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59

        3361.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법 제97조에 따라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진다. 특허권침해소송의 상대방이 제조하는 제품 또는 사용하는 방법 등이 해당 특허발명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 문언해석에 의한 침해가 성립된다. 하지만 언어가 가지는 표현상의 한계로 인하여 기술적 범위를 특허청구범위에 그대로 기 재하고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침해유형을 예상하여 특허청구범위를 작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특허침해에 있어서 대개 침해자들 은 특허발명에 사소한 변경을 가하여 특허권의 보 호 범위를 회피하고자 한다. 이에 특허발명의 실 질적 가치를 보호하지 위해 등장하게 된 이론이 균등론이다. 우리나라는 대법원 97후2200 판결에서 균등론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5가지 적용요건을 확 립했다. 하지만 당시 균등론에 대한 국내 판례가 부족했고 학계의 연구 성과 또한 미진한 상황에서 외국의 균등 이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것이기 때문에 각 적용요건에 대한 통일된 판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균등론의 법적 안정성 과 예측가능성에 있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특허권은 발명자 가 자신의 발명을 영업비밀(Trade Secret)로서 공중에게 공개한 것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주어지 는 것이기 때문에 발명은 출원 서류에 기재되어 공중에게 일정한 기여를 한 범위 내에서만 보호를 받는다는 계약법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많고 균등론을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예외로서 최대한 그 적용을 제한하려는 방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분쟁소송에서 특허청구범위 해석 에 관련한 문제는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발생하 는 사안이며 권리범위를 획정하는 하나의 방법으 로서 균등론은 현실적으로 예외 사항이 아니라 특 허침해의 일반적 판단원칙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입법을 통해 특허법에 균등 이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명시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균등론의 연구의 방향은 기존의 공시기능을 중시하는 연구에만 치중하는 것보다 특허권 보호를 위한 방향으로도 논의의 방 향을 넓혀 적용요건의 판단 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고에서는 미국, 일본과의 논의와 비교해서 우리나라의 적용요 건에 대한 판단기준을 검토할 때에도 이러한 방향 성에 맞추어 논의를 전개해가고자 한다.
        6,700원
        336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ggests designs of maternity clothes wearable after childbirth and aims at confirming that maternity wear is continuously wearable during a post-natal period. As for research method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ith research on a production of work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maternity dress which may be worn even after childbirth.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possibly presented various designs which require fashionability going with the trend of time. The maternity wear also requires the adaptability for a changing body shape to enable a woman to wear it during a pregnancy period and after childbirth. Besides, the convenience of dressing and undressing with wearing comfort is considered. 6 sets of one-piece dress were made as the result of the study and three factors of fashionability, adaptability and convenience were consider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Firstly, it verified that the maternity wear is fashionable clothes not to cover protruded abdomen but to satisfy women's desire of self expression. Secondly, it overcame the limit of dress design through fitting it to completely different two body sizes and shapes with design factors and patterns. Lastly, it suggested a research model of maternity wear corresponding to economical, environmental and ethical principles as giving an effect of “two” dresses with one. This study presented a new direction of design study with meaningful actions of fashion designing in the aspects of economical, environmental and ethical consumption unlike artificial disposal on SPA brands.
        4,900원
        3363.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esthetic values between emotion of human and expression of techn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as it analyz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lated cases in fashion based on principles of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e viewpoint of mechanic aesthetic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D Printing fashion is not only expressed diverse variations by its principles of formative methods, materials and properties, but also changes of silhouette by applying system of designers. Seco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fashion is represented by various applications in SLS system, and it can be specifically explained application to a portion of clothing, decorative roles of clothing, complicated pattern making through crossing fabrics using 3D scanner and displaying a certain object changing fashion styles, and so forth. Thir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chanic aesthetics is as follows. It can be analyzed as the integration of metaphysical values through compared symbolization of natural feature and technical evolution, partial dynamics and interactive velocity-based, formative combinations for abstract expression using architectural components, cosmos images and substantialized structures through images of organic space interacted human shapes. As the mention above, 3D Printing technology can creative a diverse area of fashion, and express images of new technological fashion through various works wi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iques.
        4,900원
        3364.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부등상시 측정 및 보정을 위한 검사용 렌즈를 개발하고, 개별맞춤형으로 처방된 부등상 시 보정안경의 임상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부등시 교정도수에 따른 부등상시도 측정용 메니스커스형 시험렌즈세트와 부등상시 보정 용 평면 및 마이너스 도수의 배율렌즈를 개발하였다. 좌우안 등가구면 교정도수 차이가 1.50D 이상인 부등시자(31명)를 대상으로 부등상시 보정안경의 교정시력과 입체시력의 개선 정도와 설문을 통한 주관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부등상시 측정용 마이너스 구면렌즈(-0.25D ∼ -6.00D; 0.25D step)(24조), 플러스 구 면렌즈(+0.25D ∼ +4.00D; 0.25D step)(16조) 및 원주렌즈(-0.25D ∼ -4.00D; 0.25D step)(16조)를 제작하였다. 부등상시 검사용 사이즈렌즈[0.00D, +0.5% ∼ +6.0%(0.5% 단 계)](12조), 배율 +1.0%와 +2.0%의 마이너스 부등상시렌즈[-0.25D ∼ -6.00D(0.25D 단 계)](24개)를 제작하였다. 현재 사용하는 안경보다 부등상시 보정안경의 양안 도수차이는 0.39D 정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정시력은 좌우안 모두 단안시력이 0.08 정도 향상되었다. 부등상시도는 1.0% 정도 감소하였고, 입체시력은 현재 안경(87.7±32.6초각)보다 부등상시 보 정안경(41.9±10.1초각)에서 두 배 정도 향상되었다. 모든 항목에서 주관적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하루 착용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더 빨리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등상시 측정 및 보정용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개인맞춤형 부등상시 교정렌즈를 적절하게 처방할 수 있고, 시력과 입체시력 및 주관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 나, 처방안경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 된다.
        336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안구 운동 추적 장치(Eye Movement Tracking Device, SMI Co., Germany)를 사용하여 시청 조건이 안구 운동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연령 32.2±17.4세의 108명을 대상으로 30분 길이의 2가지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 안 휘도(150nit, 200nit, 300nit), 영상물(표준 색상, 일반 색상), 디스플레이(커브, 플랫), 연령 (20세 미만, 20에서 40세, 40세 초과) 별 안구 운동 변수(동공 직경, 눈 깜박임 횟수 및 눈 깜 박임 지속 시간, 주시 횟수 및 주시 지속 시간, 홱보기 횟수 및 지속 시간 그리고 홱보기 진폭 및 속도)의 변화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시청 후 동공 직경, 주시 횟수, 주시 지속 시간, 홱보기 횟수는 감소하였으며, 눈 깜박임 횟수, 눈 깜박임 지속 시간, 홱보기 지속 시간, 홱보기 진폭, 홱보기 속도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시청 시간을 3분 간격으로 구분하였을 때, 동공 직경, 주시 횟수, 홱보기 횟수는 9분 까지 감소, 24분까지 증가 및 30분까지 감소하는 유형을 보였으며, 눈 깜박임 횟수는 이와 반 대로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증가, 감소 및 증가 유형을 보였다. 시청 조건이 안구 운동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휘도와 디스플레이는 동공 직경, 연령은 동공 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횟수, 지속 시간 및 진폭)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시청 조건에 따른 안구 운동 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휘도, 디스플레이 및 연령과 동공 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횟수, 지속 시간 및 진폭)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0.05). 영상물 시청 후 안구 운동은 감소, 증가 및 감소하는 특정 유형을 보였다. 이는 눈 의 피로가 누적되는 것이 아니라 시자극의 노출에 따른 생리학적인 적응과정으로 보이지만, 이 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청 시간을 더 길게 확장시킨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337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F3 기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cleaning 또는 etching 가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6대 온실가스에 속하지는 않으나 차기 온실가스로 지구온난화지 수도 이산화 탄소에 비해 17200배 높다. 최근 NF3를 분리 농축 회수에 있어서 고분자 분리막, 복합막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공정설계, 공정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분리특성의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F3와 N2, O2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투과특성을 확인하고, 혼합기체에서의 주입농도와 Stage-cut에 따른 농축농도와 회수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376.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pacitive deionization (CDI) is one of the attractive environmentally-friendly technologies for desalting applications. It consumes relatively small energy for operation and does not produce any secondary wastes for a re-use. In this work, we have successfully prepared both anion and cation exchange ionomer coating solutions using engineering polymers as the base materials. The functionalized ionomers were coated on porous carbon electrodes and also utilized as a binder for immobilizing the carbon particles to improve the current and removal efficiencies of CDI process. The ionomers exhibited excellent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oth the low electrical resistance and high ion selectivity. As a result, the desalination performances of the CDI were largely improved by employing the ionomers-carbon composite electrodes.(No. 10047796)
        3377.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 친화 흡착 및 분리 가능한 기능성 필터를 개발하기 위해, 직경이 3μm이하를 가지는 부직포 표면에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평막형태의 혈액분리용 필터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는 고분자 농도, 유량, 인가전압, 에어갭 등의 변수를 조절하여 나노/마이크로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분리막의 단면과 표면 모폴로지는 전계방출형주사현미경(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친수성을 증가시켰으며, 혈액적합성 평가결과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378.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Hummers 법으로 제조된 산화그래핀(GO)를 활용하여 Poly(vinylidene fluoride)(PVdF)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고 수처리 적용을 위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PVdF/GO 나노섬유 분리막의 제조는 나노섬유 지지막에 다양한 농도로 분산된 GO용액을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법과 고분자 용액에 GO를 도입하여 혼합 방사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공크기 제어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처리공정을 진행하였다. 도입방법에 따른 수투과 특성 및 접촉각 등 특성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3379.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주위에서 취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PP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복합막을 제작하였으며, 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엽록체의 도입 방법에 따른 실험에서 딥 코팅법과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하였으며, 밀폐된 용기와 진공오븐내 초를 이용한 연소시험에서 스프레이 코팅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엽록체 활성증가를 위해 nylon6/6 나노섬유를 부직포 위에 전기방사하여 지지체를 제조 후, 엽록체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소발생용 분리막 및 공기청정기용 필터소재로의 응용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380.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전기전자산업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첨단소재로서 희소금속 및 유가금속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습식제련공정에서의 모액은 황산용액 상태이며, 모액중의 유가금속(Cu, Zn) 및 희소금속(In, Se, Re 등)은 보통 수 ppm에서 수 % 단위로 용해되어 있다. 종래에 방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폐기물이 다량 발생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반면 막분리 공정을 이용하면 친환경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산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실록산 블렌딩 나노여과막을 제조하고, 제조된 막의 구조적 특성 및 투과분리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조된 분리막을 15 wt%의 황산용액에 대하여 내산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