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loss locations in extensive reading readers on English read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It examined four groups of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n extensive reading class was conducted over sixteen weeks. The four groups were given graded readers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glosses, such as non-gloss, marginal gloss, footnote gloss, and endnote gloss.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pre- and post-reading ability test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see if there were any achievement i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our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extensive read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2) The footnote gloss group showed the greatest chan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ootnote glosses influenced the most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3) All the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affective domain including attitude, self-confidence, interest, expectation, and value. In conclusion, extensive reading made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groups and footnote glosse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본 연구는 국내 보리 재배시 보리그물무늬병 감염정도를 조사하여 지역과 연차간 종자 전염 발생 변 화와 기상 요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병징은 3월 5일부터 잎에 흑갈색의 작은 반 점들로부터 시작되어 보리의 출수기경에는 잎 전체가 고사되는 증상을 보였다. 감염 종자는 약한 붉은 색의 종피 변색을 나타내었다. 2조와 6조 겉보리 19품종을 시험한 결과 지역에 따라 종자 감염률이 차 이를 보였는데 평균 종자 감염률은 김제와 익산에서 각각 0.09-1.36%와 1.44-2.81%로 익산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6조 겉보리가 2조에 비해 병 감염에 의한 종자 감염률에 대해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그물무늬병에 의한 연차간 종자감염률의 변화를 보였다. 두 맥종에서 2012년 도에는 0.2%와 0.8%를 보였으나, 2013년도에는 1.4%와 2.8%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이들 연차간 종자 감염률의 차이에 대한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비교하였을때, 평균기온은 병 발생이 많았던 2013년도에 2012년에 비해 저온으로 경과하는 양상이었다. 강수량을 비교한 결과 2013년도에 2012년도에 비해 약 120mm 이상의 많은 강수량을 보였다. 이 결과에서 보리 신장기에서 등숙기까지 저온과 높은 강우시 병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S: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s classified by the traffic analysis zone. 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accident density models by using zonal traffic and socioeconomic data.
METHODS : Th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are develop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three multiple linear models were develop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raffic accident density, which is a measure of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arious traff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CONCLUSIONS : Thre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were developed, and all mod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oad length,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s, van ratio, and number of vehicles per person in the transportation-based model were analyzed to be positive to the accident.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ratio and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ratio obtained using the socioeconomic-based model were found to affect the accident. The major arterial road ratio,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 van ratio, commercial ratio, and number of companies in the integrated model were also found to be related to the accident.
본 연구는 토마토에 대하여 가지가 트랩식물로써 담배가루이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큰망초, 가지, 오이, 토마토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선호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택성 조사가 수행되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후각적인 자극보다는 시각적인 자 극에 더 민감함을 보여주었고 큰망초보다는 오이와 가지를 더 선호하였다. 가지와 오이의 담배가루이 유인률은 각각 82.3%와 82.5% 였다. 가지 는 오이보다 관리측면에서 더 쉽기 때문에 우리는 본 실험에서 오이를 제외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가지의 유인률은 토마토의 초장과 같 거나 더 클 때 90% 이상 이었다.
표고(Lentinula edodes)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임산자원의 하나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오래전부 터 존재해 왔다. 자생표고와 달리 재배 표고의 경우 품종에 따른 기원이 명확하지 않아, 수출 및 가공상품 개 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표고 4품종(‘산림2호’, ‘산림4호’, ‘산림 5호’, ‘산림7호’)의 일반성분, 유리당, β-glucan, erg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함량은 5.44~6.80%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3.34~5.08%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12.94~21.07%로 나타났으며, 조지방 함량은 1.42~2.24%로 나타났다. 조섬유 함량은 3.27~4.01%로 나타났고,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은 54.19~64.78%로 나타났다. 유리당 분석결과 버섯에 함유된 유리당 중 가장 강한 항산화 기능이 있다고 알려 진 fucose는 산림7호 품종에서만 0.34%의 함량이 나타났으며, 총 유리당 함량도 산림7호 품종이 14.38%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β-glucan 함량은 ‘산림2호’, ‘산림4호’, ‘산림7호’ 품종은 33.09~35.41%로 큰 차이가 없었으 나 ‘산림5호’ 품종은 28.49%로 낮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산림2호’ 16.62 mg%, ‘산림4호’ 143.62 mg% 의 순으로 나타났다.
UPOV 등 국제적인 품종에 대한 보호협약이 연이어 타결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표고(Lentinula edodes) 품종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개발된 품종들의 식품학적 이용을 위한 과학적 자료 확보 를 위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표고 4품종(‘천백고’, ‘다산향’, ‘청장1호’, ‘풍년고’)의 일반성분, 유리당, β-glucan, erg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함량은 6.14~6.47%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1.06~3.95%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11.74~19.32%로 나타났으며, 조지방 함량은 1.54~2.56%로 나타났다. 조섬유 함량은 2.70~4.80%로 나타났고,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은 55.16~72.78%로 나타났다. 유리당 분석결과 버섯에 함유된 유리당 중 가장 강한 항산화 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fucose는 ‘풍년고’ 품종에서만 0.18%의 함 량이 나타났으며, 총 유리당 함량도 ‘풍년고’ 품종이 1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β-glucan 함량은 ‘다산 향’, ‘천장1호’, ‘풍년고’ 품종은 30.05~31.97%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천백고’ 품종은 26.04%로 약간 낮게 나 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천백고’ 188.59 mg%, ‘다산향’ 157.78 mg%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oper ease for slim-fit jacke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s from a one-button jacket to four-button jackets for men in their 30’s. The researchers carried out both an appearance evaluation and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conducting the appearance evaluation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The one-button jacket showed high scores for the 7.5 cm ease. The two-button jacket and the three-button jacket showed high scores for the 10.5 cm ease. The four-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for the 13.5 cm ease. Next, the results of the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showed the same trend; as the ease was increased from 7.5 cm to 13.5 cm, the scores increased. This is because if the garments offer more ease, this gives room for actions. Additionally, it showed that if there were fewer jacket buttons, then the results showed a high score. The researchers believe that if the number of jacket buttons is lower, then the area of the V-zone increases, so that there is more room for movement. The study suggests a proper chest ease of 7.5 cm for the one-button jacket, 10.5 cm for the two-button jacket and three-button jacket, and 13.5 cm for the four-button jacket, respectively.
낙동강 하구역 조간대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 낙동강 하구 조간대를 대상으로 지하수의 물리적 특성 및 퇴적물의 성상을 조사하였다. 조간대의 지하수위 및 지하수온의 변화는 조석에 영향을 받으며, 5,000 m³/s 이상의 하천수 방류는 조간대의 지하수위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 내 수십 cm 깊이의 지하수 염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조 시 조간대 지하수위의 하강 형태는 조간대 퇴적물의 세립질 함량에 따른 투수도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투수도의 조간대 지반에서는 활발한 지하수 흐름에 의해 세립질의 퇴적이 감소하고 재부상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는 낮은 세립질 함량의 조간대 지반을 형성하였다.
When offense launches missiles at valuable assets of the defense, the defense must assign its weapons to these missiles so as to maximize the total value of surviving assets threatened by them. Recently, a new asset-based linear approximation model was proposed for weapon target assignment problem with shootlook- shoot engagement policy and fixed set-up time between each anti-missile launch from each defense unit. In this paper, we apply the proposed to several ballistic missile defense examples and we show their weapon target assignment results specified with launch order time.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몬그라스 분말 0%, 1%, 3%, 6%, 9%를 첨 가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머핀의 높이, 부피 및 비체적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레몬그라스 분말 첨가군의 수분 함량과 점도는 대조군과의 유의적 차이가 나 타내지 않았으며, 색도 측정 결과, 명도와 황색도는 레몬그라 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레몬그라스 분말의 씹힘 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는 색, 향, 맛, 조직감, 기호도를 측정했으며, 그 결과 3% 첨가군에서 가 장 높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여주었다. 레몬그라스 머핀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레몬그라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므로, 레몬그라스의 첨 가가 머핀의 기능성에 좋은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ella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ratios 0, 1, 2, 3, and 4% of flour quantity).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used chlorella powder were 2.38, 7.25, 65.95, and 0.95% respectively. The pH of maejakgwa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chlorella powder increased; however, density of the batter, spread factor 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th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level of the chlorella powder. In addition,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the texture meter test, hardnes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lorella powder. Finally, maejakgwas containing 1~2% chlorella powder ha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hlorella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s well as functionality of maejakgwas.
지난 6월 2일부터 9일까지 약 10여일 동안 우루과이 푼타 델에스테(Punta del Este, Uruguay)에서 개최된 제12차 람 사르협약 당사국총회는 향후 9년 동안 협약 활동의 기반이 될 제4차 전략계획(2016-2024) 채택을 비롯한 몇몇 주요 성과를 남겼다. 본 논문은 12차 람사르당사국총회의 주요 논의동향과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12차 당사국총회 의 주요 성과가 향후 국내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갖는 함의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모든 습지의 보 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람사르협약 역할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국내 람사르협약 이행 에 기여하고자 한다. 람사르협약(공식명칭: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은 1971년 2월 이란 람사르에서 채택된 최초의 전지구 적 규모의 다자간환경협약이자 단일생태계시스템 보호(람 사르협약의 경우 ‘습지’)를 위한 유일한 국제협약이다(한 국, 1997년 101번째로 가입). 람사르협약은 1980년 이탈리 아에서 제1차 당사국총회를 개최한 이래 매 3년마다 당사국 총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우루과이에서 열린 제12차 당 사국총회에는 총 168개 당사국에서 약 800명의 정부대표단 과 람사르협약 국제기구파트너(IOPs), 관련 UN기구 및 정 부간기구, 시민사회관계자들이 참여하였으며 본회의 이외 에도 60여개의 부대행사가 개최되었다. 이번 당사국총회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9년 동안 협약활동의 기반이 될 제4차 람사르전략계획((2016-2024)을 비롯한 16 개의 결의문(Resolution)이 채택되었다. 둘째, 한국정부와 튀니지정부가 공동 발의한 ‘람사르협약 습지도시인증 제’(Wetland City Accreditation of Ramsar Convention)가 채택되어 보다 구체적인 제도이행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 WWT (The Wildfowl & Wetlands Trust, 영국 기반 국제 NGO)가 람사르협약의 6번째 국제기구파트너 (IOP: International Organization Partner)가 되었다. 넷째, 현재 협약의 3개 공식 언어(영어, 불어, 스페인어)이외에 아 랍어가 협약의 공식 언어로 추가되었다. 제12차 람사르당사국총회의 주요 결과는 협약 당사국과 주요 이해당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후속행동을 기대하고 있다. 첫째, 람사르협약 제4차 전략계획(2016-2024) 실행을 위한 국가별 역량과 자원에 따른 목표 설정 및 이행계획 수립,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 4차 전략계획 실 행을 위한 재정 확보이다. 전략계획은 4대 목표 (습지의 손 실 및 훼손요인 해결, 람사르습지네트워크의 효과적 보전과 관리, 모든 습지의 현명한 이용, 이행강화) 아래 19개 세부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전략계획은 또한 당사국들이 4차 전 략계획의 목표에 맞춰 국가별 세부목표 및 이행계획방안을 2016년 12월까지 사무국에 제출하도록 장려하고 있어 (Paragraph 22 of Resolution XII.2)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4차람사르전략계획과 함께 향후 9년 동안 람사르 CEPA (Communication, Capacity Buildi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wareness) 활동의 기반이 될 CEPA 프로그램 (2016-2024)은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 용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들”(People taking ac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wise use of wetlands)이라는 비전 아래 특히 국가별/지역별(유역권별)/습지별 CEPA 행동계획 (Action Plan) 수립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람사르메세지 전달의 핵심도구로서 습지센터의 역할과 활성화가 강조되 었다. 한국은 지난 2011년부터 국가 CEPA행동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는 바, 이를 완결하고 시행하는 작업이 필요하 며 국가 CEPA 행동계획 이외에 적절한 곳에서 지역별 CEPA행동계획 수립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습지센터 와 관련해서는 현재 시설관리중심의 국내습지센터 설립 및 운영관행을 생태계시스템에 기반한 교육 및 인식증진활동 이 핵심사업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내륙습지센터와 갯벌습지센터간의 네트워크, 그리고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지원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방문자 센터 (예: 국립공원방문자센터 등) 및 환경교육센터와의 연 계 및 상호지원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셋째, 람사르협 약 습지도시인증제 시행을 위한 사무국, 상임위원회 그리고 결의안 발의국가인 한국과 튀니지의 주도적 역할이 요구된 다. 습지도시인증제는 점점 더 팽창하고 있는 도시와 근교 지역이 람사르사이트 및 주요 습지에 미치는 악영항을 습지 와 도시간의 통합계획 및 관리, ‘람사르 습지도시’라는 브랜 드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로 선제적으로 예방하고자 마련된 자발적 인증시스템이다. 한국정부는 지 난 2013년 5월 람사르협약 사무국과 ‘람사르마을제도 도입 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람사르사이트 인근 4개 마을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 람사르협약 습지도 시인증제 채택은 국내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사업을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국제적 제도로 확대·발전 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습지 도시인증제가 앞으로 국내외에서 내실있는 국제적 제도로 정착하기 위해 아직 프레임워크(framework) 수준의 제도를 발전시킬 수 있는 한국 정부의 선도적 역할과 정책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국제적, 지역적, 국내적 수준에서 람사르 협약의 실질적 이행을 뒷받침하고 있는 과학기술패널 (STRP), 국제기구파트너(IOPs), 람사르지역이니셔티브 (Ramsar Regional Initiatives)와의 보다 적극적인 상호협력 과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한국의 경우 국내 습지 보전 및 현명 한 이용을 위해 STRP 및 IOPs와의 기존 협력이 매우 약한 것으 로 나타났다(제12차 람사르협약 국가보고서 기준). 이번 1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WWT가 국제기구파트너로 추가되었을 뿐 만 아니라 STRP의 보다 적극적 활용 및 람사르지역이니셔티브 역량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Resolution XII.7 and 8). 따라서 STRP, IOP 및 관련 람사르지역이니셔티브 와의 협력을 다각화하고 강화하는 것이 향후 협약의 주요국내 이행방안의 요소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