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3

        6462.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실험적으로 연구할 경우, 실험장비의 용량과 실험모형의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축소모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의 지진응답은 비탄성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거동예측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축소모형의 지진실험 결과로부터 원형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유추하기 위한 상사법칙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소모형 제작 시 상사율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부가질량이 증가하며, 또한 굵은 골재 크기의 영향으로 원형구조물과 축소모형의 제작에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사법칙은 기하학적인 상사율과 재료적인 등가탄성계수비에 의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구조물과 축소모형에 각각 적용되는 normal-concrete와 micro-concrete의 재료 비선형성을 파악하기 위해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여, 재료의 거동구간을 극한 변형률을 기준으로 등가의 다단계로 나누어 등가탄성계수비를 적용시킴으로써 지진손상의 정도를 고려할 수 있는 equivalent multi-phase similitude law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상사법칙을 고려한 유사동적실험 알고리즘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적인 검증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column에 대하여 원형구조물과 1/5축소모형을 재료시험에서 정의한 등가탄성계수비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검증실험에서는 constant modulus ratio와 variable modulus ratio를 적용하여 준정적실험과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한 결과, equivalent multi-phase similitude law를 고려한 유사동적실험 알고리즘에 의한 축소모형의 응답결과가 원형구조물의 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재현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6464.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북한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TIMSS의 분석틀에 따라 비교하고 그 연계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은 TIMSS 지구과학 영영 내용 분석틀의 학습요소들을 상당히 많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그 내용의 수준과 범위는 한국의 교과서가 북한의 교과서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IMSS의 지구과학 영역 내용 분석틀의 내용요소 총 70개 중에서 한국은 74.4%에 해당하는 52개의 내용요소가, 북한은 67.1%에 해당하는 47개의 내용요소가 초 · 중등학교에 각각 반영되어 있고, 학교급간 관련 정도는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간의 관련성이 높은 반면에 북한은 고등학교 내에서의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요소의 연계성 유형은 한국의 경우 13.4%가 중복, 77.0%가 연계, 9.6 %가 격차를 보였다. 그리고 북한은 14.9%가 중복, 63.8%가 연계, 21.3%가 격차를 보였다. 이로써 한국의 과학 교과서의 내용이 북한에 비해 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TIMSS의 지구과학 내용요소가 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고, 내용(개념)의 연계가 보다 잘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4,000원
        646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Wolf Motor Function Test는 상지와 손기능 검사를 위해서 개발된 도구이며 국외에서는 이미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이루어져 널리 쓰이고 있고 이러한 WMFT를 한글화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상지 및 손기능 장애의 평가와 재활의 기초선을 마련코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 발병 6개월 이상된 성인 편마비 환자로 평균 연령 54.45세의 남자 12명, 여자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으며 이들은 기능성 정신질환이나 기질성 정신질환이 없는 환자이며 오른쪽 마비12명, 왼쪽 마비 8명으로 모든 환자의 우세손은 우측이었다. 본 검사를 위해 1명의 작업치료사와 1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번역 작업이 완성 되었으며 3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가진 1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밝고 조용한 평가실에서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이미 신뢰성 및 타당도가 입증된 Fugl-Meyer Assessment(FMA)를 이용하였으며 WMFT를 이용해 수행시간과 기능 점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 한글판 WMFT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MA와 비교한 결과 수행시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80, 기능적 점수와의 상관계수는 0.94로 둘 다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한글판 WMFT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수행시간에서 0.92, 기능적 점수에서 0.96으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WMFT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치료의 효과 측정과 더불어 상지와 손기능 장애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4,300원
        6469.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치료 후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항목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2003년 1월 2일부터 동년 10월 30일까지 전주 예수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시지각 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1일 30분씩 6주 동안 총36회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시지각 평가로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인지기능은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MMSE-K), 일상생활 활동은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시지각 치료 전․후 MVPT 원점수, MMSE-K, MBI 총점수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였으며(p<0.01)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변수간의 관계성에서 MVPT 원점수는 MMES-K와(p<0.01), MBI 총점수와(p<0.05)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MVPT 시지각 수행속도는 MMSE-K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결론 : 시지각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회복 및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회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이들 항목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4,600원
        6477.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