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작물보호 분야 중 식물기생선충과 응애류는 다양한 농작물에서 많은 피해를 주고 있으나 다른 곤충 분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자의 수가 적고, 연구 성과도 부족한 분야이다. 지난 30여년간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를 수행하면서 전공분야인 선충에 대한 분류, 화학적 및 생물적 방제 연구와 더불어 원예작물의 새로운 문제해충이 었던 먼지응애류(tarsonemid mites)에 대한 연구를 같이 할 수 있었던 것은 연구자로서 기회이자 행운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 분포하는 식물기생선충 중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시설원예작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다. 경북 성주 지역의 참외생산 농가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선충피해를 보면서 언젠가 이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는 생각으로 그동안 선충기생세균인 Pateuria penetrans의 대량증식과 방제실험을 했지만 아직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최근에 Myrothecium속의 곰팡이 배양여액이 선충방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산학연 공동으로 실용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최근에 강원도 정선 등 배추 주산지에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은 선충의 알을 보호하는 씨스트 선충의 특성상 방제가 어렵고, 물이나 바람, 경작 활동을 통한 확산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인 관리체계 개발이 필요한 연구 대상이다. 먼지응애류는 세계적으로 농작물에 가장 피해가 큰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씨크라멘먼지응애 (Phytonemus pallidus)와 벼먼지응애(T. spinki)를 포함한 Tarsonemus속 13종 등 국내에 15종이 보고되어있다. 1990년대 들어 다양한 원예작물이 재배되면서 고추, 아잘레아 등에서 차먼지응애의 피해가 많이 발생하였다. 차먼지응애는 길이가 200um 내외로 눈으로 보이지 않고 피해 증상이 바이러스병, 제초제 피해, 생리장해 등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 약효가 우수한 농약 선발과 피해 증상에 대한 홍보를 통해 최근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주관한 대한민국 생물지 편찬연구에 참여하여 ‘국내 식물기생선충’ 및 ‘먼지응애류, 혹응애류’ 에 대한 국・영문 생물지를 발간함으로써 국내 분포 선충 및 먼지응애류에 대한 종합정보도감을 완성하였다. 또한 국가생물종 목록집 편찬을 통해 국내에 분포하는 선충 240종, 먼지응애류 15종에 대한 목록을 정리한 것도 보람있는 일이었다. 한국곤충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개인적으로 무한한 영예이다. 하지만 본인의 노력보다는 함께 연구해온 많은 동료들과 연구여건을 마련하고 응원해 주신 농진청, 대학, 산업계 등의 여러 선배님들 덕분임을 밝히며 깊이 감사드린다.
Honey bees are challenged with declining colony numbers, generally called ‘Colony Collapse Syndrome’ (CCS). This issue is certainly a syndrome because it is due to a range of threats, including parasitic mites, exposure to agricultural chemicals and various viruses, among other things. We posed the hypothesis the CCS could also be due to declining nutritional qualities, which may relate to digestive physiology.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on honey bee lipid nutrition and digestion, we characterized a digestive phospholipase A2 in honey bee midguts. In this paper, I will report on some of our findings. With a focus on students, I will also use this report to share thoughts on presenting and writing for international audiences.
The introduction of Halyomorpha halys,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BMSB) (Hemiptera: Pentatomidae), in the USA and Europe has disrupted many established fruit, vegetable and row crop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programs. BMSB poses a profound threat to many crops because of its broad host range, strong dispersal capacity, well-concealed overwintering populations, as well as the fact that biological control from native natural enemies has been limited and very few registered insecticides are considered effective. The need for sensitive biosurveillance and monitoring tools in uninvaded and invaded regions, respectively, as well as alternative management tactics to reduce insecticide inputs has been paramount. The identification of the BMSB pheromone, (3S,6S,7R,10S)-10,11-epoxy-1-bisabolen-3-ol and (3R, 6S,7R,10S)-10,11-epoxy-1-bisabolen-3-ol in a 3.5:1 ratio and pheromone synergist methyl (2E,4E,6Z)-2,4,6-decatrienoate has rapidly propelled the development of these tools and tactics. Pheromone-baited traps deployed with these stimuli have been evaluated across invaded regions in the USA and Europe and in the native range in South Korea. In every case, traps bait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 BMSB pheromone and pheromone synergist captured greater numbers of BMSB than traps baited either stimulus alone indicating that these trapping systems can be used for worldwide biosurveillance. Moreover, baited traps have been used as sensitive IPM tools to guide management decisions in affected crops such as apple. Finally, these pheromonal stimuli have served as the basis for successful attract and kill programs in affected crops. While refinement of these tools and tactics continue, their use has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insecticide inputs in apple crops, for example, and successful biosurveillance in newly invaded regions.
SymposiumⅠ S1: Symposium of graduate school students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is a medically important arthropod vector of tick-borne diseases, especially the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To establish a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ick-borne diseases, it is fundamental to understand the basic biology of vector species. Therefor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we evaluated the horizontal movement of adult and nymph stages of H. longicornis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spersal behaviors. In the experiments, field populations were subjected to video recording of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icks in a petri-dish arena for 3 hours. Our results indicate that nymph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obility than adul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ular velocity. Nymphs moved 3.74 ± 0.26 m at an angular velocity (AV) of 1.60 ± 0.07 deg/s. and adults moved 2.91 ± 0.26 m at an AV of 1.61 ± 0.14 deg/s.
Orius spp. (Heteroptera: Anthocoridae) prey on small arthropods such as aphids, thrips, whitefly, and mites both in greenhouse and field. Use of chemical attractants to natural enemies can improve the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through push-pull strategy. We compared attractiveness of three synthetic herbivore-induced plant volatiles (HIPVs), i.e., nonanal, methyl anthranilate, and methyl salicylate for thrips natural enemies, O. laevigatus (Fieber) and O. minutus (L.), in Y-tube olfactometer. Mated unfed adult females of O. laevigatus showed higher choice rate to methyl anthranilate or methyl salicylate than nonanal. Orius minutus showed higher choice rate to methyl anthranilate than methyl salicylate or nonan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three HIPVs, methyl anthranilate can be used for the attractant of both O. laevigatus and O. minutus.
A native minute pirate bug, Orius minutus (L.), is a generalist predator of small insect pests such as thrips, mites, scale, etc. By comparing with Tetranychus urticae Koch in choice test, we evaluated the prey preference by counting number of prey killed for 4 hours on Amphitetranychus vienensis (Zacher),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Stephanitis pyrioides Scott, and Eriococcus sp. nymph. Among them F. intonsa was the only one killed more than T. urticae by O. minutus. In no choice test, mean number of prey killed was highest in F. intonsa (7.2) followed by T. urticae (3.0), A. vienensis (2.4), Eriococcus sp. (2.0), and S. pyrioides (0.0) for 4 hours. This experiment shows that O. minutus could be a good predator for F. intonsa and T. urticae.
Tyrosinase is a key enzyme in animal melanogenic pathway that is the rate-limiting step for the production of melanin. Several synthetic and naturally occurring tyrosinase inhibitors have been studied for skin whitening, the development of natural agen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due to the disadvantages of synthetics such as high cytotoxicity, insufficient penetration power, and low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lyphenols,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extract and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using statically-based optim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xtraction temperature of 92.0°C, extraction time of 36.7 min, and ethanol concentration of 79.5% provided the maximum levels of compounds of 5.69 mg GAE/g DW, tyrosinase inhibition of 78.8%,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00.8 μg/ml in the validation experiment.
The virus-like particle (VLP) is similar to a pathogenic virus and has a high immunogenicity. However, in the selection of various structural proteins to form VLP, all expression systems commonly consume most of the time and suffer from various difficul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rapidly determine the structural proteins required for effective VLP production.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transient expression platform using insect cells to solve this problem. Plasmid-based expression vectors and baculovirus-inducible expression vectors were constructed. The vectors were evaluated for overexpression using EGFP. We also confirmed the formation of virus like particles through overexpression of virus structural proteins.
Heterodera trifolii, mostly known as clover cyst nematode, is currently a serious problem for Chinese cabbage growers of the highland area in Korea. Due to lack of readily information about the nematode on Chinese cabbage in Korea, the pest steadily spread within the highland areas and has become a serious setback. Occurrence, spatial aggregation, egg hatching and the pathogenicity of this nematode are depicted in this study from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study results suggest site-specific control and a potential planting time for the cabbage to avoid severe damage caused by this nematode.
In the 21st century, the risk of the exotic pest being invaded is increasing due to the rise of trading activities.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Diptera: Tephritidae), has been considered to very destructive invader as it is highly intrusive and has a wide host range. In this study, 2,29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8 locations in 12 countries by quarantine and investigation. Among them, 608 individuals were used for COI DNA barcoding analysis based on Neighbor Joining method with P-distance model.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was conducted for 510 individuals selected from 47 locations of 12 Southeast Asian countries using 15 microsatellite markers. COI DNA barcoding results showed that B. dorsalis did not support any clade as a geographical isolation but almost indicated mixed populations of each country.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showed similar pattern of genetic structure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across borders. Most domestic quarantine groups were more similar in genetic structure to Taiwan, China and Thailand in the order of appearance.
Riptortus pedestris (F.) (Hemiptera: Alydidae) is one of major pests of fruit trees and cause economic injury by piercing and sucking fruits. Although growers usually depend on synthetic insecticides to control this pest, demand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 is increasing. As, in our previous studies, extracts of Nicotiana tabacum L. and Allium sativum L. was effective against Grapholita molesta (Busck), we evaluated them also on the different life stages (< 24 h) of R. pedestris at 2 mg/ml in laboratory by glass scintillation vial assay. The toxicity of N. tabacum, A. sativum, and their mixture to second instar nymph was not different compared to methanol control. But, N. tabacum was more toxic to fourth instar nymph with LT50 of 59.0 h. In adult stage, the toxicity of both N. tabacum and A. sativum was higher compared to the mixture and methanol control. Thus, N. tabacum could be potential botanical insecticide against R. pedestris.
Bemisia tabaci is a vector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but Trialeurodes vaporariorum is no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YLCV acquisition on vector and non-vector, we compared variou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species. Our results showed that TYLCV acquisition significantly affected B. tabaci but not T. vaporariorum. The B. tabaci increased susceptibility against thermal stress but weakened chill coma recovery, shortening of longevity, low fecundity and abbreviated developmental time by virus acquisition. At the molecular level, B. tabaci increased hsp70 and hsp90 levels by TYLCV ingestion. However, T. vaporariorum did not shown any changes of thos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hysiological manipulation of TYLCV was specific to vector species but not non-vector species.
The long-term biological monitoring data in domestic streams need to be appropriately analyzed. Food-web analysis using network-based approach can give ecological implications on these kinds of data by including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tructing food-webs as a preliminary step of the analysis. We used observed species list data for 8 years (2008-2015) provided in Water Information System (WIS), focusing cheonggye streams as a case study. On the basis of species interaction dataset extracted from Global Biotic Interactions (GloBI) database, 96 food-webs were constructed. In further studies, these food-webs could be analyzed in various ways such as static, dynamic and spatial approaches.
S2: Pest maagement strategies in food industry (Reduction plan of insect foreign materials in food)
식품 중 발견 이물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이물로 대별된다. 식약처 이물 발생 신고 자료를 보면 곤충(35%), 곰팡이(10%), 금속(8%), 플라스틱(5%) 순으로 곤충이물이 거의 모든 식품유형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며 제조 중 발생(6.5%) 보다는 소비, 유통 단계 유입(39.4%), 판정불가(53.4%)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곤충 이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체 위해성과는 큰 관계는 없으나 소비자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며(특히 생존곤충 발견 시) 비위생적 취급의 우려로 인해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언론과 소비자단체를 통해 지속적인 이슈가 되어 식품 기업의 매출감소, 위생, 안전성 측면의 신뢰도를 감소시키고 이물관련 공무원의 이물조사 업무가중 등 행정력낭비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실용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이물 저감화 기술의 개발로 이물발생을 낮추고 국민의 식품안전에 대한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식품에서 발견되는 곤충이물은 크게 제조단계와 유통, 소비단계에서 유입으로 대별된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5332건 이물신고 건수의 34.3% 인 1830건이 곤충이물이며 이중 조사, 판정 불가 56%, 제조단계 6.5%를 제외한 49.4%가 소비, 유통 단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통, 소비단계에서의 곤충 이물 유입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소비자 트랜드 변화, 유통, 물류 시스템 변화 등의 요인과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실제로 전국 8개소의 물류창고에서의 화랑곡나방 모니터링 실시 결과 주변환경 보다는 반품창고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훈증실험을 한 결과 곤충, 곰팡이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통 중 제품으로 유입되는 곤충을 제어하기 위해 천연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방충포장소재를 약 770만 제품박스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 해충 클레임이 6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중 곰팡이 이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 현장에서의 곰팡이 오염수준 및 주요 곰팡이류를 조사하였다. 측정은 식품유형별 총 8장소(과자류, 젓갈류, 식초류, 빵류, 쌀류, 밀가루류, 냉동만두류, 생면류)와 유통/보관현장 총 8장소(물류창고)에서 진행하였고, 각 생산라인에서 부유곰팡이, 표면 곰팡이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젓갈류 생산현장에서 부유곰팡이 오염도는 5.5 × 102 CFU/m3 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쌀류 생산현장에서 의 부유곰팡이 오염도는 38 CFU/m3 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설비 및 벽면에서의 표면 곰팡이 오염도의 경우,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 현장에 관계없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현장에서 검출된 주요곰팡이류를 조사한 결과, 총 42종의 곰팡이가 검출되었고, 그 중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Cladosporium sp. 종이 우점종 곰팡이로 조사되었다. 기존 문헌에서 알려진 식품제조현장에서의 곰팡이 종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종은 총 8종이고 새롭게 발견된 종은 총 3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생산현장에서 제품 생산 중 오염되는 이물의 발생경로, 원인은 식품 유형별로 매우 다양하나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대별된다. 첫 번째는 원부자재, 작업 인원, 생산현장의 음압 발생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이며 두 번째는 생산현장 내부의 설비, 배관, 내벽 틈새 등에서 발생되는 이물이다. 따라서 식품생산현장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장내부의 곤충 포획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곤충과 내부에서 발생되는 곤충 종을 구분하고 생산현장 입고단계 주변의 서식처 제거, 생산현장 양압공조 개선, 원부자재의 유입경로와 생산현장 작업동선을 고려하여 해충 유입 경로를 분석하고 유입된 해충과 내부 서식해충의 확산 경로를 추적하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설, 설비, 공조, 배관의 불합리 개소 지속 발굴, 개선하는 관리가 수반되어야한다.
현재까지의 저장시설 내 저장해충 방제는 주로 메칠브르로마이드(MB)나 PH3와 같은 고독성 훈증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화학약품의 사용은 인축에 잔류독성이나 생태계 파괴와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화학약품 의 사용을 최대로 억제하면서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인 방제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ClO2) 가스를 이용하여 저장시설 내 대표적 저장해충인 화랑곡나방과 어리쌀바구미의 치사율, 생존율, 부화율, 용화율 및 발육일수 등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의 저장해충에 대한 효과와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는 실험실과 야외 운반용 컨테이너 및 실제 저장시설인 미곡처리장에서 진행되었다.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저장해충 방제는 기존 훈증제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저장시설의 규모, 농도, 처리시간, 대상해충 종에 따라 효과적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방제효과와 경제성 두 가지 측면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화랑곡나방 유충(Plodia interpunctella)에 대해 기피력을 갖는 팔각회향 에센셜 오일을 혼입한 폴리우레탄계 코팅액 제조 기술을 이용해 식품용 방충 다층필름 제작하고 유충에 대한 필름의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방충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총 9 종류의 에센셜 오일을 스크리닝하였으며 팔각회향이 가장 우수한 기피효과를 보였다. 이를 방충 물질로 선정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코팅액을 polyethylene terephthalate 12 μm 필름 표면에 코팅하였다. 방충 물질이 코팅된 필름은 polypropylene 30 μm을 적층하여 다층필름으로 제조하였으며, 개발된 필름의 화랑곡나방 유충에 대한 기피력 측정이 진행되었다. 기피테스트 결과, 대조군 필름은 유충에 대한 기피 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개발된 방충 필름은 보다 지속적인 기피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포장재에 적용 가능한 표면코팅기술을 개발하고 그 방충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식품 중 곤충 이물 저감화를 위한 식품포장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