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경북대농학지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5 (1987년 12월) 25

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상자육묘(箱子育苗)에서 살균제(殺菌齊)와 생장조절제처리(生長調節劑處理)가 묘생육(苗生育)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삼강(三綱)벼와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살균제처리(殺菌齊處理)에서 삼강(三綱)벼는 Metalaxyl과 SF8002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는 SF8002와 Metalaxyl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과 3엽(葉) 및 4엽(葉)이 뚜렷한 신장교과(伸長效果)를 보였다. 건물중(乾物重)은 Metalaxyl구(區)가 가장 무거웠고 엽수(葉數)와 묘충실도(苗充實度)는 Dachigaren청리구(廳理區)가 양호(良好)하였으며, 살균제처리구(殺菌齊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삼강(三綱)벼에서는 BA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GA,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ABA(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작았고, ABA와 CCC처리구(處理區)가 신근발근력(新根發根力)이 왕성(旺盛)했다.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살균제(殺菌齊)+GA, 구(區)와 Metalaxyl+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Isoprothiolane+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짧았다.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건물중(乾物重)과 묘충실도(苗充實度)가 양호(良好)하여 묘소질(苗素質)이 좋았으며,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보다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또한 삼강(三綱)벼에서는 Metalaxyl+IAA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지상부재생력(地上部再生力)이 양호(良好)했다.
4,200원
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Top교잡(交雜)에 의한 김의털의 포복습성(匍匐習性)을 관찰(觀察)하고,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에 의한 Top교잡(交雜)의 후대검정(後代檢定)을 통(通)하여 주요(主要) 특성(特性)들간의 관계(關係)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의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들의 주복(株輻)이 가장 넓었으며, 다른 군(群)들과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가장 주복(株輻)이 좁은 군(群)은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었다. 초장(草長)과 종자수량(種子收量)은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과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더 길고 많았다. 그리고,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 가장 짧고 적었다. 방임수분(放任受粉)과 같이 초장(草長)과 주복(株輻), 초장(草長)과 수량(收量), 주복(株輻)과 수량간(收量間)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주복(株輻), 초장(草長), 종자수량(種子收量)(수량(收量))에 있어서,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과 비포복형간(非匍匐型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그러므로 검정친(檢定親)으로는 포복형(匍匐型)보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4,000원
3.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anum melongena var. fructualbo 품종(品種)을 이용(利用)해서 원형질체 유리(遊離)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을 규명하여 원형질체를 배양(培養)하여 금후(今後) 유용(有用)한 체세포잡종식물의 획득(獲得)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험(實驗)하였다. CPW 무기염이 함유(含有)된 0.7M mannitol 용액(溶液)에 1시간(時間)동안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cellulase 1.5%, macerozyme 0.2%, mannitol 0.6M, MES 0.01M, BSA 0.2%, pH 6.3에서 4시간(時間) 배양(培養)한 것이 원형질체 수량(收量) 및 상태(狀態)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수세용액내(水洗溶液內) mannitol 농도(濃度)는 0.7M에서, sucrose 농도(濃度)는 0.6M로 하여 ESSCC방법(方法)으로 회수(回收)하는 것이 건전하고 안정(安定)된 원형질체 대량획득(大量獲得)에 적합하였으며, 거의 최적조건을 이용(利用)하여 처리(處理)된 원형질체를 의 밀도(密度)로 8P-KM배지(培地)에 배양(培養)했을 때 3~5일(日)부터 세포신장(細胞伸長)을 하였고, 그 이후(以後)부터 세포분열(細胞分裂)이 이루어져 10일(日) 후(後)부터 colony 형성(形成)이 관찰되었다.
4,000원
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액중(溶液中) propanil 분해산물(分解産物)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을 위해서 2000ppm으로 처리(處理)한 후 2주(週) 간격(間隔)으로 12주(週)까지 일정(一定)한 온도(溫度)로 유지(維持)시키면서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추출(抽出)한 혼합물(混合物)로부터 benzene을 전개용매(展開溶媒)로 한 TLC에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와 TCAB를 Rf치(値) 0.65와 0.94에서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GC분석(分析)은 column 온도(溫度) 에서 분리(分離)가 가능(可能)하지만 정량적(定量的) 분석(分析)에서 DCA는 , TCAB는 로 달리하여 분해경로(分解經路)를 조사(調査)하였다. IR spectrum에서 와 의 흡수(吸收) band에 의(依)해 DCA의 작용기(作用基)가 결정(決定)되었다. NMR spectrum에서 와 의 peak는 DCA의proton과 일치(一致)하였다. 이와 같이 용액중(溶液中) 혼합추출물(混合抽出物)로부터propanil의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TLC로 분리(分離)하여 GC, IR, NMR로 동정(同定)한결과 propanil은 용액(溶液) 내(內)에서 DCA를 거쳐서 TCAB로 분해(分解)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초제(除草劑) propanil 이 용액(溶液) 내(內)에서 분해(分解)되는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propanil의 분해(分解)에 관여(關與)하는 온도(溫度), pH 및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 등(等)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propanil의 분해(分解)가 빨랐으며, 원제(原劑)보다 제품(製品)의 분해(分解)가 다소 빨랐다. 띠라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의 생성량(生成量)은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증(增)가하였으며, 증가(增加)된 DCA는 일정기간(一定其間) 후(後) TCAB로 축합(縮合)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그러나, 축합(縮合)된 TCAB는 증가(增加) 후(後) 더 이상 분해(分解)되지 않고 일정량(一定量)을 유지(維持)하였다. Propanil은 알칼리성(性) 용액(溶液)에서 빨리 가수분해(加水分解)되었으며, 또한 강산(强酸)에서도 빨리 분해(分解)되었다. 그러므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는 강산(强酸)이나 강(强)알칼리 조건(條件)에서 그 생성(生成)이 빨랐고, TCAB로도 빨리 축합(縮合)되었다.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依)하여 20분(分) 이내(以內)에 90%이상(以上)의 propanil이 분해(分解)되었으며, 10분(分) 후(後)에는 0.3 ppm의 DCA가 생성(生成)되어 조사시간(照射時間)을 통(通)하여 거의 일정(一定)한 양(量)을 나타냈다.
4,000원
6.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교(光敎)를 비롯한 12개품종(個品種)의 대두근류(大豆根瘤)로부터 탐색분리(探索分離)한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숙주작물(宿主作物)과의 접종친화성(接種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YMA배지(培地)에서 자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색상(色相)은 백색상(白色相), 반투명색상(半透明色相), 투명색상(透明色相)이 각각(各各) 60%, 30%, 10%였으며 Litmus milk 반응(反應)은 alkali, acid serum, alkali serum, acid가 각각(各各) 51%, 29%, 9%, 11%로 나타났다. 2.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YM배지(培地)에서의 생육속도(生育速度) 및 pH의 변화(變化)는 S 022, S 096이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 080, S 090, S 118은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酸)을 생성(生成)하였다. 3. YM배지(培地)의 초기(初期) pH가 6.0~7.0의 범위(範圍)에서 Rhizobia의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서 glutamine, asparagine, allantion 등(等)은 Rhizobia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켰다. 5. 분리(分離)한 균주(菌株) 전부(全部)가 대두(大豆)에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우량질소고정균주(優良窒素固定菌株)는 그중 색상(色相)이 백색(白色)이고 colony가 소형(小型)이며 질산환원력(窒酸還元力)이 있고 아질산환원력(亞窒酸還元力)이 없으나 비교적(比較的) 높은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나타냈다. 6. 동일균주(同一菌株)라도 숙주작물(宿主作物)의 친화성(親和性)에 따라서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이 없는 무효근류(無效根瘤)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도 있었다.
4,300원
7.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모(酵母)와 대장균(大腸菌)의 셔틀 벡터인 YIp5, YRp7, YEp13플라스미드를 S. cerevisiae DBY747을 수용세포(受容細胞)로 하여 원형질체 방법(方法)에 의해 형질전환(形質轉換)시킨 결과(結果), YIp5플라스미드는 형질전환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YEp13플라스미드는 DNA 당(當) , YRp7은 개(個)의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YIp5플라스미드와 YEp13플라스미드, 그리고 YIp5플라스미드와 YRp7플라스미드를 환상(環狀)플라스미드 상태(狀態)로 동시형질전환(同時形質轉換) 시켰을 때 각각 DNA 당(當) 210 및 95개(個)의 형질전환체를 얻었으며, 동일(同一) 부위(部位) 또는 다른 부위(部位)를 절단(切斷)한 선상(線狀)플라스크를 앞서와 같이 동시형질전환(同時形質轉換)시켰을때, 서로 비슷하게 DNA 당(當) 15~85개(個)의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結果)에서 볼때 수용세포(受容細胞)를 S. cerevisiae DBY747로한 동시형질전환(同時形質轉換)에서 환상(環狀)플라스미드간(間)의 형질전환(形質轉換)이 선상(線狀)플라스미드간(間)의 형질전환(形質轉換)보다 빈도(頻度)가 높으며 선상(線狀)플라스미드간(間)의 형질전환(形質轉換)에서 미단(未端) 부위(部位)의 상이(相異)함이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질전환체의 안정성(安定性)에 있어서는 YIp5플라스미드와 YEp13플라스미드간(間)의 형질전환체가 YIp5플라스미드와 YRp7플라스미드간(間) 형질전환체에 비(比)해 안정(安定)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stringent control을 받는 ARS유전자(遺傳子)를 가진 YRp7플라스미드보다 DNA 복제(複製) 기점(起點)을 가진 YEp13플라스미드의 복제수(copy number)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8.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인산(燐酸)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고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定量方法)을 알아보고자 상관계수(相關係數)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낙동(洛東)벼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이용(利用)과 인산시용(燐酸施用)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이 상이(相異)한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pot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낙동(洛東)벼의 이앙(移秧) 후(後) 생육(生育)은 무인산구(無燐酸區)에 비(比)해 인산시용품(燐酸施用區)의 초기(初期) 생육(生育)이 촉진(促進)되었고, 분벽(分檗)이 증가(增加)했으며, 위 실험(實險)에 사용(使用)된 4지역(地域)의 토양(土壤)에서 토양(土壤)A는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이 /10a까지 분벽수(分檗數), 초장(草長), 그리고 수량(收量)에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유효경수(有效莖數),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토양(土壤)B와 C, D에서는 인산(燐酸) 시용량(施用量)이 /10a까지 유효경수(有效莖數),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차이(差異)가 크지 않았다.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별(定量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은 Bray No.2법(法)이 가장 높았고, Lancaster법(法)과 Bray No.1, North Carolina, Olsen 법(法)의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Pot시험(試驗) 결과(結果) 정량(定量) 방법별(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상대수량(相對數量)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North Carolina법(法)이 0.952로 가장 높았다.
4,000원
9.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lcoaceticus C10은 CL 배지에서 -caprolactone 및 succinate에 의해 생육에 아무 영향도 받지 않았으나 adipate와 xylose에 의해서 균의 생육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 균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는 포도당에 의해서도 생육도가 증가하였으며 6시간 배양 후 0.2%의 포도당을 첨가한 경우에는 16시간 후 CL 배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약 2배의 생육도를 냐타내었다. A. calcoacelicus C10이 생산하는 cyclohexanol dehydrogenase(CDH)는 -caprolactone, succinate, xylose 및 포도당에 의해 이화물 억제를 받지 않았으나 사이클로헥사놀 대사경로의 최종생산물인 adipate에 의하여 생합성 억제를 받았다. CL 배지에 0.1%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다소 유도되었으나 0.2%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거의 유도되지 않아 0.5%의 adipate를 첨가한 것과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0.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동발효(醱酵)빵 제조에 사용되는 경질(硬質) 밀가루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과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반죽의 동결안정성(凍結安定性)을 검토(檢討)하였다. 밀가루는 수분이 14.0%, 회분(灰分)이 0.48% 정도였고 단백질이 13.15%, 건조 gluten이 13.43%였다. Farinograph성적은 반죽의 development time이 5.5분, 흡수율(吸水率) 62%였고, amylograph성적상의 최고점도(最高粘度)는 500BU정도였다. Extensigraph의 특성중(特性中) 신장저항성(伸張抵抗性)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신장성(伸張性)은 감소(減少)하였다. 이상(以上)의 이화학(理化學)이 성질(性質)로 미루어 공시(供試)밀가루는 제(製)빵에 아주 적합하였다. 동결저장기간과 발효시간이 발효력(醱酵力)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반죽온도를 로 조정하는 것이 반죽의 냉동장해(冷凍障害)를 억제하고 냉동안정성(冷凍安定性)을 유지하는데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000원
1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젓갈류 및 젓갈류외 원료(原料)가 되는 어패류(魚貝類), 식염중의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과 젓갈류의 중금속(重金屬) 함유요인(含有要因)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젓갈류중(中) 중금속(重金屬)의 평균함량(平均含量)은 Hg 0.076ppm, Pb 0.677ppm, Cd 0.112ppm, As 1.025ppm, Cu 3.540ppm, Zn 11.23ppm, Mn 2.041ppm이었으며 어패류(魚貝類)는 Hg 0.051ppm, Pb 0.425ppm, Cd 0.071ppm, As 0.632ppm, Cu 2.516ppm, Zn 8.052ppm, Mn 1.178ppm으로서 어패류(魚貝類)가 젓갈류에 비(比)해 낮은 함량(含量)이었다. 식염중의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Hg ND, Pb 0.05ppm, Cd 0.01ppm, As 0.02ppm, Cu 0.087ppm, Zn 0.068ppm으로 매우 낮은 함량(含量)이었다. 용기(容器)에 따른 멸치젓의 숙성시험(熟成試驗) 결과(結果) Hg, Cd는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Pb는 옹기 및 철제용기(鐵製容器), As는 철제용기(鐵製容器) 및 재생(再生)플라스틱 용기(容器)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철제용기(鐵製容器)에서 멸치젓을 숙성(熟成)시킨 결과(結果) Hg, Cd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重金屬)은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초기(熟成初期)에 비(比)해 후기(後期)에서 그 증가폭(增加幅)이 크게 나타났다. 용기(容器) 용출시험(溶出試驗) 결과(結果) Hg, Cd는 모든 용기(容器)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나 그 외 중금속(重金屬)은 용출시간(溶出時試)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식염농도에 따른 중금속(重金屬) 용출(溶出)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4,000원
1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저장생리(貯藏生理)에 영향을 미치는 과피지질(果皮脂質)과 품질(品質)의 측도(測度)가 되는 색소(色素)의 변화(變化)에 대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지질(全脂質)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높았으며, 두 품종(品種) 모두 저장(貯藏)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증가(增加)하였으며 특히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變化) 폭(幅)이 현저하였다. 중성지질(中性脂質) 함량(含量)은 Fuji의 상온구(常溫區)에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저온구(低溫區)에서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으며 국광(國光)은 60일(日)까지 약간씩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다. 당지질(糖脂質)은 두 품종(品種) 모두 3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60일(日)까지는 증가(增加)하였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감소(減少)하였는데,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폭(變化幅)이 더 컸다. 인지질(燐脂質)은 Fuji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었고 국광(國光)에서는 저장전반(貯藏全般)을 통해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다.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대한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함량비(含量比)는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 Fuji는 감소(減少)하였으나 국광(國光)은 증가(增加)하였고, 당지질(糖脂質)에서 Fuji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 증가(增加)하였고 국광(國光)은 저장전반(貯藏全般)에 걸쳐 증가(增加)하였다. 인지질(燐脂質)의 경우는 두 품종(品種) 모두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SAP-L, NAP-L, SAP-N, NAP-N 순(順)으로 비율(比率)이 높았다. Chlorophyll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다소 높았고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가장 적었다. Carotenoid, anthocyan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증가폭(增加幅)이 가장 컸으며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는 착색(着色)이 가장 지연(遲延)되었다.
4,200원
13.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loroform:methanol {2:1(v/v)} 추출(抽出)한 참깨기름에 무색(無色), 청색(靑色), 적색투명(赤色透明) 셀로판 필름으로 덮개를 한 실험구(寶驗區)에는 시료(試料)무게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0.02%의 BHA와 BHT를 첨가(添加)하여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하루에 4시간(時間)동안 조사(照射)시켰을 때의 이들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carbonyl가(價), TBA가(價),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통(通)해 관찰(觀察)하였다. 항산화제첨가구(抗酸化劑添加區)의 경우(境遇) BHT가 BHA보다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가 컸으며 BHT나 BHA 모두 조사일수(照射日數)가 경과(經過)할수록 그 효과(效果)는 감소(減少)하였다.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은 강(强)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적색(赤色)이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보다 강(强)한 효과(效果)를 보였다. 이는 적색(赤色)이 청색(靑色)보다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적색(赤色),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과 BHA, BHT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이 BHA나 BHT 보다 저장초기(貯藏初期)부터 지속적(持續的)인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다. 추출(抽出) 직후(直後)의 참깨기름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주로 oleic acid (37.7%), linoleic acid(43.4%)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착색(着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을 덮은 시료(試料)를 하루 4시간(時間)씩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10일(日)동안 조사(照射)시킨 후(後)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살펴본 결과(結果) oleic acid의 함량(含量)이 control의 경우(境遇) 1.7%, 청색(靑色)은 0.6%, 적색(赤色)은 0.2%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으며 linoleic acid는 control이 4.3%, 청색(靑色)이 4.2%, 적색(赤色)은 2.1%씩 감소(減少)하였다.
4,000원
1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국화(菊花) 8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국화(菊花)잎선충에 대(對)한 저항성조사(抵抗性調査),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 그리고 관수방법(灌水方法)이 피해엽율(被害葉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 몇가지 살충제의 방제효과(防除效果)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l. 국화(菊花)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에 대(對)한 국화품종(菊花品種)의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에서 Shuhonothikara는 11.7%, Sagakiku는 14.5%로서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고 Sinrokusiogio, Dangonanako, Sintoa 등(等)은 50% 이상(以上)의 피해엽율(被害葉率)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으며 Gold wave, Tenju 등(等)은 24~26%로 중간정도(中間程度)를 나타냈다. 2. 피해엽율(被害葉率)과 엽면적(葉面積), 엽후(葉厚), 기공수(氣孔數), 기공(氣孔)의 크기 및 모즙장(毛葺長) 등(等)과는 상관(相關)이 없었고 모즙수(毛葺數)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3. 관수방법(灌水方法)에 따른 피해엽율(被害葉率)은 P. E. film에 의(依)한 강우(降雨)를 차단(遮斷)하고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에서 9.4%로 가장 낮았으며,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가 50%로 다음이었고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Spray한 구(區)가 6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는 강우량(降雨量)보다는 강우일수(降雨日數)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내타내었다. 5. 살선충제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依)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현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여 주었으며 약제별(藥劑別)로는 Temik이 평균피해엽율(平均被害葉率)이 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처리(無處理)나 타약제(他藥劑)에 비(比)하여 현저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Carbofuran, Otran, Mocap 등(等) 약제간(藥劑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4,000원
1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도내(慶北道內) 각(各) 지역별(地域別) 벼 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 및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면방(慶北面方)에서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의 조성(組成)은 KJ군(群) 레이스 5종(種), KI군(群) 레이스 6종(種)으로 총(總)11개(個) 레이스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우점(優占)된 레이스는 KJ301로서 그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37.9~39.0%였고 그 다음으로 KJ401, KJ201, KJ101, KI3I5, KJ105, KI307, 의 순(順)이었다. 레이스군별(軍別)로는 KJ군(群)레이스가 우점도(優占度)가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우점(優占)레이스는 거의 KJ301이었다. KI군(群)레이스 분포비율(分布比率)은 남부(南部), 연해부(沿海部)에 비(比)해 중(中), 북부(北部) 지역(地域)이 높았다. 레이스군별(軍別) 분포비율(分布比率) 변동(變動)은 주(主)로 벼품종별(品種別) 식부면적(植付面積)과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Blasticidin-S 내성균(耐性菌)에 의한 영향(影響)은 없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되고 있는 벼도열병균(稻熱病菌)의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1.2%였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남부지역(南部地域)이 43.2%로 가장 높았고 중부(中部) 29.4%, 북부(北部) 25.0%, 연해부(沿海部) 지역(地域)이 10.5%로 가장 낮았다. 내성균(耐性菌)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레이스군별(軍別) 분포(分布) 비율(比率)과는 일정(一定)한 관계(關係)가 없었으나 도열병(稻熱病) 살균제(殺菌劑) 사용량(使用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000원
16.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 부란병균 병반상에서 검출된 비병원성 Valsa속 균의 비병원균 인자가 부란병균으로 전이되는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는 적당한 유전표식(遺傳標識)이 필요하므로 두 균종(菌種)에서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작출(作出)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균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합성배지로는 E. Parasitica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최소배지 및 완전배지가 선발되었고 단집락형성용 배지로는 이 최소배지에 0.5%의 L-sorbose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았다.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서 포자가 발아하기까지는 약 96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밝혀져 자외선 조사후 완전배지를 중층(重層),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96시간 이상 야생형(野生型)을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병포자 발아과정의 핵의 행동을 추적해 본 결과, 1차 핵분열이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60시간으로 자외선 처리 후 photoreactivation에 의한 reversion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사(照射) 후(後) 60시간(時間) 이상 암상태(暗狀態)에 보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자외선 조사방법(照射方法)을 선정하기 위하여 병포자현탁액에 조사(照射)하는 방법과 단집락형성용 배지에 포자를 도말하고 그 위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방법(方法)을 비교 검정해 보았다. 병포자현탁액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130초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생존율이 0.1%에서 7%의 범위인 80초~120초 사이에서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다. 한편,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 도말된 병표자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90초의 조사(照射)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50초 정도의 조사(照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으며, 조사(照射)시간에 따른 포자생존율에 있어서 균주간에 큰 변이가 없는 후자의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선발한 161개의 putative auxotrophs 중 10개의 영양요구성이 확인이 되었는데 nucleic acid base 요구성 4균주, amino acid 요구성 4균주 vitamine 요구성 2균주가 얻어졌다. 이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성이 상실된 것이 5균주, 약병원성 3균주, 여전히 강한 병원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2균주로 나타났는데 약병원성 또는 강병원성을 나타낸 5균주중 nicotine 요구성인 AM513만 병반상에서 포자가 내장된 병자각을 형성하였고 여타의 균주는 포자형성능(胞子形成能)이 상실되었다.
4,000원
17.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과목초(科牧草) 균핵병균(菌核病菌) S. trifoliorum의 완전세대 형성과정중 수정(受精)의mechanism과 그 시기를 밝히고 균핵(菌核)내부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변화의 양상(樣相)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실험에 공시(供試)한 S계통(系統)의 균주(菌株)에 있어서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에의 도달은 균핵(菌核)을 포화습도(飽和濕度) 15C에 치상(置床)한 후 18일 경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는 일부의 균핵(菌核)에서 치상(置床) 후(後) 45일 경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本) 균(菌)의 균핵(菌核)이 수정가능상태에 달하게 되면 균핵(菌核)의 교배형(交配型)과 관계없이 그 내부에 염색성(染色性)이 강한 균계집단(菌系集團)이 출현하였는데 이들의 진전과정을 homothallic 계통(系統)과 heterothallic 계통(系統)에서 비교 검토한 결과, ascogonium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들 ascogonium은 치상 후 약 45일 경까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나 치상 39일 경부터 퇴화되어 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균핵내부에서의 ascogonium의 출현 지속기간과 균핵의 수정가능기간이 서로 잘 부합되었다.
4,000원
18.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ore rational and practical planning theory for amusementpark. It analyze and considerate the fluctuation of the people who come and use a Tong-Ch'on amusementpark.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 There are considerable correlation between use fluctuation and some factors. The factors are season (spring, summer, autumn) as a tim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weather (rainy day) as a climate and date (weekday, holiday) as a social system. The important variables ar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and date (week day, holiday) to estimate the user of amusementpark. I can reduce the following two types of regression models. 1. () 2. () Y ; Number of User TEM ; Temperature CLO ; Amount of cloud SUN ; Duration of Sunshine WI ; Weekday W3 ; Holiday Those model is inorder to estimate the user for management of Tong-Ch'on amusementpark and use on the computation of facility size for reconstruction. Besides the amusementpark, city park and outdoor recreation area could estimate of user throuth this method. But, I am not sure about the regression models because I didn't apply the regression models to the other amusementpark, city park or outdoor recreation area.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roblem needs to study in the future.
4,000원
19.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the design precipitation, the most probable daily precipitation and annual precipitation at every spot are calculated and iso - precipitation line are drawn.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drought phenomena of each gage station are analyzi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from the statistical conceptions. The result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s. 1. Annual mean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1044 mm, about 115 mm less than annual mean precipitation of Korea amounts to l1S9mm, and found to regionally unequal. 2. Monthly mean rainfall of July is 242.2mm, 23.2%, August 174.2mm, 16.7%, June 115mm, 11% and September 114.2mm, 10.9% and Rainfall depth of July-August are more than 40% of annual precipition. This shows notable summer rainy weather by typoon and low pressure storm and seasonal unbalance of water supply. 3. The relation among the maximum precipi.tation per day, per two continuous days and per three contnous days are caculated and the latter is found 31.0% increased rate of the first and the last 48.2% increased rate of first. 4.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shown as 9.0%(5 year), 13.3%(10 year), 17.7%(20 year), 23.1%(50 year), 27.0%(100 year) and 31.1%(200 year) increased rate of each recurrence year compared with observed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5. From annual precipitation and maximum daily rainfall data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isohyetal line are derived which shown as Table 11 and Fig. 8. 6. Drought days are divided 6 class and analysed results are shown on table 12. Average occurrence time of 10-14 continuous drought days are 2.3 time per year, 15-19 days are 0.9 time per year, 20-24 days are one per six years, 30-34 days are once per nine years and over than 35days are once per 25 years.
4,800원
20.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nd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traveltime (Tc) and watetshed physical characteristics surveyed such as river length (L), Lea, river main slope (s), base length of time area diagram, and storage constant (k).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widths of watersheds were with the range from 4.6 kilometers to 16.7 kilometers. The shape factors of main stream ranged from 0.08 to 0.37. The average slopes to main 8tream were within the range of 1.7-5.5 meter per kilometer. The relation between the base length and traveltime from S. C. S. method, Rational method, and RZIHA+KRAVEN method were derived (r=0.98), , (r=0.98), (r=0.97). The base length of the time-area diagram (c) for the IUH was derived a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8 which defined a high significance. The storage constant K, derived in this study wa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96). The relation between storage Constant and conventional formula were figured out (r=0.97). (r=0.99) and (r=0.963). The base length (c) and storage constant (k) of time-Area Diagram were very important parts that determined traveltime for flood events. In the estimate of travel time for predicting flood volume, the formula of that would be available to apply the Nak - Dong river watershed area and homogeneous watershed characteristics was found.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