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58

        3101.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nuri’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lyang 165’and HR14732-B-67-2-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2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Korean climate condition.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 from K1 to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nnuri’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8.6%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hucheongbyeo’cultivated in Kyunggi province. The milled rice yield of ‘nnuri’is about 5.94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nnuri’would be adaptable to southern plain of Cheonan, middle-northern plai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of Korea.
        310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mi”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6.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38 with lodging tolerance and high yield potential, and Iksan426 This variety has about 122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is about 83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ly resistance to blast, and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ami”has high Quality, midium short grain. The milled rice yield of this variety is about 5.92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ami”would be adaptable to Middle plain, Honam plain and Youngnam plain area of Korea.
        310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gjin2”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with short culm and lodging resistance and F1 plant of Iksan438, HR14018-B-1-1 and Iksan435 with high palatability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3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illed kernels of “ongjin2”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3%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ampyeongbyeo” This cultivar shows high resistance reaction to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e race from K1 to K3, blast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insect pests. “ongjin2”yields about 5.71 and 5.74 MT/ha under the wet direct seeding and the transplanting at standard fertilizer level. “ongjin2”would be adaptable for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310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transformation method for soybean [Glycine max (L.) Merr.] using meristematic tissues of germinating seeds has been established. The embryonic axes were excised from germinating seeds of Korean soybean cultivar, Iksannamulkong and 0.5-2 cm long segment containing meristematic tissues were prepared by cutting hypocotyl region. The explants were inocula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LBA4404 harboring a binary vector with the bar gene as a selectable marker gene and a β-glucuronidase (GUSINT) reporter gene, and then co-cultured for 7 days on co-cultivation medium (CCM). The meristematic tissues were cultured on shoot induction medium (SIMP6) supplemented with 0.4 mg/l N6-benzylaminopurine (BAP) and 0.1 mg/l indolebutyric acid (IBA) in the presence of 6 mg/l L-phosphinotricin (PPT) for 2 weeks and the surviving explants were transferred to shoot elongation medium (SEMP6). Transformation was confirmed by Southern blot analysis and the transformation efficiencies ranged from 1.48 to 2.07%. The new modified transformation method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for obtaining several transgenic lines with SMV-CP gene.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could efficiently be used for the transformation of recalcitrant soybean cultivars.
        310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ability within and between Korean pond-smelt (Hypomesus nipponensis; KPS) and Canadian capelin (Mallotus villosus; CCP) were studied in order to clarify the genetic distances and differences.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primers indicates cluster 1 (KOREAN 01KOREAN 11) and cluster 2 (CANADIAN 12CANADIAN 22).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found to exist between individuals in the two geographic species of Osmeridae, between individuals' no. 10 of Korean and no. 18 of Canadian (0.686). 121 unique shared loci to each species, with an average of 17.3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KPS species, and 264 loci, with an average of 37.7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CCP species. 77 shared loci by the two species, with an average of 11.0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two fish species. RAPD analysis showed that the KPS species was more genetically diverse than the CCP species. KPS species may have high levels of genomic DNA variability ow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wild individuals from the other sites to sampling sites although it may be the geographically diverse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As stated above, the existence of species discrimination and genetic variability between the KPS and the CCP species was identified by RAPD analysis.
        3106.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test for activated carbon(AC) filter used for drinking water purifier is now an obligatory test and the standard material for valid purifying amount in water purifier performance test has been changed from residual chlorine to chloroform according to the notice of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6.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gredients of AC filters by confirming chloroform removal rate of AC filter and conducting 4 adsorption tests (Iodine, methylene blue decolorization, phenol value, ABS value) for AC filters provided by manufacturers. With water pressure of 1 kgf/cm2, 1,500 liters of prepared inflow went through to check chloroform removal rate. As a result, product with removal rate of below 60% from all products. On the other hand, 4 adsorption tests were conducted for filters in the market and filters from manufacturers. None of the products satisfied all 4 tests. In particular, they showed great shortage to the standard in phenol value and ABS value test. However, manufacturers' filter showed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filters in the market. Also, the result of valid purifying amount test for each of five products of appropriate product and inappropriate product based on filter quality test showed average 4,440 liters for appropriate product and average 2,620 liters for inappropriate product.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shown that the filter with good adsorption also had good chloroform removal efficiency and adsorption efficienc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ustomers can screen good quality product through obligatory conduct of filter quality test.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complementation in system is required for future inspection.
        310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면 영상 유속계(SIV, Surface Image Velocimetry)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표면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유속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화질이 좋고, 왜곡이 적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트럭에 장착된 기중기를 이용하는 차량탑재형 표면 영상 유속계는 왜곡이 적은 영상을 얻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때, 기중기의 흔들림 때문에 획득된 영상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유
        3108.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10.5%, 조단백질 16.9%, 조지방 13.8%, 조회분 6.0%, 식이섬유량 35.5% 등으로 나타났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반죽의 호화도, break down과 se
        3109.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유리당, 유기산, cynaroside 및 총폴리페놀성물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총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cynaroside 의 함량은 천일건조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총폴리페놀성 함량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것이 가장 높았다. 건조한 씀바귀뿌리의 유리당 중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galactose는
        3110.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인 당귀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일반성분과 제빵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모두 대조구가 낮게 나타났고,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두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구와 당귀 분말 첨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빵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 하였으며, 부피는 감소하
        311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발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 발아 되었다.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은 녹색광과 백색광에서 각각 0.339g/10plants 및 0.339g/10plants로 높았다. 새싹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72.5 및 70.9mg·L-1로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L-1일때 청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90.0 및 90.3%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색광 처리구에서 57.4mg·L-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녹색광 처리구에서 22.5mg·L-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112.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riental ore minerals, which mainly consisted of talc, actinolite, sericite, and halloysite were developed, and then used to examine the healing effect on the skin wound in rats. Full-thickness square wounds were formed on the backs of rats after the hairs on the dorsal surface were shaved. The ore mineral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healing effect from day 0 to 15 after wounding. Notable wound healings in terms of congestion around the wound, wound contraction and epithelialization were found in ore mineral-treated groups. Moreover, microscopic results revealed the formation of epithelial layer, hair follicles and progressive angiogenesis in ore mineral-treated groups, while complete epithelial layer could not be found i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e minerals from Korean indigenous ores may have wound healing effect on the skin injury in rats.
        3113.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면영상유속계(SIV)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표면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표면영상유속계는 하천의 유속을 매우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자 할 경우, 하천 표면의 평면 측량 자료와 하천의 단면 측량 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표면영상유속계의 간편성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이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는 그릇된 인식을 줄 수 있다. 만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하천의 평면을 추정
        3115.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로교량의 경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증가한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교량확폭과 신설교량의 추가 건설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확폭 또는 신설 교량의 추가건설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인 절차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교량 확폭 공사 시에는 일반적인 교량신설 공사에 비해 불확실성을 내포한 사건들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수 방법을 이용해 교량확장에 따라 발생 가능한 사건의 기대 위험비용을 체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생애주기비용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311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기지속 가뭄에 대한 많은 연구는 과거 기록 자료에 제한을 받아왔다. 장기지속가뭄과 관련된 연구의 애로점은 분석을 위한 많은 가뭄 사상을 얻는데 필요한 장기간의 과거 수문자료의 기록이 부족하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의 연구방법중 하나는 합성유량자료 계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과거 관측 자료의 추계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수문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으로, 방법론은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수문사상이 포함될 수 있도록 희망하는 수문자료계열을
        3117.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식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측정 결과 생 솔잎은 수분 58.1%, 조단백질 4.5%, 조지방 3.9%, 조회분 0.9%, 식이섬유량 9.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 측정 결파 대조구의 pH는 5.9, 솔잎분말 첨가시에는 범위로 나타났다. 반죽의 호화도는 솔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falling numbe
        3118.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과 콩팥의 보강 기능, 어지럼증과 귀가 우는 것 예방, 야뇨증과 요실금, 체내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예방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산수유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에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특성조사 결과 색도 L값 b값은 산수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반죽의 호화도 측정 결과 호화 온도, RVA는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수유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반죽의
        311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UHF대역 RFID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하는 리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전파흡수체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먼저 자성손실 재료인 Amorphous와 지지재인 CPE(Chlorinated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였고, 이 전파흡수체 샘플로부터 구한 재료정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최적의 조성비가 Amorphous : CPE = 80 : 20 wt.% 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실제작하여 전파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Amorphous : CPE = 80 : 20 wt.%의 조성비 일 때, 두께 4 mm의 전파흡수체가 860 MHz~96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전파흡수능 20 dB 이상의 특성을 얻음으로써 UHF대역의 RFID 리더 간섭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12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unbong 1’'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angjubyeo”", high yield cultivar and ‘'Unbong 17’', cold tolerance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1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Korean climate condition. This cultivar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 to the blast,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and strip virus. This variety has cold tolerance, compared to Odaebyeo. The milled kernels of ‘'Sinunbong 1’' are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2%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Odae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Sinunbong 1’' is about 5.46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Sinunbong 1’' would be adaptable to the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southern mountainou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