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왕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고, 1994년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야생 조류 군집을 선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총 42종으로, 봄에는 33종, 여름에는 32종, 가을에는 26종이 관찰되어 온대 조류군집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는 검독수리,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 큰오색딱다구리 등 7종이었다. 번식기 영소길드는 종 수에 있어서는 수관층 영소길드가 높았으나 ha당 서식 밀도는 수동 영소길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이길드는 봄, 여름에는 수관층 채이길드가 우점하였으나 가을에는 관목층 채이길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된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의 서식지는 자연보존지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이들의 보호를 위해서는 이들 조류의 계속적 연구와 보호.관리가 필요하며 자연보존지구의 재설정 및 이 지역의 철저한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관목층 길드의 보호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에 관목을 조성하거나 등산객의 통제가 필요하며, 겨울의 야생조류 관리를 위하여 먹이 식물을 식재하거나 인공먹이를 제공하고, Cover자원을 위해서 관목층, 인공새집의 제공이 필요하다. 최근 야생 고양이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의 철저한 구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형(HSG) 다결성 실리콘 박막을 제조하여 박막에 존재하는 결정립들의 특성과 각 결정립들의 형성기구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LPCVD법으로 실리콘 박막을 증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 분석한 결과 575˚C 증착온도에서 HSG 다결정 실리콘 박막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이 HSG 박막은 비정질 및 결정질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결정립은 박막의 표면에 존재하는 upper grain들과 SiO2와의계면에 존재하는 lower grain들로 구분되었다. Upper grain은 실리콘 원자의 표면확산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lower grain은 고상성장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성장한 결정립들의 성장방위를 분석한 결과 주로 upper grain은 <110>, lower grain은<311>과<111>방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방위관계는 각 결정립들의 형성기구(formation mechanism)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HSG박막의 미세구조와 진공열처리한 시편을 관찰한 결과 HSG 박막의 형성은 실리콘 원자의 표면확산에 의해 지배됨을 알았다.
본 연구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구역으로는 주 등산로 2개소를 선정하여, 1993년 2월 20일과 7월 22일 2회에 걸쳐 야생조류에 대해 선조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목 17과 34종이었고 이 중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희귀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 홍여새가 관찰되었다. 해발 1,000m 이상의 초원지역은 갈색양진이의 겨울철 월동지로, 붉은뺨멧새의 여름철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 대한 보호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무주구천동 계곡은 계곡성 조류에게 20년 전에는 양호한 서식지였으나, 인간의 이용밀도의 증가로 인해 계곡성 조류가 다수 감소한 실정이므로 이 지역에 대한 관리가 요망된다.
Chitin was isolated from crab shells by modified Hackman's method, which was treated again with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give alkali chitin(sodium alkoxide of chitin). And after, the alkali chitin is allowed to react with monochloroacetic acid to synthesize 6-O-(carboxymethyl) chitin [CM-Chitin] under diminished pressure. In order to synthesize high performance CM-Chitin as hygroscopic agent, it was measured that the yield and degree of subsititution of each CM-Chitin according to molar ratio(monochloroacetic acid equivalent mol/N-acetyl-D-glucosamine residue) and their moisture-absorption and moisture-release propert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hyaluronic acid. The moisture-absorption and moisture-release properties of CM-Chitin, especially 0.8 in degree of substitution, were found quite similar to those of hyaluronic acid. The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CM-Chitin might be used as hygroscopic agent instead of hyaluronic acid in field of cosmetics.
본 연구는 소백산 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조류 군집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1992년 2월부터 10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1종, 여름철새 17종, 겨울철새 6종 그리고 나그네새 4종으로 총 9목 12과 58종이며 이중천연기념물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324호인 소쩍새 그리고 242호인 까막딱다구리가 관찰되었고 위기 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와 되지빠귀가 발견되었다. (서식종수는 봄철 38종, 여름철 33종, 가을철 26종 그리고 겨울철 22종이었다). 번식 조류 군집 중 수동 및 관목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길드와 수관층에서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길드가 대부분이었다. 제 1조사구역의 해발 900m이후의 자연식생과 제 2조사구역의 철쭉군락을 포함한 초원지역은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제 3조사구역은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과수원, 농경지, 개활지 등의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지역은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국립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된다. 가을과 겨울철에는 풍부한 먹이 공급을 위해 먹이식물 및 활엽수림 조성 관리가, 봄철과 여름철에는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이용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As+이온을 주입시킨후 열처리 방법을 달리한 Si 표면부 미세구조와 성분분석 및 전기적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되었던 비정질층은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 되었으며 열처리방법에 따라 결정화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주입된 이온의 분포 및 전기저항을 미세구조와 비교한 결과 주입된 이온의 농도가 최대인 깊이에서 최대의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열처리 후에도 매우 작은 결함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작은 결함들은 전기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야생조류 서식현황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여, 1991년 2월부터 11월사이에 3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 지역에서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24종, 여름철새 12종, 겨울철새 9종, 나그네새 4종으로 총 6목 24과 49종 991객체와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황조롱이가 관찰되었다. 평균서식밀도는 2.09마리/ha 이며, 주요 우점종은 박새, 곤줄박이, 노랑턱멧새, 어치, 동고비, 직박구리, 쇠박새 등의 순이었다. 이용강도가 높은 천은사 코스는 봄, 가을철에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화엄사 코스는 봄철에, 피아골 코스는 가을철에 종수 및 개체수의 최대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봄철에는 화엄사 코스가 조류번식지로서 유리하며, 피아골 코스는 가을서식지로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종다양도지수는 겨울철에는 전 조사지에서 이용강도가 일정하고 환경이 단순하여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3개 조사지는 계절별로 유사도지수가 낮게 나타나 각 조사지가 상이한 환경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봄철에 조류번식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화엄사 코스와 가을철에 조류서식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피아골 코스는 야생조류외 적절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 이용공간에서 이용객을 제한함으로써 종다양도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 of Job's tear diet on change of body weight and tissue in rat. The changes of body weight were higher in Job's tear non-diet group(A) and seemed to lower in Job's tear diet group(c) as expected. The weight of each organ appeared to heavy more C group than A,Bgroup in Brain, Spleen. Lungs and Kidney. Liver was heavier in Job's tear to diet one day among six day group(B) and ovary was lighter in C group, The levels of each organ TBA-value were higher in Brain, Liver of A group and showed to higher Spleen, Lungs, Ovary of C group TBA-value of Kidney was revealed to lower more C group than A,B group.
In order to develope the method of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ipid hydroperoxide in human blood serum, we tried the ferrothiocyanate method to total lipids extracted by Bligh-Dyer method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maximum absorbance showed at the concentration of Mohr's solution, 0.127M at pH 1.70 and ammonium thiocyanate solution, 3.95M in the ferrothiocyanate method. 2. When hydrogen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and oxidized linoleic acid were added to serum, and extracted them by Bligh-Dyer method to examine the extraction efficiency, we confirmed that cumene hydroperoxide and oxidized linoleic acid were extracted in CHCI3 phase, and hydrogen peroxide in MeOH-H2O phase, respectively. 3.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of total lipids extracted from normal adult serum was 2.0×10-5M, and increased proportionally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erum. 4. When we compared the total lipids extracted by Bligh-Dyer method and total lipids extracted after lipoprotein is precipitated by Yagi method in human blood serum,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was showed nearly the same value. From our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in human blood serum could be determined quantitatively by ferrothiocyanate method.
To this day, conflicts have intensified between managers who want to preserve biosphere reserves and citizen who want to develop them.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of a forum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and t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ile preserving biodiversity. First, in terms of conser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Gyeonggi Province and Namyangju City highly valued direct conservation activities in biosphere reserves, whereas Pocheon and Uijeongbu City highly valued indirect conservation functions through management or monitoring. Second, in terms of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oles, perceptions and responsibilities with respect to biosphere reserves among the different layers of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agenc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metropolitan government, Gyeonggi-do, and the local governments, Pocheon, Namyangju, and Uijeongbu. Third, in terms of logistical support, which serves as a function for communication and practical participation among management ent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cision-making organiz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participation.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efficient communication by management entities in protected areas with similar challeng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tecticus tenebrifer on the fecal microbiomes of bichon frise. A total of 16 bichon frise dogs (average weight, 2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4 dietary treatments (4 dogs/group): general pet food, two types of domestic pet food containing Ptecticus tenebrifer, and one imported pet food containing Ptecticus tenebrifer. In the controls, Firmicut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82%) at the phylum level in the fecal microbiomes. The Tax4Fun2's functional prediction program indicated that the control groups showed a relatively high amount of obesity-related microorganisms; the pathways included three types of carbohydrate metabolism. Among the treatments, Firmicutes abundances was the least in the treatments with the two types of domestic pet food containing Ptecticus tenebrifer; this did not affect the functional prediction of Tax4Fun2. In conclusion, the two types of domestic feed with Ptecticus tenebrifer were healthy and suitable for bichon frise; they could be beneficial in terms of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