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2

        2621.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종류와 품종에 따라 배지 조성, 생육 조건이 서로 다르므로 농가에서 새로운 품목을 도입하고, 이에 적합한 재배기술을 확립하여 다품목 재배가 안정화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 느타리재배 농가에서 우리원에서 육성한 갈색 팽이를 새 소득작목으로 도입 시 기존의 배지 조성, 생육조건을 바꿀 필요 없이 그대로 관리하므로 다품목 재배가 매우 용이하다. 수입에 의존하는 배지재료의 가격 폭등과 수급 불안정 문제로 농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에서,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버섯 등에서 수확후배지 재활용 시 수량 증대와 배지비용 절감이 보고되었기에 느타리 농가에서 갈색 팽이를 접목하여 재배 시 수확후배지 재활용을 통한 농가 수익 개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여름향1호’를 사용했 고, 주요 재배조건으로 느타리 재배용 배지조성 톱밥:면실피:비트펄프:면실박:쌀겨=24:20:12:10:3(w/w)과 생육 온도 15°C로 설정하였다. 수확후배지 첨가비율은 0, 10, 15, 20, 25% 5처리를 두었다. 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팽이버섯의 수량은 기대와는 달리 7~23% 감소하였다. 수확후배지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결과, ‘여름향1호’ 팽이버섯을 느타리 재배법에 접목하여 병재배하는 농가에서 수확후배지를 재활용하면 배지비용 절감 효과에 비해 수량 감소로 인한 손실액이 커 농가 수익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27.
        2017.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Si-Cr ferroalloy is predominantly produced by carbothermic reduction. In this study, silicothermic and carbothermic mixed reduction of chromite ore to produce Fe-Si-Cr alloy is suggested. As reductants, silicon and silicon carbide are evaluated by thermochemical calculations, which prove that silicon carbide can be applied as a raw material. Considering the critical temperature of the change from the carbide to the metallic form of chromium, thereduc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se high temperature reactions, silicon and silicon carbide act as effective reductants to produce Fe-Si-Cr ferroalloy. However, at temperatures lower than the critical temperature, silicon carbide shows a slow reaction rate for reducing chromite ore.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a commercial process that uses silicon carbide reductants, the operation temperature should be kept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Using equilibrium calculations for chromite ore reduction with silicon and silicon carbide, the compositions of reacted metal and slag were successfully predicted. Therefore, the mass balance of the silicothermic and carbothermic mixed reduction of chromite ore can be proposed based on the calculation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4,000원
        2631.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stomach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was designed. The data were analyzed via the Phenomenological Method, using the data of 12 stomach cancer patients, from the original data collected by narrative interviews in 2013. Results: Seven theme clusters emerged from the analysis. Beginning with: ‘Facing Life Threats from Cancer,’ this describes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between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s.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deals with desperate struggle to overcome medical treatments, such as gastrectomy and chemotherapy, while ‘Adjusting to Weakened Body’ illustrates the continuous daily struggle to follow dietary treatments after operation. ‘Dilemma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llustrates the sensitivity of relationships from the cancer stigma, with predicaments rising in collective dining situations. ‘Encountering: Hidden Me, Inside Me’ describes changes in values of life and a matured self. ‘Supporters for Hope’ illustrates driving forces to keep hope alive in everyday lives. Lastly, ‘Happiness of Everyday Life Rescued from Misery’ describes how life turned into blessings from cancer after a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oncology professionals to develop patient-centered cancer survivorship interventions, by understanding and gaining insights about the lived experience of stomach cancer patients.
        4,200원
        2632.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studied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radar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when constructing the VTS system. As the Civil-Military Complex Harbour (Kangjeong Port) is completed in 2016, we set the control area within 10 nautical miles centering on Kangjeong Port, and found out and removed the operational radar blind area of VTS system to provide safe navigation information for vessels that navigating this area. Assuming that two international cruise ships entering at the same time, we performed the radar simulation and compared the images by considering the three sites of Kangjeong Port, Miaksan and Seoguipo Port. Simulation results for a single radar installed at Kangjung Port indicate that the blind area was largely affected by two large cruise ships and the surrounding islands. The blind area due to Kogunsan was considerably large when installed in Miaksan, but the blind area due to the influences of Beomseom, Moonseom and Seopseom was negligibly large. It seems that additional radar installation is necessary as a complementary solution to solve this blind area. When two radars were installed at Miaksan and Kangjeong Port, the residual blind area due to the Seopseom was 0.25 km2 at 0.1~0.33 nautical mil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from Seopseom. In addition, the remaining blind area with two cruise ships mutually influenced was 0.18 km2, which did not occur with a single cruise ship.
        4,000원
        2633.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avigator with specific information necessary to assist in the avoidance of collision and in operation of ships to evaluate the maneuverability of research vessel Jera. Authors carried out full-scale sea trials for turning test, zig-zag test, and spiral test at actual sea-going condition, which were performed on starboard and port sides with 10-20 rudder angle at service speed of 10 knots. The turning circle was much different at both of the turning of port and starboard which was longer at the starboard than at the port. In the zig-zag test results, the port and starboard was 10˚ the first and second overshoot angles were 6.0˚ , 5.8˚ and 6.3˚ , 7.1˚ respectively and the first overshoot angles were 16.4˚ , 17.6˚ when using 20˚ . Her maneuverability index T and K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ing an analogue computer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zig-zag tests where K is a constant representing the turning ability and T is a constant representing her quick response. In the zig-zag tests under 10˚ or 20˚ at rudder angle, the value K is 0.149. 0.123 sec- and T is 11.853 and 6.193 sec and angular velocity is 0.937˚ /sec and 1.636˚ /sec. In the spiral test, the loop width was unstable at +0.51˚ and -1.19˚ around the midship of rudder, but the tangent line at 0˚ was close to vertical. From the sea trial results, we found that she did comply with the present criterion in the standards of maneuverability of IMO.
        4,000원
        2636.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농가의 사육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번식관리를 통해 송아지 생산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에서부터 대규모 농가 사육 조건에서의 번식우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므로 서 한우 송아지 생산율을 향상 방안을 찾기 위하여 2016년 하반기에 농가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총 45농가였으며, 지역별로 남부(경남), 중부(경북, 충남), 북부(경기, 강원)로 나누었 고, 사육 마릿수에 따라 소(20마리 이하), 중(20〜50마리), 대(50마리 이상)규모로 나누어 진행했다. 총 조사 두수는 번식우로 사용하는 가임암소 1800여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에 의하면 조사대 상 농가의 초임월령은 평균 20.9개월로 조사되었다. 최초 분만월령은 평균 28.7개월령 이었으며, 수태당 인공수정 횟수는 1.45회였다. 수태율은 소규모 농가가 75.2%로 중규모(70.6%)나 대규모 (71.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72.4%였다. 분만 후 인공수정일수는 평균 119.8일로 조 사되었다. 수태율과 BCS와의 관계에서 소규모 농가의 수태율이 가장 높았으며(75.2±16.9%), BCS는 소규모 농가가 3.1로 중규모(3.0) 또는 대규모 농가(2.8)보다 높았다. 일반농가에서는 송아지 생산율 이 67.64%였으나 발정관찰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농가는 78.06%로 송아지 생산율이 10.42% 높았 다. 농가여건에 따라 별도의 운동장 또는 방목을 사용하는 경우 수정율이 92.54%였고, 사사관리만 하였을 때 89.07%였고, 분만율도 운동장 사용시 88.12%로서 사사관리의 69.83%보다 약 18.3% 향 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우를 대상으로 예방접종(IBR, BVDV)을 실시한 농가는 분만율이 79.67%로서 그렇지 않은 농가의 69.27%에 비해 10.4%가 높았고, 또한 분만시 유사산·폐사율도 예 방접종 농가는 5.36%인데 비해 미실시 농가에서는 9.77%로 예방접종을 하였을 때 4.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번식우는 충분한 운동과 발정관찰에 노력해야 하고 예방접종을 하므로서 분만율 향상 등 송아지 생산과 육성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637.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사육은 소비자의 요구와 동시에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급육 생산을 목표로 사육되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의 사양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거세비육을 하는 농 가에서 요로결석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요로결석은 비육후기 복통 및 배뇨장 애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증체량 감소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폐사에 이르기도 한다. 본 연 구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동일한 연령과 사양 프로그램으로 사육되던 거세비육우 22개월령 24두 중 1두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여 수의사가 현장에서 진단을 하였다. 해당 가축은 전형적인 요로결 석 증상을 보였으며 배뇨를 못하는 요도폐색 증상을 나타내어 긴급도축을 하였다. 그러나 긴급도 축 2주 후 나머지 23두 중 1두에서 동일한 증상이 추가로 발생하여 긴급도축을 하였으며 수의사 가 도축장에 동행하여 방광과 요도내에 결석유무를 확인하여보았다. 해당 긴급도축우의 방광을 확 인하여 본 결과 방광근육 출혈 및 방광내에 결석존재와 결석으로 인한 요도폐색을 직접 확인하였 다. 2두의 긴급도축 후 남은 22두의 거세 비육우에서는 30개월령 출하 시기까지 더 이상의 요로결 석 임상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동일 연령과 사양 프로그램으로 비육된 축군에서 방광 내 결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나머지 22두의 출하시에 도축장에 동행하여 방광 내 결석유무 를 확인하였다 22두 중 개체에 따라서 결석 크기와 형태 및 양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11두(50%)에 서 방광 내 결석을 확인하였다. 결석 성분분석결과 Carbonate apatite 20%,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struvite) 80% 성분으로 이루어진 결석과 Calcium Oxalate Monohydrate 50%, Uric acid 50% 성분으로 구성된 2종의 결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3두에서는 방광내에 혈액, 방광조직 출혈, 점막비후 등 육안적으로 이상소견을 확인 후 조직학적 검사결과 염증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방광 내 결석이 발견된 11두 전 두수에서 방광염증이 확인되었으며, 방광내에 결석이 발견되 지 않은 11두 중 2두에서 방광염증이 확인되었다. 방광 내 결석존재와 방광염증 발생에 있어서 유 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638.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처녀생식은 관심 개체의 생식세포에서 반수체 유전물질을 이배체로 복원시킴으로써, 요구되는 특정형질을 다음세대에 거의 소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쥐의 처녀생식을 통한 난모세포의 활성화 는, 앞선 논문 들에서 알려진 바, strontium에 가장 유의적으로 그 비율이 높다. 그러나 기존의 strontium의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했던 실험의 경우는, 배양될 배아들을 단일 단계만의 배지에서 실험을 진행한 사례가 다수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활성화된 쥐의 parthenotes의 배반포까지의 발 달률 및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R1ECM배지에서 KSOM배지로의 두 단계 배양 체계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이미 보고된 glucose의 농도에 따른 배아의 발달률 변화와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첨가로 인한 발달률 증가가, 단일 단계 배양이 아닌 두 단계 배양 체계에서도 유의적 결과를 보이 는가를 살펴보았다. R1ECM배지에서 One cell embryo 까지의 배양을 진행했으며, 이후 3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KSOM만을, modified KSOM (high glucose)을, KSOM+EGF을 사용하여 각각 2, 4, 8-cell과 배반포까지의 발달률을 비교하였다. 각 그룹은 통제집단 (KSOM으로의 배지 교체를 하지 않음.)과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적 발달률을 보였다. 특히, KSOM+EGF 집단이 가장 특기할 만한 결과치를 보였다. 다만, glucose의 농도를 달리한 KSOM 집단은, KSOM만을 사용한 집단과 큰 차 이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KSOM 배지 배양에서 glucose의 농도 변화는 오히려 배지의 전체 농도의 지나친 증가를 야기한 것처럼 보였는데, 이는 좀 더 세밀한 조절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실험에 이용된 암컷 쥐의 난모세포는 hCG 주입 후 16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채취되었는데, 본 실 험과 hCG 주입 이후의 경과된 시간과의 연관성은 향후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쥐 난 모 세포의 처녀생식 활성화를 위해 cytochalasin B와 cycloheximide가 첨가된 1.25 mM의 strontium을 사 용했는데, 해당 시약에서 cytochalasin B의 작용을 통해 세포 분열의 진행 단계에서 arrest 현상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