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chapter 8, I discuss a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its causes, symptoms and prescription. The name of the running piglet(奔豚) disease dates back to old times, and it is not clinically reported these days. The symptoms of the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is characterized by unberable pain in the lower abdomen, the chest and the throat, followed by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se symptoms with passage of time. In my view, the causes of the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artle and panic, and the excessive fluid(水飮). In this chapter 13, I elaborate on three diseases: a wasting-thirst(消渴),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1)a strangury disease(淋病). I discuss these three diseases in one chapter because they share the same symptoms of thirst and abnormal urination and the symptoms occur mainly in the kidney(腎) and the urinary bladder(膀胱). A wasting-thirst(消渴) has the main symptoms of drinking water and eating food excessively as well as urinating a lot. A disease symptomized by thirst(消渴) is typically divided into upper wasting-thirst(上消), middle wasting-thirst(中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by clinicians. Specifically, I discuss the mechanism of disease of upper wasting-thirst(上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treatment principles of and prescriptions for upper wasting-thirst(上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and pathology of middle wasting-thirst(中消) in this chapter. Based on the view that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 is not a disease per se but a label for the symptom of short and insufficient urination, I discuss water amassment syndrome(蓄水證), yang bringtness disease pattern(陽明病), and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 that is accompanied by various diseases. A strangury disease(淋病) has the main symptoms of insufficient and trickling urination that is often accompanied by pain perception. In this chapter, I discuss about stone strangury(石淋) in particular. These three diseases merit in-depth discussion since they are clinically observed with high frequency.
Byun Jeung Ok Ham, written by Jin Sa Tak(1627~1707, won gong, penname ju hwa ja) is composed of four books. this book is estimated of being written after A.D 1688 and composed of internal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phthalmology, dental surgery and so on, total 36 parts of clinical medicine. This is the first book of that four studying about definition on eum yang of 31 diseases. 31 subjects follow, attack by wind and cold(傷風傷寒), paralysis(中風), vomiting(吐症), diarrhea(瀉症), malaria(瘧疾), dysentery(痢疾), epilepsy(癲狂), cough(咳嗽), constipation and urinal impossibility(大小便閉), heartache(心痛), abdominal pain(腹痛), headache(頭痛), eye disease(目痛), tonsillitis(雙蛾), tumor(癰瘡), exhaustion(脫症), perspiration(汗症), congestion(痰症), swelling(腫脹), heatstroke(暑症), asthma(喘症), evil influence(中邪), hematemesis(吐血), wet dream(夢遺), pyrosis(呑酸), backache(腰痛), intestinal convulsion(霍亂). childbirth(生産), hard labor(小産), after delivery(産後), sterility(子嗣). this treatise is the first book of four which deals with eum yang(陰陽) translating into korean and studying about medical theories. In every parts, author's unique clinical theory appears affluently and in that periods his study developmented a lot in those days' medical methods. second book is weaknessand strongness,third upper and low, fourth truth and untruth. first book, Jin Sa Tak says studying on eum yang is oriental medical basic theory and on incurable diseases or chronic symptoms, doctor must go back to that eumyang demonstration after can cure patients. second parts are on weakness and strongness demonstration, that weakness is weakness of patients' energy and strongness is prosperous condition of diseases' attack. third parts are on upper and low, that upper is upper parts of human body of painful parts and low is human low parts of pain, that is parts of under waist. fourth parts are truth and untruth, true symptoms and untrue symptoms, that is the real reaction of human condition and the other way. every prescriptions are author's creations. this book provides new viewpoints which surpasses original ancient medical theories. author suggests new opinions about chronic and incurable diseases. prescrisptions were made of following correct theory of gun sin jua sa theory (君臣佐使) and promoted levels of clinical methods. this treatise refers to dong ui bo gam(東醫寶鑑), huang je nei gyung(黃帝內經), sang han lon(傷寒論), ui hak yip mun(醫學入門) and modern physiology and pathology.
본 연구에서는 선형이론을 바탕으로 한 이산계열 대공간구조물의 크기최적화에 따른 후좌굴 거동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먼저 공간구조물의 최적의 부재크기 패턴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였다. 이때 최소화 해야하는 공간구조물의 전체 부재의 중량을 목적함수로 이용하고 절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값과 각 부재에서 발생하는 응력 값을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는 제약조건으로 사용하였다. 크기최적화를 통하여 도출된 최적 부재패턴을 가지는 공간구조물의 후좌굴 거동을 통합 비선형해석기법으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크기최적화에 따른 공간구조물의 후좌굴 거동의 변화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후좌굴 거동의 변화에 대한 예측과 분석결과가 공간 구조물의 설계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치해석 결과는 이산계열 대공간구조물의 설계에 기본 데이터로 제시하였다.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TWPLM) seeks to harmoniz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y allowing regional developments to be carried out in an eco-friendly manner and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desirable water quality. Water pollutant sources are managed so as to keep the total amount of pollutants in public watersheds within a certain level or total allowance in accordance with target water quality goal. With relation to the basic guideline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Watersheds, the load from the l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ssification of rainy and dried season respectively. Objective loads of abatement applied in the 1st planning period(2004∼2010) are set up standards by low flow condition(Q275) without considering the change of flow, while allowable wasteloads are estimated by the criteria of daily mean precipitation 10 mm, as critical standard for the division of surface runoff load. Even though the standard flow conditions to meet the goal of water quality at the end of unit watershed are low flow, but it might be considered to set up drought flow condition(Q355)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lso the objective loads for abatement to meet the target water quality should be calculated without the effect of non-point sources from the land.
이 논문은 지오데식 돔 구조물의 구조최적화에 대한 연구내용과 관련이론 그리고 수치해석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지오데식 돔의 공간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돔의 기저인 정이십면체의 외피면적과 내부공간의 비율을 계산하고 건축구조물에서 나타나는 다른 입방체의 값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지오데식 돔을 형성하기 위한 절차를 세부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프로그래밍하여 설계최적화프로그램 ISADO-OPT에 연동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 형태의 지오데식 돔이 집중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최적의 부재크기 패턴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였다. 이때 최소화해야하는 돔 전체 부재의 중량을 목적함수로 이용하고 하중이 가해지는 절점에서 발생하는 변위 값과 각 부재에서 발생하는 응력 값을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는 제약조건으로 사용하였다. 목적함수와 주어진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적 설계변수값을 검색하기 위해 설계변수에 대한 목적함수의 민감도 값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한 지오데식돔을 위한 설계최적화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한 최적 부재패턴은 향후 돔의 최적설계에 기본 벤치마크테스트결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Lightcycler (Roche)를 이용한 Real-Time PCR(LC-PCR)기법을 통하여 원유시료에서 신속, 정확하게 황색포도상구균을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oagulase 전구체를 coding하는 113 bp의 co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황색포도상구균 특유의 유전자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중 메치실린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검출하고자 penicillin-binding protein, PBP2a (mecA)를 coding 하는 209 bp의 mec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을 real-time PCR 기법으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 따르면 647개의 원유시료중 6개의 시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2개의 시료에서 분리된 황생포도상구균이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검출한계는 10 fg으로 기존 PCR에 비해 매우 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개의 원유시료에서 돼지나 소의 삼출성 피부염의 원인균인 Staphylococcus chromogenes가 분리되었다.
본 연구는 체세포 복제 한우 송아지의 생산에서 생시체중과 생존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293두의 한우 대리모에 580개의 복제란을 이식하였다. 복제란의 임신율은 이식 후 50일까지 72.3%로 높았으나,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평균 임신 기간은 복제 송아지에서 287일(279~295일)이었으며, 인공수정 송아지도 287일(255~293일)로 각각 나타났다. 복제 송아지의 생시체중(30.3kg)은 인공수정 송아지(23.7kg)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자연분만(n=17, 29.9kg)과 제왕절개(n=14, 32.3kg)로 태어난 복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후 175일 이전에 사망한 복제 송아지(n=18, 32.8kg)의 생시체중이 175일 이상 생존한 복제 송아지(n=11, 28.3k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흥미로운 점은 생시체중이 15kg 이하(n=5) 또는 35kg 이상(n=9)인 복제 송아지들은 모두 생후 175일 이전에 폐사하였다. 생후 175일 이전에 폐사한 복제 송아지들(n=20)의 사망 원인은 미성숙 개체 2두(10.0%), 폐와 간 이상 2두(10.0%), 폐의 원인 4두(20.0%), 기형 4두(20.0%), 출생 후 급사(sudden death syndrome) 4두(20.0%) 및 기타 원인불명이 4두(20.0%)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복제 송아지의 정상 생시체중이 6개월 이상을 생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한 가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판 구조물의 최적위상을 찾기 위한 비대칭 층을 가지는 인공재료모델을 이용한 위상최적화기법을 제시하였다. 구절점 판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판의 일차전단변형을 고려하는 Reissner-Mindlin 판이론이 도입되었다. 최소화하고자 하는 변형에너지를 목적함수로 하고 구조물의 초기부피를 제약함수로 채택하였다 인공재료모델에 존재하는 다공성물질의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최적정기준법을 바탕으로 하는 크기조절알고리듬을 도입하였다. 제시된 위상최적화 기법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예제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로부터 제시된 위상최적화기법은 판구조물의 최적위상을 도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시된 비대칭 층모델은 판구조물의 보강재를 보다 실제적으로 도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 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kg/ha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 kg/ha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위상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보의 기본고유진동수 최대화문제를 수행하였다. 도입된 위상최적화기법은 구조물의 모드형상에 의해서 발생되는 모드변형에너지를 바탕으로 한다. 최소화하고자하는 모드변형에너지를 목적함수로 하고 구조물의 초기부피를 제약함수로 채택하였다. 최적정기준법을 바탕으로 한 크기조절알고리듬을 유한요소내부에 존재하는 셀의 빈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세 가지의 다른 경계조건을 가지는 보를 이용하여 자유진동모드형상에 저항하는 보의 최적위상을 조사하였다. 수치해석결과로부터 도입된 위상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도출한 보의 최적위상은 초기구조물에 비해 저차의 자유진동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모드변형에너지를 이용하는 위상최적화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기본진동수를 최대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원전 격납건물의 극한내압능력 및 파괴모드 평가를 위해 개발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NUCAS 코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NUCAS는 미시적인 재료모델을 도입한 퇴화 쉘 요소와 탄소성 재료모델을 도입한 저차고체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퇴화 쉘 요소와 저차고체요소는 유한요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성과대(overstiffness) 및 묶임현상(locking phenomenon)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 가변형도법(assumed strain method)과 개선된 가변형도법(enhanced assumed strain method)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NUCAS코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양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벤치마크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부터 이 논문에서 개발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의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anagement problems about the current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here is outside of sewage treatment boundary in Chungnam province. It suggested that optimum plan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s follows. Management cost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considering the circuit operation person was charge of about 51.8% personnel expenditure, 31.0% electricity power cost, and 9.9% repairing expenses. So, the presumptive cost will be to ₩191/㎥․d for the facility capacity a year. Recently the core operation and management has converted to environment related section or consignment company but a work subjective section administers the facilities that is a 75 districts of total 161 business zone yet. It is desirable to conclude a commission contract with the company which is operate the facilities including circuit operation person for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t recommend that one who has qualified or certificate requirement for the sewage treatment should be stationed at the related section because there are no experienced men in many treatment facilities.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small sewage treatment plant whose capacity is more than 500㎥/d ought to be controlled by collecting sewage tax involved the related special budget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nd the charge would be to notify the actual usage.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unmanned automatic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reduce labor costs, advance progressive management, and operate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환경스트레스에 내성을 갖는 버즈풋 트레포일(Lotus crniculatus L.) 형질전환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AtNDPK 유전자가 SWPA2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재조합한 발현벡터 pCAMBIA 2300 /SWPA2::AtNDPK2를 Agrobacterium 형질전환 방법으로 버즈풋 트레포일에 도입하였다. Apgrobacterium과 버즈풋 트레포일 캘러스의 공동배양한 캘러스를 의 kanamycin 및 의 cefotaxim을 첨가한 SH-3-k
이 논문은 경계조건에 따른 판구조물의 최적두께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화하고자하는 변형에너지를 목적함수로 하고 구조물의 초기 부피 값을 제약조건으로 사용하였다. 판구조물의 두께분포를 표현하기 위하여 쿤이 개발한 조각 면을 이용하였다. 판의 변형에너지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하여 퇴화 쉘 요소를 도입하였으며 반복계산을 통하여 최적의 두께분포를 검색하기 위하여 최적화검색기 DOT를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계조건에 따른 판의 최적두께 분포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해석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사각형 판을 최적화에 채용하고 그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