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귀뚜라미를 고압증기멸균한 뒤 동결건조하였으며, 이를 분쇄하여 AL/PET/LLDPE film에 포장 후 25, 35 및 40℃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중 모든 구에서 증가하 였으나, 저장 6개월 차에 저장온도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가의 초기값은 1.83 mg KOH/g 이였으며, 저장 6개월 차에 25, 35 및 40℃ 저장구는 1.93, 2.04 및 2.15 mg KOH/g 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24.79, 28.58 및 28.55 g/100 g으로 높은 함량 을 나타내었으며,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는 저장온도 별 증·감소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oleic acid는 저장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 군은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 25 및 35℃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40℃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장기간 중 품질에 영 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한계 기준을 각각 5%, 3 mg KOH/g, 26.5 g/100 g 및 6으로 설정하여 유통온도 25℃를 기준으로 VSLSF 프로그램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의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23, 61, 150 및 155개월이었으며, 유통기한이 가장 짧은 항목에 안전계수 0.8을 적용하여 18개월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 과는 제조 후 25℃ 유통조건에서 18개월까지는 귀뚜라미 분말의 품질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nsects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protein and nutrient rich food source for hum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armful components of edible crickets (Gryllus bimaculatus) in the 6 districts of Yeonggwang (YG), Jeongseon (JS), Wonju (WJ), Hwaseong (HS), Geochang (GC), and Chungju (CJ). The averag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n a dry basis were 64.34% and 16.60%,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CJ was the highest (67.40%), whereas YG (59.42%) had the lowest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crude fat content of YG was the highest (20.61%), whereas CJ (14.04%) had the lowest content.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57.97-63.93 g/100 g of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in the crickets of the 6 district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crickets in the 6 districts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mong the essential amino acids, valine, leucine, and lysine were the most abundant. GC had the highest total amino acids (57.93 g/100 g), whereas YG (48.65 g/100 g) had the lowest. Major mineral contents included potassium (K, 0.92~1.01 mg/100 mg) and phosphorus (P, 0.74~0.88 mg/100 mg). The mineral composition was fairly similar among the crickets. Crickets in the 6 districts were verified to have safe levels of residual heavy metals according to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ory levels.
십자화과 작물에서 SRK와 SP11 유전자는 자가불화합 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유전자이다. 무(radish)에서 S-locus haplotype을 분류 및 확인하기 위한 첫 단계로, SRK와 SP11유전자의 온전한 서열확보를 위해 기존 연구를 통해 밝혀진 Brassica rapa의 SRK유전자 서열을 활용해 local blast를수행했다. 이를 통해 무 draft genome sequence에서 SRK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이 있는 15개의 후보유전자들을 찾았다. 이후 B. rapa genome data를 활용한synteny analysis를 통해 무 draft genome sequence에서 B.rapa의 S-locus region과 synteny를 가지는 scaffold를 R7 연관그룹에서 확인했다. 해당 scaffold에서 SRK와 SLG 유전자의 서열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렇게 확보한 SRK유전자서열의 정보를 통해 NCBI database에서 동일한 유전자서열을 찾을 수 있었고, 해당 논문에서 연구된 같은 haplotype의 SP11유전자서열을local blast의query로 사용해서 무 draft genome sequence에서 SP11 유전자정보가 포함된 scaffold를 찾을 수 있었다. 이로써, SRK, SLG, SP11/SCR 유전자를 포함하는 53,785bp, 42,804bp, 10,165bp 크기의 온전한 genomic 서열을 확보하게 되었다. 무 S locus haplotype을 분류하기 위한 체계를 만들기 위해 S-locus core region에 있는 SLL2유전자를 활용했다. SRK 유전자의 경우, 무 genome내에 상동성이 높은 homologous gene을 가지고 있고, SP11유전자의 경우는 exon지역의 다형성이 너무 높아PCR기반의 marker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SLL2유전자를 활용했다.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무 육종계통에서 SLL2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 set을 사용해 SLL2유전자를 증폭시킨 뒤, sequencing하여 SLL2유전자에 대한 다양한 대립유전자들의 서열을 확보할 수 있었다. 확보한 SLL2대립유전자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S locus haplotype분류체계를 만드는데 활용 가능한 conserved region을 exon2와 exon6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해당 부분에 design된 primer를 통해 다양한 무 육종계통에서 단일한 PCR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직접적인 sequencing을 통해 S locus haplotype을 식별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 육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Syphilis is a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caused by Treponema pallidum. Ocular involvement is rare and diagnosis of ocular
syphilis is challenging due to nonspecific symptoms. The diverse manifestation of ocular syphilis occurs as well in secondary
as in tertiary syphilis, for it can affect all structures of the eye; corneoscleral, uveal, retinal, and optic nerve inflammation
may be observed. We report on a case of ocular syphilis affecting the vitreous body in a 43-year-old healthy male
with a 6-month history of diminished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본 연구는 V. nashicola에 의해 발생하는 배 검은별무늬병 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선발하고자 고도 저항성 ‘93-3-98’과 고도 감수성 ‘스위트스킨’에 병 접종후 24시간, 48시간후 엽을 채취하여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을 수행하였다. ESTs 분석결과 ‘93-3-98’에서만 발현된 유전 자는 24H(tester, 24시간 ’93-3-98; driver, 24시간 ‘스위트스킨’)과 48H(tester, 48시간 ’93-3-98; driver, 48시간 ‘스위트 스킨’)에서 각각 9개, 14개였으며 방어 또는 스트레스에 관련 된 유전자의 비율은 각각 40%와 42%였다. 식물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PR protein family 유전자로써는 24H에서 pathogenesisrelated protein 1a, major allergen Pyr c 1과 allergen mal d 1, 48H에서는 major allergen Mal d 1.03B 유전자가 특이 적으로 발현되었고 다수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도 확 인되었다. Major allergen Pyr c 1, F-Box/kelch-repeat protein, flavoprotein wrbA, hypothetical protein POPTRDRAFT_ 783792은 고도저항성 ‘Bartlett’과 ‘93-3-98’에서만 높게 발 현 되었으며 중도저항성 ‘감천배’와 감수성 ‘원황’, 고도 감수 성 ‘신고’와 ‘스위트스킨’에서는 낮게 발현되어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사과는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S-locus의 복대립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본 연구는 S-allele specific PCR분석을 통해 신품종을 포함한 24종의 사과 주요 재배품종과 7종의 꽃사과 품종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S-genotype)을 결정하고자 수행하였다. 31종의 재배품종과 꽃사과 품종
을 23종의 S-allele specific prime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2개의 S-allele (S1, S2, S3, S5, S7, S9, S10, S16, S21, S23, S26, S29)이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24종의 재배품종에는 S1(41.7%), S3(58.3%), S7(29.2%), S9(54.2%)의 S-allele이 흔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육성 신품종인 ‘아리수’와 ‘황옥’의 S-genotype은 각각 S3S7과 S3S9으로 동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얻은 S-genotype 정보는 안정적인 사과 과실생산에 적합한 수분수 선발과 육종프로그램에서 교배조합 작성에 유용
하게 활용될 것이다.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이미지 분석법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우선 신선편 이 연근의 갈변 저해 처리를 위해서 50℃의 증류수에 5분간 블랜칭 처리(DB), 50℃의 1% ascorb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AB), 50℃의 1% citr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CB) 하고, 절단 후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갈변 저해 처리 후 0.04 mm의 polyethylene film(25 cm×30 cm)에 열 접합 포장 후 4℃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관능 평가, 갈변도, polyphenol oxid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연근 의 갈변도 분석은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컬러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우선 RGB와 CIE L*a*b* 컬러 모델에서 각각 의 색 지표를 분석하고 HSV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갈변 면적을 분석하였다. 관능 평가에서 AB와 CB 처리구가 저 장 9일째까지 갈변 현상이 가장 많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 고, RGB 컬러 모델에서 R, G, B 값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AB와 CB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CIE L*a*b*와 HSV 컬러 모델에서는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L*값은 감소하고 a*, b* 값과 갈변 면적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는데 AB와 CB 처리구에서 값의 변화 정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olyphenol oxidase 활성 분석에서 도 모든 저장 기간 동안 AB와 CB 처리구에서 효소의 활성 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유기산과 블랜칭 병용 처리에 의해서 연근의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관능 평가와 모든 실험 결과 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최소 0.84 이상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L* 값이 0.93으로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이미지 분석법은 다양한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monthly variations of blood characteristics and RNA/DNA of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habituated in Geojae costal area were analysed to determine health condition of natural stocks in terms of gonad maturation and spawning season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1. Spawning season determinated by gonadosomatic index is from June to August. RNA/DNA ratio of black sea bream muscl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spawning season. During the gonad maturation RNA/DNA ratio in dorsal muscle tissue was decreased contrast to rapid increase during spawning season. Blood composition factors increased in terms of gonad maturation are aspartate aminotransferase, 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protein, glucose, globulin, alkaline phosphatase and inorganic phosphate. Other blood factors increased during spawning season are alanine aminotransferase, blood urea nitrogen, uric acid and lactate dehydrogenase.
Recently, brick walls are being widely introduced in rural areas. Walls are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of space. However, most brick wall works do not consider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rick wall bonds such as the stack bond, running bond, english bond, flemish bond, america b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psychological evaluation results among student group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using 10 adjectives. 2)Stack bonds have an uninspiring, artificial, simple, restful, boring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Running bonds have an uninspiring, restful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merica bonds have a unique and modernis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English bonds have a unique, modernistic, complex and chao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lemish bonds have no crit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3)The running bond earned the highest score in preference, while the stack bond scored the lowest. Employment of brick wall bonds on this study wa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brick wall bond design. 4)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brick wall bonds is very important and we should consider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of rural areas.
Recently, development of underwater robot has actively been in progress in the world as ROV(Remotely Operator Vehicle) and AUV(Autonomous Unmmanded Vehicle) style. But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beginning in 2010, launched the R&D project to develop the robot, dubbed CRABSTER(Crab + (Lob)ster) in a bid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resource exploration. CRABSTER has been designed to be able to walk and swim with its own legs without screws. Among many research subjects regarding CRABSTER, optimal swimming patterns are handled in this paper. In previous studies, drag forces during one period with different values for angle of each joint were derived. However kinematics of real-robot and fluid-dynamics are not considered. We conducted simulations with an optimization algorithm for swimming by considering simplified fluid dynamics in this paper. Drag-coefficients applied to the simulation were approximated values calculated by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Tecplot 360, ANSYS). In addition, optimized swimming patterns were applied to a real robot. The experiments with the real robot were conducted in circumstances in the water. As a result, whe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water, a regular pattern of drag force output came out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robot. We confirmed the fact that the drag forces from the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 has a high simi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