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돼지의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인 melatonin의 첨가 및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의 첨가배양이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NCSU 23 배양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 성적에서도 melatonin 1 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SNP를 0, 50 및 100 μM을 첨가하여 체외 배양한 결과, 상실배 이상 발육성적은 각각 41.9%, 25.6% 및 28.4%로서 SNP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대조구, SNP 50 μM, SNP 50 μM에 melatonin 1, 5 및 10nM을 혼합첨가하여 체외 발육율을 조사한 결과, 배반포기 발육율은 각각 2.5%, 1.2%, 9.9%, 5.1% 및 3.7%로서 SNP 50μM + Mel. 1nM 첨가구가 여타구 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 이상 체외 발육율은 31.3%, 34.1%, 39.5%, 29.4% 및 39.5%로서 SNP 50μM + Mel. 1 nM 첨가구와 SNP 50 μM + Mel. 10 nM 첨가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구에서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5% CO₂와 5% O₂ 농도 조건 하에서 NCSU23 배양액에 aesculetin을 0, 1, 5 및 10 ㎍/㎖를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배양 성적은 10 ㎍ 첨가구(35.7%)가 여타구(0 ㎍, 30.2% ; 1㎍, 29.5% ; 5㎍, 29.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얻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taurine을 0, 2.5 및 5.0 mM을 첨가,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은 각각 2.8%, 2.2% 및 7.0%였으며, 상실배이상의 체외 발육성적은 26.1%, 26.9% 및 31.7%로서 taurine 5.0 mM 첨가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 성적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NCSU 23 배앙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에서는 melatonin 1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한편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 조사에서는 melatonin 10 mM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portable bioelectric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the safety of industrial workers.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the one is boielectric signal measurement unit and the other is signal analyzer system with PDA. The former includes signal processing part, A/D convertor, and 8051 based microprocessor, the latter includes software for signal analysis and display. The developed system detects industrial worker's ECG and displays and stores it to PDA. The ECG data in PDA can be transmitted to PC located in a distance, allowing a doctor to review the ECG and make a treatment decision. A doctor analyzes the ECG data and gives medical treatment to industrial worker.
현재 국내 인체 이식용 전자 의료기의 이식건수는 매년 약 1800 여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연령대도 다양한 작업환경에 노출되는 청장년층으로 급속히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이식용 의료기는 인공 심장 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진통억제를 위한 이식형 전기 펄스 발생기, 이식형 약물주입기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기들은 미세한 생체 신호에 따라 반응하기 때문에 생체 신호이외의 잡음에 의한 오동작은 절대적으로 피해져야 하며 경우에 따라 생명위협과도 직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사용 중인 이식형 전자의료기들의 구조와 동작원리,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 잡음의 영향을 고찰하고, 잡음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전자의료기 인체 삽입자의 작업환경에 따른 안전문제를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97년 IMF 이후 급격히 감소된 한우의 두수를 증가시키고, 최근 젖소 송아지 가격이 현저히 낮게 형성되고 있어 양축가의 사기가 떨어지고 있는데 가임 젖소 암소에 한우 수정란을 이식시켜 한우 송아지를 생산케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 실시하였다. 1. 체외수정 후 6, 7, 8 및 9일째의 수정란을 이식하여 59.4%, 68.2%, 66.0% 및 100%의 수태율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20.0%) 수정란이 배반포기(61.1%∼69.
The object of this study is upper class house in Yang-dong village with the purpose of spatial-sociological study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pace is the basic element of architecture and is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architecture. Space, however,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its social context rather than through its physical or psychological attributes. Space exists in a society, provi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frames it Social environment affects the thoght of people who are members of that society. Space is built by the people in a society and is affected by their thought. Spatial-sociological study can explain a mutual rela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through context. It defines characteristics of space based on mutual relations which exist among the people, the culture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of society but also having a sociological component,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should consider the social context. Since architectural space is built on social and cultural bases, to understand it requires various methods of study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is one alternative. Using space syntax, this study analyzes houses in Yang-dong village by not only defining attributes of individual houses, but also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Based on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the attributes of Yang-dong village houses can be re-defined within the social context. the results from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upper class housing of the Yang-dong village are as follows; (1) Related to confucian ideas in Chosun Dynasty : A house has a dualistic center organized with 'an-chae' and 'sarang-chae'. 'an-chae' space is organized unsociably from outside. (2) Related to various space pattern of Yang-dong village House in the Chosun Dynasty period :As variations in the types of space pattern, the village house exhibit different attributes.
PDMS (polydimethylsiloxane) 복합막을 통한 기체분리 공정에서 다공성 지지체의 투과저항과 PDMS 코팅두께가 에틸렌/질소의 분리성능(투과도,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Pinnau 등이 제시한 복합막 투과저항 모델이론식〔1〕이 사용되었다. 지지체의 투과도 또는 투과저항은 PES (polyethersulfone)/NMP(N-methyl-2-pyrrolidone) 고분자 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조절하였다. 복합막은 PES 지지체 위에 n-hexane에 녹인 2액형 PDMS 용액을 spin coater를 사용해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선택층의 코팅 두께는 spin coater의 회전속도를 통해 조절하였다. 투과기체 분리특성은 단일기체 투과도 측정 장치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지지체 및 복합막의 단면구조 및 코팅두께는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얻어진 실험결과는 복합막의 투과저항모델의 이론식과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에틸렌/질소의 분리에 있어 PDMS 막 고유의 선택도를 얻기 위해서는 지지체의 투과저항과 코팅층의 최적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culture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lonal lines from porcine fetal fibroblast cells. Fibroblasts derived from a pig fetus (Day 50) were cultured and passaged two times before use. A single cell was seeded in 96-well plates,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BS, catalase or β-mercaptoethanol (βME), and classified by cell size and morphology. Cells were passaged two times into 4-well dish before freezing. The establishment efficiencies were not different amo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BS (0.3 to 5.1%). However, population doubling time (PD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ing the FBS concentration (P<0.05).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of βME-added group (10.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atalase-added and control groups (3.5%, and 3.5%, respectively, p<0.05), and PD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23.6 vs 28.1, and 25.5 h, respectively, p<0.05). However, catalase did not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Cell size and morphology did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and PDT of clonal lines. The result of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efficiency of clonal cell lines can be enhanced by the culture in media supplemented with 30% FBS and βME.
본 연구는 체세포의 종류, 세포 제공 개체, 계대배양 수 및 세포의 trypsin 처리시간이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세 종류의 체세포(피부, 근육 및 난구세포) 와 암소 3 개체를 실험에 공시하였으며, 한 개체 유래의 피부세포는 5∼30회 계대배양하였고, 핵이식 전에 1∼3분간 trypsin처리하여 핵이식에 사용하였다. 핵이식과정은 상법에 따라 전기융합법을 이용하였다. 핵이식란의 배반포 발육율은 세포의 종류(16.5∼23.9%)나 개체 간(16.4∼19.5%)에 차이가 없으나, 30회 계대 배양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5.8%)에는 5회(25.3%) 또는 15회(23.5%) 계대 배양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1분간 trypsinization 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30.7%)는 3분간 trypsinization 한 경우에 비해 배반포 발육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이 체세포의 종류 및 세포 제공 개체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passage 수 및 체세포의 trypsinization 시간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deals with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al characteristics of ship motion during trawling job on the real sea.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small stern trawler, and roll and pitch mo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wave directions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by P/C in the same sea conditions. From these data, the statistical properties and power spectra were obtained, and then the analysis of ship motion in trwal job was ma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itch motions in trwal job were displayed low amplitudes on the whole, but the rolling motions were displayed high amplitudes relatively, and very high value on the beam and quartering sea especially. Also, the trial ship has a high extinction coefficient in the roll motion, compared with the rule of stability, but when wave height takes 2.5m over, it can induce the safety of ship to scare occasionally. Therefore, a usefull countermeasure for the safety of ship has to be made adequately.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지질'과 남한에서 발행된 '한국의 지질'을 중심으로 남북한에서 발행된 지질학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남북한의 지질학 용어를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북한의 자료에 의하면 북한에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지질학 용어의 총 수는 1272개이다. 이들 지질학 용어는 지질연대학 용어가 49개, 광물학 용어가 201개, 암석학 용어가 199개, 구조지질학 용어가 257개, 고생물학 용어가 93개, 일반지질학 용어가 473개이다. 지질학 용어의 남북한 이질화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 지질학 용어 중에서 남북한간에 표현과 의미가 같은 동음 동의어는 657개로 약 51.7%이고, 표현하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쉽게 그 뜻이 이해되는 동의 유사어는 370개로 약 29.1%이며, 남북한간에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서 쉽게 뜻이 통하지 않는 이음 동의어는 245개로 약 19.2%이다. 남북한간에 지질학 용어가 이질화된 원인은 한글 전용 원칙의 차이,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 두음법칙 적용의 차이, 붙여쓰기 표현의 차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Insulin-like growth factor 2 (Igf-2) and H19 genes are closely linked imprinted genes which have a pivotal role in embryogenesis and fetal development. Igf-2 and H19 are coexpressed in tissues of mesodermal, endodermal and neuroectodermal origin. Rat Igf-2 has a complex structure with three promoters and a complicate imprinting mechanism having an exception of biallelic expression in the choroid plexus, leptomeninges, and fetal tissues of neuroectodermal origin. To detect the expression of maternal and paternal alleles of Igf-2 and H19 during orofacial development, fetal and neonatal hybrid rats, obtained from Wistar and Fisher interstrain rat crosses were used. We also detected the promoter-specificity of Igf-2 transcripts by primers selected from P1, P2, and P3 of Igf-2 gene. RT-PCR analysis of Igf-2 and H19 showed the monoallelic expression of Igf-2 from the paternal allele and H19 from the maternal allele in E15.5 to E19.5 orofaciall structures including the maxilla, tongue, and salivary gland. P3 promoters were active in all tested samples, whereas transcripts derived from P2 promoter arised with approximately half of the tested cases and showed variable alternation. P1 promoter was not transcribed in all tested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2 and H19 may be involved in orofacial development and exhibit parent-of-origin monoallelic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orofaciall development, P2 and P3 promoters except for P1 promoter are transcribed with variable alternative transcri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