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7

        1202.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idacloprid의 벼멸구에 대한 약효 지속효과와 벼체내 함유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기위해 imidacloprid 입제를 추천량 (0.3 kg a.i./ha), 추턴 약량의 1/2 (0.15 kg a.i/ha), 114 (0.075 kg a.i./ha) 약량으로 수중 처리하였으며 액제를 추천농도(0.032kg a.i./ha), 추천농도의 112(0.016kg a.i./ha), 1/4 (0.008 kg a.i./ha)의 농도로 벼에 경엽 처리한 후 시기별로 벼멸구를 접종, 사충수를 조사하였고 그 때의 벼체내 약제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Imidacloprid 입제의 추천 약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약 효(100% 살충률)가 40일까지 지속되었으며, 추천량의 1/2, 1/4 약량에서는 접종세대에 대한 치사효과가 각각 30, 20일가지 지속되었다. Imidacloprid 액제는 추천농도와 1/2농도 처리에서는 접종세대에 대한 약효지속효과가 약제처리 후 40일까지 지속되었으며, l/4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처리 후 30일까지 지속되었다. Imldacloprid입제나 액제 모두 약효 지속기간이 길어 처리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보이나 약 30일 정도 약효가 지속되었다. 파종 전 종자 분의 처리 (3g/볍씨 1kg)의 경우 약제처리 후 55일가지 약효를 나타냈으며 60일부터는 점차적으로 살충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Imidacloprid 입제를 약량별로 처리한 후 도체 내 잔류량을 시일 별로 조사한 결과 추천량 처리시 처리 1일 후부터 잔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6일차에 0.46ppm으로 최고치를 나타낸 후 차차 감소되어 처리40일경에는 0.09ppm이 되었다. 1/2약량, 1/4약량 처리에서도 처리 후 6일경에 잔류량이 각각 0.23ppm, 0.2ppm으로 최고 치에 도달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Imidacloprid 액체를 추천농도와 추천농도의 1/2, 추천농도의 1/4로 처리한 후의 도체 내 잔류량은 처리 직후 각각 2,0. 6,0. 0.2ppm의 잔류량을 보였고, 처리 후 10일경에는 1/2, 1/4 농도처리 의 잔류량은 추천농도의 잔류량과 각각 7배와 11배의 차이를 보였다.
        4,000원
        1203.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crylic resin was synthesized with several monomers, styrene(St),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 n-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acetoacetoxyethl methacrylate(AAEM) to prepare a high-solid coatings. Then, a high-solid acryl/melamine coatings was prepared by curing the acrylic resin with a curing agent, hexamethoxymethylmelamine(HMMM). The curing behavior of the acrylic resin with HMMM was investigated by the Ozawa method using DSC. For AAEM/HMMM and 2-HEMA/HMMM curing reactions, activation energies were 33.01 and 27.12 kcal/mol and frequency factors were 9.54×1015 and 1.53×1013 min-1,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2-HEMA showed higher reactivity with the curing agent than AAEM.
        4,200원
        1204.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종섬모충류의 생태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1999년 1월까지 격월로 섬진강 하류계에서 12개 정점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유종섬모충류는 총 8속 56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출현종의 월별분포는 1998년 3월에 7속 40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1998년 11월에 2속 3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의 정점별 분포는, 정점 12에서 8속 38종으로 가장 많았고, 정점 3에서 2속 5종으로
        4,300원
        120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929 세포를 배양하여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8 개 회사의 Alcon Optiso와, Ciba SOLO care hard, Allergan Total Care, Boston Simplicity, B&L Wetting and Soaking Solution, Menicon pharma 02 Care, 새 한 Aquas - multi, 중외 제 약 앵 피 에스액 둥 8종류의 가스투과성 경성 콘택트렌즈를 위한 MPS를 25% 농도로 배양세 포에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SRB assay 그리고 NR assay로 세포 수준의 독성을 검정하였다. L929세포에 MPS를 처리하여 MTT assay한 결과 4종류 의 MPS 에서 세포 중식 저해율이 30% 이상으로 나타났고, 3종류의 MPS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SRB assay의 경우는 2종류를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30% 이하의 세포 중식 저해율이 나타났다. NR assay는 6종류의 MPS 에서 세포 증식 저해용이 30% 이상으로 나타났고 2종류의 MPS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RGP 렌즈용 MPS가 L929세포 중식올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0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눈물분비 부족 및 접액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상 의 해소와 하드 콘택트렌즈의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인공누액(Artificial Tears) 10종 류와 렌즈 세척 후 행꿈과 습용 및 안구 세척에 이용되는 둥 가장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인 생리식염수(S머ine) 7종류를 배양 생쥐섬유모세포(L929 cell)에 25%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Reader(multi 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MTT와 SRB Assay로 세포증식 저해 정도률 검정하였다. MTT Assay 결과, 인공누액의 경우 10종류 중 6종류 제품에서, 4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 가 나타났으며 식염수에서는 7종류 중 3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를 나타 냈다. SRB Assay결과, 인공누액 5종류에서 60% 정도의 세포중식의 저해와 식염수 3 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인공누액과 식염수에서 L929 세포중식올 저해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21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의 재질파 보관용액에 의한 세포독성과 홉수 스펙트럼에 대한 홉광도를 비교하여 상호간에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롤 시행하 였다.7 개 제품의 각 제품별로 16 개 렌즈를 5ml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병에 넣어 12 1 "C에서 1 시간 동안 용출하였다. 전에 연구한 배양세포 증식저해 시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에 대한 홉광도를 UV Spectrophotorne따를 이용하여 220- 350nm에서 측정하였다. 고함수 이온성 재질인 2 개 제품의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홉 광도는 220-240nm에서 기준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241-350nm에서는 모두 훨씬 낮은 값올 나타내어 투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세포독성과 홉광도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11.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14.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u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녹차추출물과 보존료를 0∼2%(w/v) 첨가한 tryptic soy broth(TSB)에 균액을 약 105 CFU/ml가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후 세균의 생존곡선으로부터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를 구하였다, 식중독세균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S. aureus는 녹차추출물에 의하여 가장 쉽게 사멸되었으나 보존료에 대하여느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pH 5.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0.25∼0.35%, MBC는 1.0∼2.0%였다.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pH 5.5∼6.0에서 0.52∼0.98%였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pH 6.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typhimurium에 대한 MIC는 0.46∼1.62%였으나 pH5.5에서는 세균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S. typhimurium에 대한 보존료의 MIC는 pH5.5∼6.0에서 0.30∼1.30%였으며 pH 5.5 potassium sorbate 2.0% 농도에서 이 세균은 사멸되었다.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시험균주는 pH7.0에서 1.0∼2.0%의 녹차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사멸되었다.
        4,000원
        1215.
        2000.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고 금속의 반응용 성형법은 그 우수한 성형성으로 생산공정에 있어 주조나 단조와 같은 일반 성형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정밀한 공정 변수 제어가 요구되므로 실용화에 있어 크게 제한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고 금속인 A356합금을 사용하여 밀폐형 가압 성형 전후의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가압 성형시의 정확한 공정 변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기계적 특성의 감소 원인이 가압 성형에 의한 미세조직의 응집과 조대화에 있음을 미세조직과 파단면 관찰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가압 성형 후 본 연구에서 '반응고 열처리'라 명명한 후 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인장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었다.
        4,000원
        1216.
        200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describes creation methods of background scenes to implement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s in the VRSS (Virtual Reality Ship Simulator). VRSS is next-generation system constructed with virtual tools in a virtual space. Thus, it could have many benefits compared to conventional ship simulators composed with heavy bridge mock-up system and wide visual presentations. In this work, we developed effective 3D object modeling techniques, and constructed virtual harbor scene by using 3D-Webmaster authoring tool. The virtual harbor was built with object-oriented 3D objects modeled to interact with user's action. With the immersion-type VR system, we created virtual harbor environments in a virtual space, and discussed on the naturalness of the scene with test results of SDMPA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for Psychophysical Assessment) by 10 subjects. As the results of subject assessment, all of the participants could felt natural-like harbor. Therefore, we found that the proposed creation methods and procedures of background scene are enabling to fit to the full mission VRSS construction.
        4,300원
        1217.
        200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describes system design of next-generation Ship Simulator using Virtual Reality (VRSS), well known as human-computer interaction. VRSS system is required to have special condition that comprises multiple user participants such as captain, officer, pilot, and quartermaster. To cope with that condition, core technologies were explored and proposed multi-networking system with broker server. The evaluation of the proposed system was done with PC-based immersion-type VR device, constituted with HMD (Head Mounted Display), Head Tracking Sensor, Puck, Headphone, and Microphone. Using the VR device, assessment test was carried out in a virtual bridge with 3D objects, which are created by VRML (Virtual Reality Model Language) program. As results of tests, it is shown that the cybernetic 3D objects were act as if real things in a real ship's bridge. Therefore, interesting interaction with participants can be obtained in the system, Thus, we found that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can be applicable to VRSS system construction.
        4,000원
        1218.
        199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반사층(reflector)을 이용한 FBAR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즉, SMR (Solidly Mounted Resonator)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의 최적 증착 조건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제조한 SMR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SMR은 상하부 전극층, 압전 박막층, 반사층, 기판으로 구성된다. 상하부 전극으로 알루미늄(Al) 금속 박막을 사용하였고 압전 박막층으로 산화아연(ZnO) 박막을 사용하였다. 실리콘(Si) 기판과 하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층은 5층의 이산화규소 (Si2)와 텅스텐(W) 박막으로 구성되었다. 상하부 전극은 dc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아였으며 반사층과 압전 박막층은 rf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하였다. 최적 증착 조건에서 증착된 산화아연 (ZnO) 박막은 rocking curve에서 표준편차가 2.17˚의 우수한 c축 우선배향성, 비저항은 104 Ωcm이상, 막 표면 거칠기(rms roughness)는 10.6Å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증착 조건에서 증착된 텅스텐(W)과 이산화규소(Si2) 박막의 특성은 박막 거칠기 (rms roughness)가 각각 16 Å, 33 Å을 나타내었다. 또한 증착된 알루미늄 금속 박막의 비저항은 5.1×10-6 Ωcm이었다. 반도체 기본 공정을 이용하여 면적 250×250 μm2의 SMR 소자를 만들고, 네트웍 분석기로 SMR 소자의 공진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진특성은 1.244 GHz에서 직렬공진, 1.251 GHz에서 병렬공진을 나타내었다. SMR 소자의 공진특성에서 공진기의 Q값은 1200이었다.
        4,000원
        121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CE 세포와 L929 세포를 배양하여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6 개 회사의 Lens Mate. ReNu. ReNu MultiPlus. SoLo Care Soft. Complete, Hypa Opia 등 7종 류의 MPS 를 배양세포에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와 SRB 염색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수준의 독성을 검정히였다. HCE세포와 L929세포에 MPS 를 처리하여 MTT assay 결과 4종-류의 MPS에서 세포 증식 저해율이 30% 이상으로 나타났고. 3 종류의 MPS는 대조군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증식율을 보였다. SRB assay 결과 HCE 세포에서는 5종류의 MPS 에서 세포 증식 저해율이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L929 세포에서는 모든 제품이 세포 -증식 저해율 30% 이하로 나타났다. MPS를 세포주에 처리할 경우 MTT 방법이 SRB 방법보다 더 민감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MPS 가 HCE 세포와 L929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2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리포니아의 강구조 모멘트프레임은 1994년 노스리지 지진시 6.8의 규모와 진앙지에서 근접한 지리적인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붕괴나 인명피해 없이 잘 견뎌냈다. 그러나 이후 시행된 조사에서 경제적으로 지진시 안전하다고 믿어져 널리 쓰인 welded flange-bolted web(WFBW) 강접합부(moment connection)의 기둥과 용접의 경계면에서 취성 파괴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논문은 선형파괴역학과 노스리지진이후의 WFBW 강접합부 실험을 이용하여 WFBW 강접합부와 노스리지지진이후 기존 강접합부의 대안으로 추천되고 있는 reduced beam section (RBS) 강접합부의 취성 파괴강도를 결정하는 수치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들 강접합부의 취성 파괴모드를 추정하였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