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16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gamma-ray for mutation breeding in sorghum (Sorghum bicolor M.). Gamma-rays irradiated to dry seeds with various doses (0 to 1000 Gy)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Lethal dosage (LD50) was approximately 256 Gy. Significant decreases in growth characteristics (plant height, tiller number and fresh weight) were observed by dose of increased over 300 Gy. Reduction doses (RD50) was approximately 363 Gy in plant height. We also conducted comet assay to observe nucleus DNA damage due to gamma irradiation. In comet assay, a clear difference was identified over 100 Gy treatments. With increasing doses of gamma-ray in the range of 100 to 400 Gy, the rate of head DNA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93.52% to 67.57%. The most of the Sorghum cells were severely damaged in the integrity of DNA by gamma-ray. These data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when the optimal dose should be chosen for purpose of mutation breeding program of Sorghum.
16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3년 화색이 선명한 오랜지색 절화용 거베라 ‘선셋드림’을 육성하였다.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2005년부터 국내 재배농가에서 유전자원 수집 후 특성을 검정하였다. 2009년 3월 교배 후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친 다음,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계통 경남교 G-48호를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절화특성이 우수하고 화색 등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아 2013년 11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선셋드림(Sunset Dream)’으로 명명하였다. ‘선셋드림’ 품종 의 생육 및 개화특성 조사를 위하여 대조품종으로 교배모본인 ‘엔토라지(CFG0061)’를 사용하였다. ‘선셋드림’ 품 종은 복색계의 ‘엔토라지(CFG0061)’와 적색계의 ‘알버트’(CFG0058)와의 교잡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화색이 선명 한 오렌지색(RHS, 30D/40B) 반겹꽃으로, 화폭이 12.2cm 정도인 절화용 대륜화이다. 또한 포기당 연간 평균절화수 량은 50.7송이 정도이며, 절화수명은 약 12.1일 정도이다. 개화소요일수는 92.8일로 대비품종 ‘엔토라지’의 94.1일 에 비하여 약 1.5일 정도 빠르며 이때 개화엽수는 약 8.8매 정도이다. ‘선셋드림’ 품종의 설상화의 길이는 5.2cm 정 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4.7cm에 비하여 길며, 설상화의 폭은 1.1cm 정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1.0cm와 비 슷한 편이다. 화경 직경은 상부는 0.4cm 정도이고, 하부는 0.6cm 정도로 대조품종 ‘엔토라지’의 상부 0.5cm, 하부 0.7cm와 비슷한 편이다. 재배상의 유의사항은 지온의 관리 및 양·수분의 흡수가 쉽도록 가능한 이랑을 높게 만들 고, 여름철 고온기의 생리장해 및 고온에 의한 꽃봉오리의 유실 방지를 위하여 차광재배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 고 환기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16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ting and cooking qualities are the most important trait in japonica rice breeding program in Korea. More improvements in grain quality to meet the demand of consumers are needed to develop new rice germplasm of high grain quality. In this study, we performed genetic analysis and grain quality evaluation in 96 Korean japonica rice germplasm including 26 varieties with 4 Japanese japonica high eating quality, 24 landraces, 22 weedy rices, and 14 breeding lines. These germplasm were analyzed using 13 DNA markers related to eating quality to conjecture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Lestari et al. 2009). Most varieties of high eating quality were clustered with germplasm of high expected quality (eq) varieties of similar genetic background of pedigree. The expected quality (eq) values of high eating quality varieties, Gopum, Ilpum, Samgwang, and Sugwang were 99.6∼104.5, and Koshihikari was 103.5. The eq of two weedy rices, Hoengseongaengmi 3 and Namjejuaengmi 6 were 101.9 and 101.6, respectively. However, Haiami of high eating quality was clustered with 15 weedy rice and 11 landrace germplasm of low eq value. The eq values of Haiami and Wandoaengmi 6 were 66.9 and 40.8, respectively, but they has 2 and 3 of palatability of cooked rice, and 73.6 and 78.6 of glossiness of cooked rice, respectively. We expect these germplasm would be new source for rice grain quality to develop japonica rice of high eating quality.
16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node elongation is an important agronomic trait in rice that is associated with lodging, yield, and flooding adaptation. We identified a novel rice mutant line showing shortened uppermost internode among the rice Ac/Ds insertional mutant population and named it shortened uppermost internode 4 (sui4). The phenotypes of F1 plants and F2 plants from the cross of sui4 with its original variety, Dongjin, indicated that the SUI4 gene shows incomplete dominance or semidominance. Because the Ds genotypes did not co-segregate with the sui4 phenotypes, we performed mapping of this gene with 273 F2 plants from a cross between sui4 and Milyang23. Primary mapping revealed that the SUI4 locus was located between the S07012 and S07015 markers on rice chromosome 7. Further fine mapping narrowed down the location of SUI4 to the 1.1-Mbp interval of RM1253-S07015. Using re-sequencing data of this mutant along with its original variety, Dongjin, and five other varieties, we found six sui4 specific SNPs occurred within the genic region of five genes in the fine-mapped interval. Among them, one SNP is in exon, while the other five SNPs are in intron. This SNP in exon occurred in the miR172 binding site of a gene encoding AP2 domain transcription factor, which seems to interrupt suppression of this gene activity by miR172. We isolated the genomic region of this gene from sui4 and transformed the wild type variety, Dongjin.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remarkably shortened internodes, which indicates that this AP2 domain transcription factor gene is the SUI4 gene.
16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ucosinolates of Brassica rapa collection from Korea genebank were measured to determine total glucosinolate content and their variation of diverse glucosinolates; Around 100 accessions representing the different morphotypes and geographical origin of Brassica rapa were analy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mong morphotypes using the profiles of 14 glucosinolates identified from the leaves. DMRT test and box plo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glucosinolates of subspecies. Most of turnip accessions had higher gluconilates compared to the other type accessions, Chinese cabbage and pak choi. These accessions will be used for GWAS study for glucosinolate. Now they are being finger-printed by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Among these accession, we selected a turnip accession with high amount of glucosinolate, K0466 and two Chinese cabbage accession with low amount of glucosinolate, K0015 and K0621. To analyse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for glucosinolate synthesis, these three accessions were fixed through microspore culture. Finally, six homozygous lines were selected and were crossed each other to make F1 hybrids. We just harvested F2 seeds and transferred doubled haploid plants to pots. QTL analysis for glucosinolate will be performed these F2 and DH population.
16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야글로리’는 2013년 육성된 홑꽃 화형 진한 황색의 분화용 국화로 개화가 빠르며 분지수가 많은 품종이다. 교배 는 2010년 10월에 분지성은 많으나 연한 황색의 ‘가야옐로우’을 모본으로, 진한 황색이나 분지성이 적은 ‘그린문’ 을 부본으로 교배한 조합으로부터 220여개 종자를 획득하였다. 채종 즉시 벤레이트수화제 1,000배액에 소독하여 페트리디쉬에 파종한 후 25℃ 정도의 조식배양실에 넣어 발아된 유묘를 원예상토로 채운 플러그 트레이(200공)에 옮겨 심고 1개월 정도 육묘하여 화훼연구소 비닐온실내의 10cm 포트에 정식하였다. 재배방법은 정식 2주후에 적 심하였고 적심 2주 후 13시간으로 단일처리를 재배하였다. 개화된 실생계통들 중에서 화색이 우수하고 분지수가 많은 우수개체를 1차로 4개체 선발하여 모주를 증식하고 1차 특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GYGM -160개체를 선발하 였고, 2011년도부터 2013년까지 3회에 걸쳐 촉성, 억제, 자연재배의 생육 및 개화특성을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과 국립종자원의 신품종 출원 및 심사를 위한 국화 특성조사요령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호 성이 좋고 화색과 화형 등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13년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가야글로리’로 명명하였다. ‘가야글로리’는 가을에 개화하는 홑꽃 화형 황색(Y9A) 꽃잎의 분화용 국화이다. 개화 소요일수는 평균 39일 정도로 6주 이하의 조기개화성 품종이며, 10cm내외의 화분에서 적심 후에 일반적인 분화국 화 재배법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꽃직경은 3.1cm 정도로 작으며, 초장은 12.9cm 정도의 소형 분화용 국화이다. 특 히 착화수와 분지수가 32.7개와 5.1개로 많아 상품성이 높고 상품화하기 좋은 품종이다. 재배상의 유의사항은 여 름철 고온기의 화색퇴화 및 개화지연 방지를 위하여 차광을 해주고 서늘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16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예스루비(Yes Ruby)’는 2010년 10월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고온기 화색발현이 우 수하고 고생장성인 스프레이국화 신품종 개발을 위해 연분홍색 홑꽃화형의 ‘보라미(Borami)’품종을 모본으로 하 고 자주색 홑꽃화형의 ‘예스라인(Yes Line)’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얻어진 500개의 종자를 2011년에 파종하였 고, 이중에서 성장 세력이 빠르고 화색이 선명한 320번째 개체를 선발하여 ‘SP11-148-01’으로 계통명을 부여하였 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2년까지 1, 2차 생육특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2013년 안 정성, 균일성 등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기호도가 4.21/5.0(n=90)로 높아 ‘예산SP-44호’로 명명 하였다. 201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예스루비(Yes Ruby)’로 명명하고 품 종등록 출원을 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구미시설공단 수출품종인 ‘킹피셔(Kingfisher)’ 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는 자주색(RP71A)의 화심이 녹색인 고생장형 절화용 스 프레이국 품종이다. 착화수는 20.0개/본으로 대조품종 19.5개와 비슷하였으나 꽃직경이 6.2cm이고 설상화의 꽃잎 수는 25.7매로 대조품종의 5.0cm에 23.3매와 비교하여 화형이 크고 꽃잎수가 많아 볼륨감이 우수하였으며, 절화장 이 94.9cm로 대조품종의 89.2cm보다 커 초세 및 줄기가 강건하였다. ‘예스루비(Yes Ruby)’는 자연개화기가 10월 24일로 대조품종보다 평균 5일 빠른 경향을 보였고 개화반응주수는 7.0주로 빠른 편이며 주년재배가 가능하였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동계 재배시 균일한 개화 및 개화지연 방지를 위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16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reesia (Freesia hybrida Hort.) ‘Song of Angel’ was developed for the cut flower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Herbal Science in 2013. This hybrid was crossed and selected from a seedling of three-way crossing ‘Golden Flame’ and the seedling of ‘Athene’ and ‘Yvonne’ in 2006 and 2007, respectivel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reesia hybrid were investigated for 5 years from 2008 to 2012, and then it was named ‘Song of Angel’ in 2013. ‘Song of Angel’ has single flower and yellow petals (RHS, YG13B) with yellow center color (RHS, YG13A). The average flower width is 5.8 cm and the average yield is 4.3. The growth of the plant shows vigorous and the average height is 95.3cm, and it is higher than about 30cm that of control cultivar ‘Yvonne’. The average number of floret per stalk and stalk length, 14.3, and stalk was 11.1 cm length is higher than the ‘Yvonne’, 9.7 and 8.3cm length, respectively. The average days to first flowering of ‘Song of Angel’, 141 days, was approximately 10 days earlier than the control cultivar. It’s average vase life and yield is 10.7 days and 6.2 cormlets per plant, respectively.
16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tification with vitamins in crops like rice is a continuing endeavor for geneticists and rice breeders. Tryptophan is one of the essential amino acids needed in human diet. In this study, we developed rice mutant lines using ethyl methane sulfonate (EMS) treatment in Korean cv. Donganbyeo and candidate rice lines were selected by insensitivity to the tryptophan analog, 5-methyltryptophan. One of the mutants has a 20-25 fold higher tryptophan level in mature seeds than wild type. To identify the mutations in anthranilate synthase genes, OASA1 and OASA2 sequences were generated. Moreover, mRNA expression levels of tryptophan biosynthesis related genes were examined. To further qualify the tryptophan fortification in rice, comparative assessment of cooking and eating quality was conducted with mutant lines and wild type. The moisture, viscosity, taste quality,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were similar with wild type. However, tryptophan contents in the mutant lines were higher than wild type as we targeted. The mutation present in AS gene of 5MT resistant rice may prove useful for the generation of crops with increased tryptophan contents and the mutation differences in AS sequences can be used for selection of mutant lines with high tryptophan level from large population.
17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ucosinolates (GLS) are secondary metabolites commonly occurring in Brassica crops and more than 130 different GLS have been reported in diverse plants.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isothiocyanate (ITC) derived from GLS by hydrolysis had a potential fo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everal rumor cells on hum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lucoraphenin (GRE) and glucoraphasatin (GRH) were abundant and differently regulated in radish plant, depending upon organs and developmental stages. Microspores isolated from flower buds of radish were cultured in vitro to obtain doubled haploid (DH; but homozygous) lines in a short time perio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GRE and GRH, an immediate precursor of ITC from DH lines of radish plant. Total 41 DH lines were selected based on flow cytometry analysis. The seeds, obtained by bud pollination from the DH lines, were planted and 3-weeks-old young seedlings were used for the major aliphatic GLS analysis. Amounts of GRH were highly variable from the DH lines ranging from 2.3 to 31.5 mg·g-1 dry weight (DW). The donor plant (DP) contained 18.4 mg·g-1 DW. It was noticed that there were 6-fold differences in the amounts of GR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DH lines. Among 41 lines tested, 14 DH lines of radish pla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mount of sum of GRH and GRE compared those of the donor plant (P<0.05), whereas only three lines increas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ill lend to select genotypes with low and high GLS contents of radish plant. In addition, those DH lines will aid to elucidate a biosynthetic pathway of the aliphatic GLS in radish plant, which remain for the most part unsolved.
17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는 주로 괴근(덩이뿌리)을 식용으로 이용하지만 최근 고구마 줄기에 대한 영양성분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요리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고구마 줄기(잎, 잎자루)에는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등의 에너지원과 칼슘, 철 등의 여러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함량은 괴근보다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농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 는 잎자루 채소용 고구마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신미’ 품종으로, 그 이외에 잎자루 채소용 고구마의 품종 육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잎자루 채소용 고구마의 육종 선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우 수 계통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품종은 ‘신미’(잎자루색 녹색)와 ‘하얀미’(자주색+녹색)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온실에서 15일 간격으로 6차례 수확 한 후 우수한 7계통을 선발하여 생육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자루 생체수량은 계통 MI 2010-01-18가 신미 62,150kg/10a에 비해 57,167kg/10a로 낮았으나, 잎자루 갯수는 5,730천개로 ‘신미’와 비슷하였다. 잎자루 길이는 ‘신미’가 6회 평균 34cm인 반면 MI 2009-33-12는 38cm로 길었다. 잎자루의 당 도는 수확시기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MI 2009-33-12는 6회 평균 3.0Brix°로 ‘신미’ 2.7, ‘하얀미’ 2.72Brix° 보다 높았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자주색을 띠고 있는 하얀미가 8.8mg/100g(건물중)으로 가장 높았고 MI 2010-01-18이 5.5 mg/100g으로 신미 4.5 mg/100g 보다 높았다. 잎자루 경도는 신미 0.134kg에 비하여 MI 2010-05-03 이 0.086kg으로 가장 유연하였고 MI 2009-33-12는 0.177로 가장 단단하였다. 고구마 잎자루용 품종을 육성하기 위 해서는 생육 및 수량 특성 뿐만 아니라 당도, 생체 경도 및 데친 후 경도, 무름성, 껍질 벗김성 등 여러 가지 부분을 고려한 지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7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배체 유핵(seeded) 포도 품종에 개화 14일 전(14 DBF, days before flowering) 지베렐린을 1차 처리하면 무핵 (seedless) 과립의 생장이 유도되고, 무핵 과립의 비대를 위해 개화 14일 후(14 DAF, days after flowering) 지베렐린을 2차 처리하면 종자는 없지만 과립은 정상적으로 비대 된 씨 없는 포도가 생산된다. 수량과 직결되는 과립 비대는 지베렐린 2차 처리에 의한 효과라고 알려져 있으며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과립 비대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그러나 무핵과를 유도하기 위해 개화 전 지베렐린을 한 번 처리한 경우에도 무처리구에 비해 씨방과 자 방이 비대되며 화분관 신장이 저해되어 수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배체 유 핵인 ‘탐나라 (Vitis spp.)’ 품종에 개화 14일 전 지베렐린을 처리하여, 개화 전 지베렐린 처리가 포도 꽃과 자방 발달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화 7일 전부터 개화 2일 전까지, 무처리구의 자방은 종적으로는 지속적으 로 신장하였고 횡적 생장 속도는 감소하였다. 반면, 지베렐린 처리구에서는 종적, 횡적 생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 여 자방 크기가 무처리구에 비해 약 10% 증가하였다. 화관이 벗겨진 개화부터 개화 2일 후까지, 지베렐린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20% 이상 자방이 비대되었으며, 개화 5일 후에는 30% 이상 자방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베렐린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생장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pedicle도, 만개 7일 전부터 지베렐린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40% 이상 빠르게 신장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개화 전 지베렐린 처리가 자방뿐만 아니라, pedicle의 신장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베렐린 1차 처리 에 의한 자방 비대와 pedicle의 신장 효과는 개화 후 9일째에 감소되었다. 이 시기는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생장 촉 진 효과가 사라지면서 동시에 무처리구의 수정된 배(embryo)에서 지베렐린이 분비되기 시작하는 시점임을 시사 한다. 이상의 관찰을 통해, 지베렐린 1차 처리에 의해서도 포도 꽃과 자방의 발달이 촉진됨을 알 수 있었으며, 지베 렐린 처리에 의한 씨방과 자방의 조기 발달이 수분 후 화분관 신장 환경에 영향을 끼쳐 화분관 신장이 저해됨을 추 정할 수 있었다
17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ight regulators of fruit set initiation, gibberellin (GA) and auxin, have been applied for decades to induce parthenocarpy, fruit set without fertilization. The integration of GA and auxin signaling mediated by either GA or auxin application during parthenocarpy has been actively reported in tomato, and recently we reported that GA application at pre-bloom also activating auxin signaling and down-regulated negative regulators of fruit set initiation in grapevines. However, the activation of auxin signaling upon GA application without up-regulation of auxin biosynthesis is still unclear. In this study, expression patterns of three auxin efflux transporter genes, VvPIN1a, VvPIN2 and VvPIN4, were monitored during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Tamnara’ grapevines with or without GA application. Without GA application, transcription levels of VvPIN1a and VvPIN4 gradually increased from 14 days before full bloom (DBF) to 2 and 5 days after full bloom (DAF), respectively, except down-regulation of VvPIN1a during 5 DBF to full bloom. However, VvPIN2 expression declined steadily after peaking at 10 DBF. With GA application, VvPIN1a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when compared to no GA application, with the exception of 4-fold up-regulation at full bloom, but transcription of VvPIN4 was reduced between 5 and 2 DBF. In addition, VvPIN2 was down-regulated between 12 and 10 DBF by more than 50% compared to levels in the absence of GA application. These reductions of both VvPIN2 and VvPIN4 with GA application prior to pollination suggest that GA application might regulate auxin distribution, instead of auxin biosynthesis, to activating auxin signaling during parthenocarpic fruit initiation.
17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crops in the world and provides 20% of nutritional requirement to the consumer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consumption per capita of wheat is persistent but the self-sufficiency has decreased owing to the less competitive world market and double cropping system with ric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eline data on the selection lines with early maturity and good agronomic traits. Geumgangmil, a leading Korean variety, was crossed with CIMMYT’s line, and a DH (double haploid) line was released using pollens of Maize in Mexico. The 71 inbred lines were grown in fields at NICS, Miryang. The culm length of inbred lines were normally distributed from 37cm to 106cm, though that of the P1 (Geumgangmil) was 71 and P2 (CIMMYT’s Line) was 77cm. Especially, some lines were very short and measured below 50cm. The spike lengths of most of the lines were longer than that of P1 (7.5cm), but were normally distributed. The number of spikelet was less than that in P2 (19ea.), but was more than P1(10ea.). The heading day of most of the lines was between P1 (11th April) and P2 (25th April) and the maturity day of the lines was similar to P1 (1st June) but 5 lines showed 2~6 days shorter maturity period than that of P1. However, 20 lines were found to have 2~10 days longer maturity period than that of P2.
17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Show Girl ‘Silky’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 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1, 2, 3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 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2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46.7%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34.21로 나타났고 5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 현빈도가 44.4%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4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시간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인 50mg L⁻¹ 농도를 제외하고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 정도의 종류도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그중 5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63.6%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46.67로 나타났고 1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 빈도가 63%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5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 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
17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Mystery Island ‘Silk Road’를 자가수분하여 얻은 선발계통(Silk Road-4)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3, 6. 9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 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1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와 2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12.5%로 가장 높았으 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27로 나타났고 3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4.5%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 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그중 30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25%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13로 나타났고 5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13.8% 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
17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illa frutescens (L.) is an annual herbaceous and ornamental plant in the Lamiaceae family. Perilla frutescens (L.) Britt.cv.Chookyoupjaso were irradiated using a 200 Gy gamma ray in 1995. By HPLC analysis, this new cultivar significantly induced isoegomaketone content compared with ‘Chookyoupjaso’ control. The phenotypical difference was the changed leaf color of the ‘Atom-Ketone’ from violet to green. The yield potential of this cultivar (106 kg/10a) was 1.83 folds higher than that of ‘Chookyoupjaso’ (57.65 kg/10a). The methanol extracts of ‘Atom-Ketone’ inhibit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is extract was further partitioned using ethyl acetate (EtOAc), butanol (BuOH), and water. The EtOAc fraction (EF-Atom-Ketone) was evaluated f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Atom-Ketone reduce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The EF-Atom-Keton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diminished expression of MCP-1 and IL-6. Therefore, ‘Atom-Ketone’ reveals the potential therapeutic use of bioactive
17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illa frutescens (L.) is an edible plant, not only used as s food ingredient, but also in skin cream, soaps, and medicinal preparetions. ‘Atom-Ros’, a perilla (Perilla frutescenc (L.) Britt. cv. Chookyoupjaso was developed in 1995 by 200 Gy gamma irradiation-mutagenesis. This new cultivar has high rosmarinic acid content more than two fold compare with ‘Chookyoupjaso’ control. The observed phenotypical difference was changed leaf color of the ‘Atom-Ketone’ from violet to green. The yield potential of this cultivar (123.5 kg/10a) was 2.14 fold higher than that of ‘Chookyoupjaso’ (57.65 kg/10a). The methanol extracts of ‘Atom-Ros’ were tested for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se cells. Atom-Ro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is rosmarinic acid extracted from ‘Atom-Ros’ has a good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antioxidant agent.
17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매직스타’ 는 2009년 10월에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복색 홑꽃인 ‘Delmont(CFC0007)’를 모본, 초세가 좋고 흰녹병에 강한 복색 홑꽃 화형의 ‘Moulinrouge (CFC0063)’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획득한 571 개의 종자로부터 실생계통을 양성하여 착화성이 좋고 화형이 안정되며, 화색이 우수한 홑꽃 화형의 복색 (RP60A/Y8A) 스프레이국화 ‘DM10-99’를 개체 선발하였다. 삽목에 의해 개체증식 후 화훼연구소 비닐온실 내에 정식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에 걸쳐 1∼2차 생육특성검정을 통해 안정성, 균일성과 흰녹병 저항 성 등을 조사하였고, 2013년에는 계통번호 ‘경남CS-36호’를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을 수행해 안정성과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그리고 주년생산성(자연, 촉성, 억제재배) 및 품평회와 시장출하 등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기호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초세 강하면서도 화색이 좋아 소비자들의 기호성이 우수하며, 화색 및 화형 등 품질 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13년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심의회 심의를 거쳐 ‘매직스타’로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 하였다. 국화 ‘매직스타’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선명한 자주색(RP60A) 꽃잎 가장자 리 부분에 황색(Y8A) 테두리를 두른 복색 홑꽃 화형인 스프레이국화이다. 화형이 안정되고 화색이 우수하며, 생육 이 균일하고 동시개화 한다. 초장 115.3cm, 줄기 직경 6.5mm로 대조품종 113.5cm, 5.7mm 보다 약간 길고 굵으며, 꽃 크기는 7.1cm로 대조품종 보다 약간 작다. 꽃자루 길이는 8.4cm로 약간 길지만 견고하여 부러짐이 없고 설상화 의 주된 형태는 대조품종은 선단모양이 뾰족한 반면에 둥근 모양이며, 꽃잎 수는 37.1개로 많다. 평균 착화수는 11.3개로 대조품종 보다 1∼2개 많고 절화수명은 21.7일로 긴 편이며, 휴면에는 약하다. ‘매직스타’ 품종은 비닐하 우스 내에서 연중재배 할 수 있으며, 재배상 유의사항은 하계 고온기에는 화색 발현을 위해 한 낮엔 차광율 30% 정 도의 한랭사로 차광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고 환기도 충분히 해 주는 것이 좋다
18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z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and feed crops in the world including Southeast Asia. In spite of numberous efforts with conventional breeding, the maize productions remain low and the loss of yields by drought and downy mildew are still severe in Asia. Genetic improvement of maize has been performed with molecular marker and genetic engineering. Because maize is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crop for its own genome and has tremendous diversity and variant, maize is considered as a forefront crop in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agricultural useful trait in genetics and breeding. Using QTL (Quantitative Trait Loci) and MAS (Marker Assisted Breeding), molecular breeders are able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drought tolerance or downy mildew resistance maize genotype. The present paper overviews QTL/MAS approaches towards improvement of maize production against drought and downy mildew. We also discuss here the trends and importance of molecular marker and mapping population in maize 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