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Aloe vera Linne treatment on the clinical chemistry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seven patien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800-1, 600 mg of Aloe vern Linne four times a day for six months. The high levels of serum AST, ALT, ALP, γ-GTP and total bilirubin in pati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loe vem L.. The reduced serum albumin/globulin value was increased by Aloe vera L. treatment. But other blood parameters of clinical chemistry values were not affected by Aloe very L.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Aloe very L. can be effective in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liver diseas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Aloe vera treatment on blood glucose level and clinical chemistry in diabetic patients, eight diabetic patien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800 mg of Aloe vera three times a day for three months. The high levels of blood and urine glucose in diabetic pati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loe vera. The increased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by Aloe vera treatment. A little amount of urine bilirubin, hematuria, nitrite, urobilinogen, protein and ketone bodies were detected before treatment, but not detected after Aloe vera treatment. But other blood parameters of clinical chemistry values were not affected by Aloe vera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Aloe vera can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diabetic patients,
In order to establish the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of sterigmatocystin produced by Aspergillus versicolor, we experimented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Two of three rabbits which had been immunized with sterigmatocystin-hemiacetal-BSA produced antibodies against sterigmatocystin at 15 weeks. The produced antibodies were specific for sterigmatocystin and sterigmatocystin-hemiacetal but didn't cross react with other sterigmatocystin analogues in a significant degree. DMF : 4% KCl (18:2) mixed solution was most effective to dissolve sterigmatocystin. For the preparation of sample solution to determine sterigmatocystin by ELISA, sample was extracted with CHCl₃ and dried, then the dried sample was redissolved with 100 ul DMF+4% KCl mixture. 10-1,000 ng/ml level. of standard sterigmatocystin could be applied to the established ELISA. When artifically contaminated rice were assayed by the ELISA, the average recovery of sterigmatocystin spiked to 25-500 ng/g was 109% (97-116%), and mean interwell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21% (11-28%).
본 연구는 식품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50변위를 아주 정밀하게 직선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linear proximity sensor(선형 근접 센서)를 활용하여 식빵의 굳기를 측정하였다. 선형 근접 센서를 장착한 기구로 몇 가지 응력(0.376 0.543, 0.769 kPa) 하에서 식빵의 온도와 수분 함량에 따른 변형을 컴퓨터 자동 자료 수집 장치를 통하여 on-line 상태로 매초마다 자료를 수집하여 컴퓨터 자료 분석 program으로 그래프를 얻었다. 식빵에 적용한 응력과 strain의 비율은 응력이 클수록 그 값이 커지는 비 선형 점탄성체의 성질을 보였다. 이 측정 기구는 좁은 온도 범위와 작은 수분함량의 차이가 따른 식빵의 굳기의 정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선형 근접 센서를 활용한 이 기구는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동적으로 식품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었고, 높은 반복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점탄성체의 특성을 설명하는 기계적인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Inokuchi의 방법을 적용하여 식빵의 물성을 모형화 하면 용수철과 완충 장치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Burger`s모형에 잘 일치하였다. 본 측정 장치는 설치와 사용이 간단하여 식빵과 같은 연 식품의 물성을 측정하는데 활용이 용이하였다.
Actinoplanes missouriensis KCTC 1780를 packed bed bioreactor system에 이용하여 고과당 시럽 ( high fructose syrup )을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응집방법에 의해 균체를 고정화하였다. 먼저, 응집제로 사용되는 polyethylenimine의 농도는 5%, 가교제인 glutaraldehyde의 농도는 0.2%가 적합하였다. 이 때의 응집균체량은 배양액 100㎖당 10.3g(wet weight)이었고, 응집균체의 최적 pH는 7.0, 최적 온도는 75℃ 이었다. 포도당 이성화 반응에 activitor로 작용하는 Mg^2+의 최적 농도는 0.1M이었고, 이 때의 glucose isomerase 활성은 약 40% 증가하였다. 회분식 배양에 있어서의 이성화율은 31%에 달했으며, packed-bed bioreactor의 최적 조건하에서 glucose로 부터 fructose로의 최대 이성화율은 약 40%에 달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운동수행기간 별로 구분한 에어로빅운동군과 좌식 생활자의 신체계측, 식이섭취조사, 체력검사, 혈청지질검사를 하였으며 혈청지질과 각 인자와의 상관관계 및 체력과 신체계측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체력검사의 결과 : 조사대사장의 최고, 최저 혈압측정치는 좌식생활자에 비해 운동군이 낮았고 맥박은 운동수행기간이 길수록 그 수치가 낮아졌다. 맥압은 45이상인 자가 17.1%로 심장질환에 주의가 필요하였다. 근지구력과 점프력은 대상자 모두 정상범위이며 A군이 우세하였다. 유연성에서 C군은 미달이고 A군 정상범위이었으며 상반신근력은 A, C군 모두 정상범위에 미치기 못하였으며 평형성은 운동수행기간이 긴 AⅢ군이 가장 우세하였다. 2) 식이섭취 조사 결과 : 조사대상자들의 1일 섭취칼로리는 권장량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백질 섭취는 권장량에 따라 월등히 많이 섭취하였다 칼슘의 1일 섭취량은 권장량 600㎎에 비해 모두 높았고 철분은 운동기간이 가장 긴 AⅢ군이 (16.1+43㎎으로) 권장량 18㎎/day에 비해 섭취미달이었다. 식이중 콜레스테롤의 1일 섭취량은 한국정상인 1일 섭취량인 200∼300㎎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식이 지질중 P/S률은 AⅡ군만 1.0보다 낮고 모두 정상비율이었다. 3) 식이와 혈청지질과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힐청지질중 중성지질과 단백질 섭취와는 r=0.42(p<0.05)로 유의전인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잉의 단백질 섭취의 결과로 중성지질로 전환됨을 일 수 있었다. 혈청 TC와 식이 TC와는 r=0.21이나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식이로 섭취된 TC가 혈청 TC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사려된다. 4) 체력 및 체위와 혈청지질과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 혈청 TG, TC, LDL-C와 체력과는 음의 관계이며 HDL-C, HDL-C/TC와 체력과는 양의 관계이었다. 운동에 의한 체중 감량이 클수록 혈청 HDL-C농도가 높아졌으며 체력이 향상되면 혈청지질도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고혈압과 TC는 r=0.49(p<0.05), LDS-C와는 r=0.47(p<0.05)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으로 혈압이 높으면 혈청 TC, LDL-C도 높게 나타났다. 5) 신체계측과 체력과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 체중감량과 윗몸일으키기는 r=0.71 (p< 0.001), 팔굽혀펴기와는 r=0.54(p<0.001)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운동에 의한 체중감량은 근지구력을 높힐수 있으며 운동후 체중과 서서위로뛰기는 r=0.49(p<0.()5)로 유의적 양의상관을 나타냈다. 즉 aerobic운동에 의해 점프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식생활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체지방율이 30%이상인사가 14.8%로 운동을 하게된 동기가 비만해소보다는 건강증진에 목적이 있었으며 식사형태는 육, 채식 혼합식이 71.9%로 균형된 식사의식이 높았다. 그러나 적당히 당질식품과 당음료를 섭취한다가 53.6%로서 과잉의 당질섭취로 중성지방 전환의 우려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83.2%가 카페인 함유 음료를 음용하므로 혈압상승 및 철분흡수의 방해가 우려된다.
용해와 주조, 압출과 열처리 기술의개선으로 고강도, 고파괴인성의 AI-Li-Cu 합금(2090 AI합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준 산업용 규모(20kg)의 잉고트 제조공정을 확립하기 위해서 (1)선 (2)기계적 성질들에 미치는 열처리 영향 (3) 인장시험, 파괴인성 시험(KIc) 및 피로균열 전파시계를 갖고 있으며 최종 제품의 인장강도는 최대시효 조건에서 534MPa부터 566MPa이었고 연신율은 9%에서 11.9%정도였다. C-T 시편을 이용한 파괴인성 시험 결과 최대시효 조건에서 평면변형 파괴인성 (KIc)값은 39MPa√m였고 미시효 조건에서는 23MPa√m였다. 또한 0.1, 0.3, 0.5의 하중비에서 피로균열 전파시험을 행하였을때 임계응력 확대계수(δKth)는 각각 6.0, 5.3, 4.3 MPa√m이었다.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잎 중의 가용성 invertase를 탈이온수로 추출한 후 황산암모늄 0, 4∼0.6 포화획분에 의하여 조제하였으며 이의 효소화힉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6.0과 40℃ 였으며 pH 6.0∼8.0 범위와 40℃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Protease 및 단백질 변성제 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glycosidase에 의해서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본 효소는 sucrose와 inulin 등의 β-fructofuranoside 결합을 가진 기질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전형적인 β-fructofuranosidase의 성질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