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하호의 고탁수 발생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5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댐축 지점에서 매월 채집하였다. 2003년 9월과 10월의 가장 높은 탁도(1221 NTU) 형성은 태풍(매미)에 동반된 집중 호우 시기와 일치하였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02분류군이고, 이 중 규조강이 63종류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이 23종류, 남조강이 9종류, 시누라조강과 은편모조강이 각각 3종류 그리고 유글레나 조강이 1종류가 출현하였다. 총 현존량은 270~4,515 indls. mL-1였고, 은편모조강의 Cryptomonas ovata, 규조강의 Cyclotella sp. 그리고 남조강의 Microcystis aeruginosa 등은 고탁수의 감소후 차례로 우점하였다.
본 연구는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기존 소나무림에 대한 15년간 식생구조 변화 실태를분석하여 소나무림 보전 및 생태적 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나무림 현존식생 조사결과총6개 유형과 15개 세부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기존 소나무림내에 44개 조사지(단위면적: 400m2)를 설정하여 TWINSPAN분석결과 5개 군락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소나무,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 진달래 등이 우점종이었다. 샤논의 종다양도는 0.5980~1.1485이었으며 출현종수는 17~22종이었다. 15년간 식생구조 변화분석결과 소나무(I.P.: 77.9%→50.6%)의 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때죽나무(I.P.: 5.3%→22.6%), 산벚나무(I.P.: 1.5%→9.2%),국수나무(I.P.: 3.5%→7.7%)의 세력은증가하고 있었다. 단위면적 2,000m2를 기준으로 샤논의 종 다양도는 1.1719에서 0.8829, 종수는 34종에서 21종으로 변화하였다.
원목재배사에서 4월 중에 관리하지 않은 경우 높이에 따른 온도는 지표면-120cm 높이가지 20~22도로 차이가 없었고, 습도 또한 내우 낮은 30~32%였다. 자연적으로 발생된 버섯은 수분이 너무 적어서 화고이나 작았다. 이슬점은 바닥에 서 1.5~6도로 낮은 반면에 버섯의 온도가 12.8~15.0도로 버섯이 메마른 상태가 되었다. 버섯은 상대습도에 크게 좌우되므 로, 지면에서 높아질수록 수분관리가 불리하게 되며 통풍으로서 습도를 균질화 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관리된 재배사에서는 온도가 12~17도에 이르며, 상대습도는 45~68%로, 바닥에 가까운 높이에서는 버섯온도가 거 의 이슬점에 도달하여 과습할 정도였다. 오히려 통풍이 필요한 상태였다. 특히 2월 중에 원목을 보온하기 위하여 비닐 을 씌 운 경우는 8~20도, 상대습도는 43~79%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mporal association rule based on item time intervals. A temporal association rule is an association rule that holds specific time intervals. If we consider itemset in the frequently purchased period, we can discover more 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