합 I은 테일러스나 상부 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입자지지 및 기질지지 균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조합 II는 기질지지 균질 역암과 수평층리 입자지지 역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II은 기질지지 균질 역암, 평행엽층리 사암 및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중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V는 균질 역질 사암, 수평엽층리 사암과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하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하조층은 초기는 테일러스와 상부 선상지 삼각주 환경에서 퇴적되고, 중기는 상부 선상지 삼각주와 중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한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말기에는 중부 선상지 삼각주와 하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5,200원
        1200.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염해지역의 식재수종 선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남해안 방풍림 자생수목의 토양염분에 대한 내성과 염분비산 영향을 미치는 지대별 토양염분도와 출현수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 EC1:5는 전체 평균 0.18dSm-1이었고, 최저 0.05dSm-1, 최고 0.58dSm-1이었다. 토양염분(EC1:5)은 I 지대를 제외하고는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II 지대〉llI지대〉I 지대〉IV지대 순으로 각각 EC1:5 0.22dSm-1 0.22dSm-1 0.19dSm-1 0.13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45과 74속 9변종 100종 총 110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1:5 0.50dSm-1를 초과하는 곳에 출현한 식물은 담쟁이덩굴과 안동이였으며, 그 다음으로 EC1:5 0.41~dSm-1까지 자생하는 식물은 꾸지뽕나무, 멍석딸기, 산초나무, 송악,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좀작살나무 퉁이었다. 전제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정과 새머루이었고, 내조성이 높은 순비기나무는 I 지대에만 출현하였다. 전체 지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온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모감주나무, 예덕나무, 마삭줄, 칡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수종으로 판단되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