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성판악 탐방로를 따라 해발고별로 식생구조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 750m 에서 1,450m까지 17개 조사구(단위면적 4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하고, ordination 기법중 DCA분석을 실시하여 보완한 결과, 군락 I은 개서 어나무-때죽나무군락, 군락 II는 때죽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III은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W는 신갈나무-개서어나무군락, 군락 V 는 당단풍나무군락 그리고 군락 W은 신갈나무-구상나무군락의 6개의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해발고별로 종조성을 살펴본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해발 1,000m 이하의 지역에서는 연속적이지만 1,000m 이상의 지역에서는 불연속적으로 나타나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지역은 해발 1,000m를 중심으로 식생의 변화가 뚜렷한 특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연륜분석결과 50여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충남 보령 지역 트라이아스기 후기 하조층은 충남분지의 최하위층으로서 하부는 주로 각력암이나 역암, 중부는 역암, 상부는 역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하조층은 입자지지 수평층리 역암, 입자지지 균질 각력암, 기질지지 균질 역암, 기질지지 점이층리 역암, 역질 사암, 평행 엽층리 사암, 균질 사암, 정상 점이층리 사암, 역전점이층리 사암, 판상 사층리 사암, 곡상 사층리 사암, 저경사 사층리 사암 그리고 이암의 13개의 암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4개의 상조합을 이룬다. 상조합 I은 테일러스나 상부 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입자지지 및 기질지지 균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조합 II는 기질지지 균질 역암과 수평층리 입자지지 역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II은 기질지지 균질 역암, 평행엽층리 사암 및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중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V는 균질 역질 사암, 수평엽층리 사암과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하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하조층은 초기는 테일러스와 상부 선상지 삼각주 환경에서 퇴적되고, 중기는 상부 선상지 삼각주와 중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한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말기에는 중부 선상지 삼각주와 하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염해지역의 식재수종 선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남해안 방풍림 자생수목의 토양염분에 대한 내성과 염분비산 영향을 미치는 지대별 토양염분도와 출현수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 EC1:5는 전체 평균 0.18dSm-1이었고, 최저 0.05dSm-1, 최고 0.58dSm-1이었다. 토양염분(EC1:5)은 I 지대를 제외하고는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II 지대〉llI지대〉I 지대〉IV지대 순으로 각각 EC1:5 0.22dSm-1 0.22dSm-1 0.19dSm-1 0.13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45과 74속 9변종 100종 총 110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1:5 0.50dSm-1를 초과하는 곳에 출현한 식물은 담쟁이덩굴과 안동이였으며, 그 다음으로 EC1:5 0.41~dSm-1까지 자생하는 식물은 꾸지뽕나무, 멍석딸기, 산초나무, 송악,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좀작살나무 퉁이었다. 전제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정과 새머루이었고, 내조성이 높은 순비기나무는 I 지대에만 출현하였다. 전체 지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온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모감주나무, 예덕나무, 마삭줄, 칡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수종으로 판단되었다.
Creep tests were conducted under a condition of constant stress on two aluminum-based alloys containing particles: Al-5% Mg-0.25% Fe and Al-5% Zn-0.22% Fe. The role of grain boundary sliding was examined in the plane of the surface using a square grid printed on the surface by carbon deposi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using two-beam interferometry. Estimates of the contribution of grain boundary sliding to the total strain, εgbs/εt reveal two trends; (i) the sliding contribution is consistently higher in the Al-Mg-Fe alloy, and (ii) the sliding contribution is essentially independent of strain in the Al-Mg-Fe alloy, but it shows a significant decrease with increasing strain in the Al-Zn-Fe alloy. Sliding is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particles and its contributions to the total strain are low. This inhibition is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ain boundary dislocations responsible for sliding and particles in the boundaries.
개별 지적재산권 법률에 의한 보호의 요건을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원고가 노동력과 자본을 투자하고 전문지식을 사용하여 고안하거나 개발한 아이디어를 보호할 것인지, 보호한다면 어떠한 종류의 보호를 어느 범위까지 부여할 것인지 여부는, 우선적으로 지적재산권 보호의 기본적 이념에 따라 일정한 유형(예를 들어 참신성 및/또는 구체성의 보유)의 아이디어에 대한 법적 보호를 부여하여 아이디어의 고안 및 개발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가 많이 늘어나게되는 사회적인 효용과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이용을 제한함으로써 학문과 기술의 진보에 장애가 되고,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이 저해되는지 여부의 불이익과 비효율성을 비교 형량하여 판단하여야 할 문제이다. 일정한 유형의 아이디어의 경우 ① 관련 법령에 그 보호내용과 범위에 관하여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배타적인 재산권으로서의 보호를 부여하게 되면 국민의 행동의 자유를 과도히 제약하고,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을 제한하는 위험성이 생긴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에 대해 배타적인 권리로서의 보호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② 참신성이 없더라도 당사자 사이에서는 그가 처한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주관적인 유용성이 있을 수 있고, 다소의 유용성을 가진 아이디어라도 사회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계약을 통한 아이디어의 보호를 원칙적으로 부정할 것은 아니고, 계약법의 기본원리에 따라 아이디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계약의 취소, 해제, 해지 등의 사후적인 통제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③ 타인의 무단 이용이나 침해행위에 대한 불법행위 법리에 의한 보호는, 대상 아이디어가 법적 보호가치가 있을 정도로“구체화”되어“영업적 이익”을 인정할 정도의 수준이 되고, 이것이 그와 상충되는 타인의 영업 내지 경쟁의 자유에 대한 보호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기밀유지관계의 위반 또는 접근 가능성 또는 의거 관계가 인정되는 제한적인 경우에 한하여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Based upon literature surve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western children's clothing and characteristics over centuries. It was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children were given serious consideration and that fabrication of clothing began to be designed only for children. The very first clothes which revolutionized children's wear was 'a la matelot' in the 18th century which freed children from physical restriction, recognized gender difference, and sailor suit became popular among all sexes and adopted as school uniform. And then children's clothing was shortened in length and adopted tubular silhouette, which allowed greater comfort and movement. The 20th century saw children's wear reform to be carried out after the World War II due to invention of synthetic fiber, easy care dress material, mass production system and sophistication of marketing methods. Further evidence of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 status can be found in contemporary designs: for example, 'casualized' wear, 'character design' which reflects children's psychology and 'family look' which is designed to be worn with mothers. This evolution of children's clothing within western dressing support the view that children's clothing is not a miniature of adult wear but it reflects idiosyncrasies of the era and exerts children's dignity.
해역이용협의에 따른 협의서 검토현황과 연안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유수면 점 사용은 공작물설치와 해수 취배수, 공유수면 매립은 산업단지조성, 항만 어항개발과 도로건설의 점유율이 높았고, 점 사용은 서해에서 그리고 매립은 남해에서 우세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남, 경남지역과 인천 경기지역에서 이용행위가 많았다. 해역이용협의 검토량은 2008년이 전년도에 비해 약 200건 이상 증가하였고, 협의과정에서 준설토 해양투기, 매립, 준설, 해수 취배수, 바다골재채취와 규사채취에 대해 보완요청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안이용은 대부분 해양환경기준 I등급 또는 II등급의 지역에서 집중되었고, 특히, 법령상 해양 규제지역인 특별관리해역에서는 항만 어항개발과 관련된 매립과 공작물설치, 국립공원에서는 공작물설치와 호안정비가 많았다. 또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는 호안정비, 공작물설치와 해수의 취배수 행위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제반적인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등 개선방안을 제도운영 및 정책적인 측면과 협의서 작성과 관련한 해양환경영향평가 측면으로 구분해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Peeled whole onions (PWO) were cleaned at various hypochlorous acid (HA) concentration and steeping time and packed in LDPE bag keeping at 10℃ for 12 days and 35℃ for 3 days, in order eventually to examine microbiology, surface color and sensory quality. At the early stage of storage, it was found that total bacterial counts at H-II keeping at 10℃ after 1 minute steeping were 2.60 ± 0.18 log CFU/g, and those after 3 minutes steeping were 2.10 ± 0.18 log CFU/g which showed less than the control. The total bacterial counts at H-III were detected after 4 days.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PWO treated HA increased as steeping time became longer, HA concentration increased, and storage temperature went down. E. coli was not detected at all treatments. It was also found that during the treatment the L-value showed decreasing trend, but the parameter a- and b- value showed increasing trend. But these trends were mitigated as HA concentration increased. The result of sensory quality evaluation for the appearance showed that the sample stored with 10℃ gained higher evaluation than that with 10℃, while the control and H-III gained highest points significantly (p < 0.05) for the sample keeping at 10℃ after 12 days storage. The sensory odor of onion showed similar to that for the appearance, and the 8-day treatments of H-II and H-III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p < 0.05).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it is likely to be more effective to prolong the period of circulation of PWO if you use HA over 50 ppm for washing PWO and storage at 10℃.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safety and quality in circulation of PW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biochemical profiles with biogroups for the identification of Cronobacter spp. (formally known as Enterobacter sakazakii) isolates using biochemical identification kits. A total of 38 Cronobacter spp. contained 5 clinical, 31 food, and 2 environmental isolates were used.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ronobacter spp. with the Vitek II system and ID 32E kit. The API 20E kit identified all isolates as Cronobacter spp. but the percentage identification was 51.1% for 16 of 38 isolates. These strains were contained to Biogroup 2, 9, 10, and 11. The utilization of inositol is a fact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identification of Cronobacter spp. with the API 20E kit.
We present measurements of diffuse interstellar H2 absorption lines in the continuum spectra of 10 early-type stars. The data were observed with the Berkeley Extreme and Far-Ultraviolet Spectrometer (BEFS) of the ORFEUS telescope on board the ORFEUS-SPAS I and II space-shuttle missions in 1993 and 1996, respectively. The spectra extend from the interstellar cutoff at 912 Å to about 1200Åwith a resolution of ~ 3000 and statistical signal-to-noise ratios between 10 and 65. Adopting Doppler broadening velocities from high-resolution optical observations, we obtain the H2 column densities of rotational levels J00 = 0 through 5 for each line of sight. The kinetic temperatures derived from J" = 0 and 1 states show a small variation around the mean value of 80 K, except for the component toward HD 219188, which has a temperature of 211 K. Based on a synthetic interstellar cloud model described in our previous work, we derive the incident UV intensity IUV and the hydrogen density nH of the observed components to be -0.4 ≤ log IUV ≤ 2.2 and 6.3 ≤ nH ≤ 2500 cm-3, respective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rean syllable structur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consonant clusters on the basis of the speech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2 females and 6 males). A total of 24 English monosyllabic words that formed 8 different quasi minimal triplets was employed and recorded. Each triplet consisted of mono-consonantal, bi-consonantal, and tri-consonantal words like pin, spin, spring or pin, pink, pinks. The three words at four triplets were differentiated by the number of consonants at the onset position and those at the other four triplets, at the coda position. Using a 5 point-scale scoring method, two native English speakers rated the speech data in terms of (i) intelligibility and (ii) the scoring of bi- and tri-consonantal words with three points being fixed on mono-syllabic words. The main finding was that the tri-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bi-consonantal words were in the middle, and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highest. But, this general tendency held true only at the words dissimilar at the coda position. At the onse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The in-depth analysis that followed the rating showed that a comparison of the words in terms of the syllabic intelligibility can be properly made only when each consonant comprising a syllable is intelligibly articulated on its own.
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척수성 근 위축증 환자에게 고급보조공학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고급보조 공학 적용의 확대와 관심을 높이는데 있다.
본론 : 대학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선천성 척수성 근위축증 2형(SMA type II)인 중증장애인에게 고급보조공학 기기인 동공인식보조기기(TM 2)를 이용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기본적인 의사소통뿐 아니라 보호자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스스로 전혀 할 수 없었던 활동영역이 보조공학기기의 적용으로 확대되면서, 전반적인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활동의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결론 : 척수성 근 위축증 환자는 모든 일상생활과 기타활동에 전적으로 보호자에게 의존해야 하지만, 고급보조공학의 사용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고급보조공학의 적절한 적용은 다른 중증장애인에게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접목 후 활착환경의 관리는 접목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활착초기 접목부위의 캘러스 분화를 촉진하고 식물체의 지나친 위조를 막기 위해 25~30℃ 정도 온도와 90% 이상의 높음상대습도 조건하에서 관리하다가 활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온도 및 상대습도를 낮추고, 광 조사량을 늘려주는 환경관리방법이 제시되고 있다(Kim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향상을 위한 활착단계별 환경조건을 제시하고자, 활착기간 중 온도, 상대습도 및 광 조건이 접목활착률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암조건 하에서 총 6일간의 접목활착기간을 3단계로 나누어, 활착 1단계는 온도 30℃, 상대습도 95% 조건하에서, 활착 2, 3단계에서는 온도(20℃, 25℃, 및 30℃) 및 상대습도(75%, 85%, 및 95%) 조건을 달리 처리하였을 때, 접목활착률 및 생육을 조사하였다. 고추 접목묘의 활착을 위해서는 활착 초기 30℃, 95% 상대습도 조건에서 2일정도 관리한 후, 이후 4일간은 온도와 상대습도 조건을 각각 20~25℃, 75~85% 정도로 낮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접목활착기간 동안 온도 30℃, 상대습도 85% 및 암 조건을 대조구로 하여, 활착기간 중 온도(25℃ 및 30℃), 상대습도(65%, 75%, 및 85%) 및 광 조건(광 조사 유무, 광 조건 45±2μmol·m-2·s-1)을 달리하여 처리하였 때, 접목 활착률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활착기간 중 저온 저습의 광조사 기간이 길수록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5℃ 온도조건하에서 저광 조사 및 65% 까지의 저습 조건이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촉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of toxic pollutants onto cetyltrimethylammonium kaolin (CTAB-Kaolin) is investigated. The organo-kaolin is synthesized by exchanging cetyltrimethylammonium cations (CTAB) with inorganic ions on the surface of kaolin. The chemical analysis, the structur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kaolin and CTAB-kaolin were investigated using elemental analysis, FTIR, SEM and adsorption of nitrogen at -196℃. The kinetic adsorption and adsorption capacity of the organo-kaolin towards o-xylene, phenol and Cu(II) ion from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The kinetic adsorption data of o-xylene, phenol and Cu(II) are in agreement with a second order model. The equilibrium adsorption data were found to fit Langmuir equation. The uptake of o-xylene and phenol from their aqueous solution by kaolin, CTAB-kaolin and activated carbon proceed via physisorption. The removal of Cu(II) ion from water depends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adsorbent. Onto kaolin, the Cu(II) ions are adsorbed through cation exchange with Na+. For CTAB-kaolin, Cu(II) ions are mainly adsorbed via electrostatic attraction with the counter ions in the electric double layer (Br-), via ion pairing, Cu(II) ions removal by the activated carb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carbon-oxygen groups particularly those of acid type.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CTAB-kaolin for the investigated adsorbates are considerably higher compared with those of unmodified kaolin. However,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the activated carbons are by far higher than those determined for CTAB-kaolin.
Pregnancy is a unique event in which a fetus develops in the uterus despite being genetically and immunologically different from the mother,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remain poorly understood. To analyze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nonpregnant and 7 days post coitus (dpc) pregnant uterus of mice, we performed a global proteomic study by 2‐D gel electrophoresis (2‐DE) and MALDI‐TOF‐MS. The uterine proteins were separated using 2‐DE. Approximately 1,000 spots were detected on staining with Coomassie brilliant blue. An image analysis using Melanie III (Swiss Institute for Bioinformatics) was performed to detect variations in protein spots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uterus. Twenty‐one spots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of which 10 were up‐regulated proteins such as alpha‐fetoprotein, chloride intracellular channel 1, transgelin, heat‐shock protein beta‐1, and carbonic anhydrase II, while 11 were down‐regulated proteins such as X‐box binding protein, glutathione S‐transferase omega 1, olfactory receptor Olfr204, and metalloproteinase‐disintegrin domain containing protein TECADAM. Most of the identified proteins appeared to be related with catabolism, cell growth, metabolism, regulation, cell protection, protein repair, or protection. Our results uncovered key proteins of mouse uterus involved in pregnanc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Gyodong, Seokmo, and Boleum Islands during the spring, summer, and autumn in 2009. In these three islands, observed birds were total 177 species, 71,165 individuals; 112 species, 36,242 individuals in Gyodong Is., 111 species, 22,754 individuals in Seokmo Is., and 137 species, 12,169 individuals in Boleum Is., respectively. Breeding birds in three islands were 30 species (Podiceps ruficollis, Charadrius dubius, Larus crassirostris, Larus cachinnans, Egretta alba, Egretta intermedia, Egretta garzetta, Bubulcus ibis, Ardeola bacchus, Nycticorax nycticorax, Platalea minor, Anas poecilorhyncha, Falco tinnunculus, Streptopelia orientalis, Phasianus colchicus, Dendrocopos kizuki, Dendrocopos major, Hirundo rustica, Motacilla alba, Lanius bucephalus, Phoenicurus auroreus, Monticola solitarius, Paradoxornis webbianus, Phylloscopus coronatus, Parus palustris, Parus major, Parus varius, Passer montanus, Sturnus cineraceus, Pica pica). Among observed birds,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were Egretta europhotes, Falco peregrinus, and Platalea minor belonging to level I, and Anas formosa, Anser cygnoides, Haematopus ostralegus, Gallicrex cinerea, Buteo buteo, Pernis ptilorhynchus, Falco amurensis, Falco subbuteo, Bubo bubo, Numenius madagascariensis, Accipiter gularis, Accipiter gentilis, Anser fabalis, Ixobrychus eurhythmus, Buteo hemilasius, Grus monacha, and Anser erythropus belonging to level II, respectively.
This thesis is a study on Sook-Jae Lim(1899~1937) and Korean modern design. In modern Korea, design like most cultural advances came from western culture, that was introduced via Japan. So Korean design can be betterunderstood from observing Japanese modern design history. The research on Japanese modern design, however, is not being done actively. Sook-Jae Lim was the first Korean to graduate from the Department of Design at Tokyo Fine Arts School (currently the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He died at a premature 38 years old, so very little of his works exist. That makes the study about him very difficult.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aims to examine modern design concepts and styles accepted into Korea from Japan and position Lim as an early design pioneer in Korean design history, by using research of Korean and Japanese design fields in the modern era with focus on Lim and his works. Chapter II researches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design was formed in modern Japan and how the “Art-Nouveau” style not only represents early modern design but also features Lim's works dominantly. Chapter Ⅲ looks into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design was formed and which design styles were introduced and applied in modern Korea. Chapter Ⅳ analyzes how Lim's viewpoint on design and his works were developed with observations about the tendency of the Japanese design field and curriculums of the Tokyo Fine Arts School during the period of his college days.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의 평균직경은 약 50%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비표면적은 567% 증가하였다. 초미세분쇄처리 전·후의 옥수수전분에 대한 분자량분포를 GPC로 측정한 결과 분쇄 후 저분자량의 Peak II의 면적이 21.0%에서 86.5%로 상승하였다. 손상전분 함량은 각각 9.63%와 83.57%로 초미세분쇄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옥수수전분의 경우는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초미세분쇄처리 후에는 전분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파괴와 아울러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지적재산권의 국제적 보호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를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다. WIPO 주관하에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각종 조약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WTO는 우루과이 라운드를 통하여 WTO 부속서의 하나로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TRIPs)’을 채택하였다. TRIPs 협정은 지적재산권의 효과적이고 적절한 보호를 촉진하며, 지적재산권의 집행을 위한 조치가 국제무역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지적재산권을 집행하는 조치와 절차를 각 회원국이 확보할 것을 그 전문에서 규정하고 있다. TRIPs 협정과 함께 WIPO 저작권조약(WCT), WIPO 실연 음반협약(WPPT) 등의 저작권관련 국제조약이 성립되어 지적재산권에 관한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저작물의 국제적 유통이 일반화되고 자유무역협정에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비중이 커짐에 따라, 대륙과 영미 저작권법이 하나의 체계로 수렵되어 가고 있으며 이는 저작권의 제한과 예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TRIPs 협정의 내용 중 하나인 베른협약은 1886년 이래 특정한 경우에 저작권이 제한될 수 있음을 규정하여 특정 상황에서 회원국들에게 저작권에 대한 제한을 허용하게 되었다. 베른협약에서는 브뤼셀 개정과 스톡홀름 개정을 통해 이른바 사소한 예외의 법리(minor exception doctrine)와 3단계 테스트 (three-step test)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대륙법의 영향을 받은 저작권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미 FTA 협정 이후 저작권법 제도의 개선을 요구받아 법개정을 하였다. 이에 3단계 테스트의 구체적인 범위에 대한 해석 문제는 반드시 검토해야 할 사항이 되었다. 따라서 WTO의 실제 분쟁사례 연구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국제협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물론, 개별적 관련 사례의 연구 분석을 통하여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에 충분히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하에서는 저작권제한 및 예외의 기본원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3단계 테스트의 내용에 대해 미국 –저작권법 제110조 5항 사건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자. 그리고 우리 개정 저작권법의 내용 중 저작권제한 법리로서의 3단계 테스트와 공정이용의 수용에 대해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