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ients with hemiplegia show different body weight distribution a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These patients load their body weight more on sound leg than affected le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oot placement under three conditions: forward, intermediate, and backward placement, on body weight distribution and time needed to rise while assuming sit-to-stand. Fourteen patients with hemiplegi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body weight distributions during sit-to-stand under the three different conditions were measured by a limb loader and time needed to rise was measured by a stopwatch.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repeated measure of one-way ANOVA.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dy weight distribution was less asymmetric in backward foot placement. The difference of body weight bearing rate between sound leg and affected le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foot placement moved from forward to backward. These results show that backward foot placement during sit-to-stand make patient with henuplegia distribute their body weight more evenly on the lower extremity.
Vibrio mimicus is a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V. cholerae,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infections. Although extraintestinal infections of these vibrios have also been reported in Japan and Southeast Asia. But little research papers on V. mimicus was reported in Korea. Therefore, we tried to isolate V. mimicus from the environmental sea water from April to July in Pusan, Korea. Among the isolated strains, we selected the strongest hemolytic strain and then named V. mimicus SM-9. In this paper, we checke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psychro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stra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the isolated strain was also measured. V. mimicus was not detected from the sea water samples in April and May, but its detec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June and July in Pusan, Korea. The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mimicus SM-9 were Gram-negative rods, motile, oxidase positive, Voges-Proskauer negative and sucrose negative. In 23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V. mimicus SM-9 showed susceptibility to the most of antibiotics submitted while it was resistive against lincomycin, oxacillin, rifampin and vancomyc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V. mimicus SM-9 was highest in stationary phase of the growth curve in BHI broth at 37℃ and its activity was reached 18 HU per ml of culture supernatant. For checking the psychrotrophic property of V. mimicus SM-9, the decreasing rate of the strain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yellowtail flesh homogenate was examined during the storage at 4, 0, -4 and -20℃. The decreasing rates of the selected strain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greater than those in fish homogenate. Decreasing rates of V. mimicus SM-9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strain were decreased as 5 log cycles after 120 hours at all the tested temperatures. While decreasing numbers of the strain in fish homogenates were 2-4 log cycles after 120 hours. The decreasing pattern of the strain numbers were very slow after 200 hours at all the stored temperatures.
여과제균한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10℃, 20℃, 30℃ 및 40℃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온도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30℃에서 배양할 때의 유도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은 168분,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s는 204분. Leu. paramesenteroides은 612분, Lac. bavaricus은 258분, Lac. homohiochii는 228 분, Lac. plantarum는 270 분 그리고 Lac. brevis는 264분이었고, 세대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36분, Lac. bavaricus는 33분, Lac. homohiochii는 39분, Lac. plantarum는 66분, Lac. brevis는 42분 그리고 Leu. paramesenteroidse는 162부이었다. 배양온도를 30℃에서 10℃로 낮출 때 모든 균주들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크게 연장되었는데, 이러한 연장은 Lac. plantarum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10℃, 20℃ 및 30℃에서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Lac. plantarum의 그것보다 더 짧았다. 그러나 40℃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완전히 전도되었다. 전반적으로 보아 배양온도가 낮아질수록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고, 배양온도가 높아질수록 Lac. plantarum 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효소반응과 부분 산가수분해 결과를 해석하여 Leuconostoc mesenteriodes M-12 덱스트란수크라제 억셉터 반응 산물이 새로운 분지올리고당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지올리고당 B_4의 구조는6^2-O-α-D-kojibiosylmaltos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지올리고당 B_5의 구조는 6^3-O-α-D-kojibiosylpanose였다. 억셉터 반응산물을 덱스트라나제로 분해한 결과 새로운 올리고당인 D_4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억셉터 반응의 산물을 억셉터로 이용한 두 번째 억셉터 반응의 생성물을 덱스트라나제 처리하여 D_4를 얻었는데 덱스트라나제와 글루코아밀라제에 의해 분해되지 않았다. 그 구조는 6^2-O-α-D-kojibiosylisomaltose로 확인되었다. 직선상 또는 분지결합을 가진 d.p. 6이하의 억셉터 반응산물의 생성 패턴도 확인하였다.
To study on the standard food cooking method of perilla seed soup, author analyzed the fatty acids of the soup by gas chromatography, and estimated its appearance, flavor, taste, viscosity, and overall taste by the sensory evaluation. We measured the change of TBA (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the oil from perilla seed soup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at 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e best level at the S4 group, the ratio of rice powder to perilla seed was 50 to 40. 2. The most fatty acid of S4 group (perilla seed: 40 g) was linolenic acid. 3. The TBA values of the oil from perilla seed soup in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storage duration at 4℃.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erilla seed soup would supplement essential fatty acid, linolenic acid.
본 시험은 시설내에서 미스티블루 재배시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절화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피복재료(볏짚, 투명 polyethylene film 및 흑색 polyethylene film)를 공시하여 그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지온의 변화를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볏짚피복한 것과 흑색비닐 피복한 것은 온도 상승과 하강이 완만하였으나 투명비닐과 무피복구는 온도 변화가 심하였다. 고온기인 7월과 8월의 지온은 무피복구와 투명비닐피복구가 3℃ 이상 높았다. 피복재료별 잡초발생량은 흑색비닐 피복구가 타피복구나 무피복구에 비해 현저히 적어 잡초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처리별 초기의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흑색비닐피복구가 초장에서 약간 양호하였으나 엽장 등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다. 화수폭, 화경경, 절화장 및 절화중 등은 흑색비닐피복구가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여 절화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료별 1등급 절화비율과 상품화율도 흑색비닐피복구가 90.5%와 81.8%로서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늙은 호박의 기능성 검토를 위하여 껍질, 과육, 섬유상 물질 및 가식부의 4 부위를 열수, 70%아세톤, 70%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과육의 경우 63.7∼68.2%를 나타내었다. pH는 70% 아세톤 추출물에서 5.01∼5.45였고, 열수 추출물이 5.78∼6.22로 나타났으며, 부위중에서 과육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 부위는 과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섬유상 부위, 총당은 과육, 섬유상, 껍질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과 플라보이노드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용매 종류로 볼 때 껍질, 과육 부위의 경우 열수 추출물, 섬유상, 가식부의 경우 아세톤과 메탄올로 추출할 경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은 껍질의 경우 아세톤이나 메탄올, 과육과 가식부는 메탄올, 섬유상물질은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의 크기는 총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찰김치의 종류와 담그는 법 등에 대하여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하였다. 사찰김치의 종류는 약 50여종이 구전으로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본 결과에 의하면 20여종의 김치가 현존하고 있다. 사찰김치의 종류는 지역에 따라, 기후조건에 따라,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사찰김치의 특성은 감미료로써 감초를 사용하고, 젓갈류 대신 간장이나 된장을 사용하는 점이다. 앞으로, 남아있는 김치의 계승과 보존을 위하여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Sour liquid 발효가 식빵의 제조조건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plamtarum을 혼합배양하면 sour dough bread 사용 유산균중 산생성력이 가장 높았고 pH도 낮았다. Sour liquid 발효 제조시 제빵의 제조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양조건, 배양온도, 시간 및 배지의 조성에 대해 실험하였다. L. brevis와 L. plantarum의 배양은 30℃에서 24시간 하였다. 배지조성중 글루코오스를 2% 첨가하고 영양원으로서 yeast extract 0.4%를 첨가한 것의 결과가 가장 좋았다. Sour liquid ferments를 제빵제조시 중종 (sponge dough)에 넣었을 때 반죽의 pH를 4.64까지 낮추어 주어 발효력을 증가시켰고, total titratable acidity (TTA)도 보통 식빵의 0.46%보다 높은 0.54%를 나타내었다. 품질평가에 있어서, sour dough liquid를 이용한 식빵의 경우가 보통식빵보다 비용적(specific volume)이 좋았다. 맛과 외형 특히 관능적인 품질(향취)이 증가되었다. 이는 유산균이 생성한 초산, 젖산 및 아미노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품을 25℃에서 6일동안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측정한 결과 보통식빵 보다 노화지연에 훨씬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Sour liquid ferments는 유산균 등이 생성한 유기산들이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여 제품의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들깨를 150℃에서부터 210℃까지 10∼30분간 볶아서 착유한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갈색도와 전자제공력과, 또한 기호성 및 산화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으로 추출한 갈색물질은 들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들깨는 210℃에서 30분간 볶아 착유한 들기름으로부터 추출한 갈색물질은 150℃에서 10분간 볶은 것에 비해 13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편 볶음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제공력은 볶음온도와 시간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다. 210℃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50℃에서 10분 볶은 것에 비해 전자제공력이 약 3배 증가하였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들기름에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들기름을 5∼20% 혼합한 15% 혼합량 것 중 기호도와 산화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10℃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90℃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본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야윈형 (BMI 20 미만), 정상형 (BMI 20∼25), 비만형(BMI 25 이상)을 각각 41, 48, 58명씩 총 147명을 선정하여 체형에 따른 식품 영향 섭취 실태와 식행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일 총 식품 섭취량중 아침과 간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한국인 영향권에 비해 일부 영양소(야윈형은 단백질, 인 정상형은 인, 비만형은 단백질, 인)만 권장량이상을 섭취하였다. 모든 체형에서 대부분의 영양소량이 권장량 이햐로 나타나 여대생의 영양섭취가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영양소의 섭취는 단백질(P<0.01)과 칼슘(P<0.05)으로 단백질은 비만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칼슘은 야윈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2. 모든 체형에서 열량은 영양권장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간식으로부터의 열량섭취는 체형별 창가 나타나 비만형이 간식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량을 섭취하였다.(P<0.05) 3.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과소인식형보다 과대인식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대인식형은 야윈형에서 61.0%, 과소 인식형은 비만형에서 17.2%로 나타났다(P<0.01) 4. 영양소 섭취에 직,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결식, 편식,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하여 자신의 인식 정도와 3일간의 식이섭취 조사에서 밝혀진 문제점을 비교한 결과, 편식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정확하였으나 결식과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여대생은 자신의 식행동과 체형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지 않았고, 영양섭취도 대부분이 권장량 이하였으므로 앞으로 올 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재배한 백복령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은 수분 58%, 회분 1.8%, 지방 0.9%, 단백질 0.6%, 섬유소 0.3%로 나타났으며 재배 장소와 방법, 수확시기, 건조조건에 따라 차이가 난다. 무기성분은 ICP로 측정한 결과 Zn 0.63Mg%, Cu 0.18mg%, Fe 1.56mg%, Mn 1.62mg%, Mg 5.28mg%, Ca 12.59mg%, Na 10.12mg%, K 52.39mg%로 나타나 K, Ca, Na 등의 양이온 무기성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복령 물추출물의 유리당은 glucose만 검출되었고 함량은 1.16㎎%였다. 아미노산은 구성아미노산 13종, 유리아미노산 9종이 확인되었고 함량은 각각 1247.17㎎%, 174.44㎎%였으며, Phe, Iso, Leu, Tyr, His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culture for the development rate to morula /blastocyst stages of early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oocytes matured and fertilized in vitro, with porcine endometrial cell monolayers(PEM) in the two different media, respectively. The rates of embryos developed to 2-, 4-, 8~16-cell and morula /blastocyst stage were 49.6, 40.5, 28.2 and 15.3% in Ham's F-10 with PEM, and 55.3, 45.9, 32.7, and 17.6% in TCM-HEPES with PEM, respectively. The above development rates to morula /blastocyst s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bryos cultured in the Ham's F-10 and TGM-HEPES without PEM(P<0.05). The in vitro development rates to the morula /blastocyst stage of 1-cell embryos cultured in Ham's F-10 and TCM-HEPES without PEM were 0~1.2%. Especially, most of embryos were observed to arrest the development beyond 4-cell stages. 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e co-culture of in 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with PEM in the two different media enhanced the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s to morula /blastocyst stages in vitro. However, we didn't find out any differences for the in vitro development to morula /blastocyst stages between Ham's F-10 and TcM-HEPE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