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the tested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e pathogens and food-related microorganisms. In order to isolate and purify of antimicrobial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s,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ethanol extract which exhibit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purified by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mong the fractions fractionated by 4 kinds of solvents from the ethanol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Unknow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nd the compounds showed strong absorbance at 207, 217 and 285 nm, therefore, it was supposed to be a kinds of aromatic compound.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외교관계가 정상화된 이후,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는 급속하게 증가하여 현재 중국은 한국의 최대투자대상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중국투자역사가 짧은 관계로 중국진출에 관한 기존연구는 주로 투자동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투자환경이나 전략, 나아가서 성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하에서 한국투자기업의 대중국투자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환경-성과, 그리고 전략-성과, 나아가서 환경과 전략-성과라는 분석체계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한국투자기업들은 짧은 기간이기는 하지만 경영성과에 대해 비교적 불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들의 투자성과는 중국의 환경과 중국내에서의 현지경영 전략에 의해 달라진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즉, 한국투자기업들은 중국특유의 환경, 그 중에서도 사회문화적 환경때문에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어려움은 경영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투자기업들은 현지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경영전략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종업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자본주의적 인사관리가 경영성과를 높이고 있다는 사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볼 때, 대중국투자를 희망하는 한국기업들은 현지법인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먼저 중국시장에 대한 철저한 환경조사를 선행하여 중국특유의 환경에 대비해야 하는 동시에 중국 현지시장에 적합한 다각적인 경영전략을 수립 시행해야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at bran addition on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dry matter digestibility(Dh4D) of rye silage. This hexbage was ensiled by the conventional methods in small glass silo of 0.82 liter with addi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etermination of survival of vitrified and thawed mammal follicular oocytes by FDA-test. Oocyt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attachment of cumulus cell. Group A oocytes were tightly surrounded by cumulus cell, group B oocytes were partially surrounded by cumulus cell, and group C oocytes were poorly surrounded by cumulus cell. Vitrification solution developed by our previous study (Kim et al, 1992) which consisted of permeable agent (20 % glycerol + 10 % ethylene glycol) and nonpermeable agent (30 % Ficoll + 10 % sucrose). Oocytes (7~10) loaded into 0.25 ml straw after 10 min equilibration were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 196) directly. The FDA-score of vitrified and thawed group A oocytes was higher in rat (4.2) than in rabbit (3.9), cow (3.8), mouse (3.4) and porcine (2.4), however that of cumulus cell was higher in rabbit (4.7) than in rat (4.1), cow (2.9), porcine (2.6) and mouse (1.4). The FDA-score of vitrified and thawed group B oocytes were 3.1 (cow), 2.9 (rabbit), 2.9 (mouse), 2.6 (rat) and 2.5 (porcine), respectively. However that of cumulus cell was higher in rabbit (3.7) than in porcine (2.6), rat (2.3), cow (1.7) and mouse (0.3). The FDA-score of vitrified and thawed group C oocytes was higher in mouse (4.1) than in cow (2.9), rabbit (2.6), rat (1.3) and porcine (1.1). 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e survival rates of oocytes were high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and C except in mouse and c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vival of cumulus cell as well as follicular oocytes can be reliably judged by their fluorescence with FDA-test.
The rate constant of Nucleophilic addition of sodium thiophenoxide to nitrone were determined by UV Spectrophotometry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was obtained. Base on the rate equation, general base effect, substituent effect and final product, plausible mechanism of addition reaction have been proposed. Blow pH 3.0, the reaction was initiated of thiophenol, and in the range of pH 3.0~10.0, proceeded by the competitive addition of thiophenol and thiophenoxide anion. Above the pH 10.0, the reaction proceeded through the addition of a thiophenoxide anion.
The rate constant of the nucleophilic addition of 1-propanethiol to α-phenyl-N-iso-propylnitrone derivatives were determined at various pH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is obtained. Final product of the addition reaction was α-thiopropyl-p-phenylbenzylideneamine. Base on the rate equation, general base effect, substituent effect and final product, plausible mechanism of addition reaction have been proposed. Below pH 3.0, the reaction was initiated by the addition of 1-propanthiol, and in the range of pH 3.0-10.0, proceeded by the competitive addition of 1-propanethiol and propanethiolate. Above the pH 10.0, the reaction proceeded through the addition of propanethiolate.
To prepare a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 quaternized octadecyl methacrylate-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s a mother resin and quaternized 1, 3-dioctadecyl-2, 7-dioxy-6, 8-di(2-hydroxyethyl)-1, 3, 6, 8-tetraazacyclodecane which increase the softening effect and the hydrostatic pressure blended with waxes and their emulsifier in various proportions to give water repellent PADWC. A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water repellency, washable, tear strength and crease recovery to polyestercotton(P/C) blended fabrics treated with PADWC only or addition of textile finishing resin,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lowering effect in water repellency when PADWC was treated the antistatic agent by the one-bath method, and the effect of water repellency by the adding the catalyst was studied. PADWC was confirmed as durable water repellent with the results of making little difference of water repellency as ±5 point after and before washing.
Spin finish(SF) for nylon filament was prepared. The influence on the properties of filament obtained by treating the prepared spin finish in this study(SF-2) and foreign-made spin finish(Spinnar N-100) was compared. SF-2 prepared by blending of spindle oil 70g, paraffin wax 10g, glyceryl mono-oleate 5g, POE(6) nonylphenyl ether 4g, POE(10) nonylphenyl ether 4g, POE(10) octylphenyl ether 2g, POE(14) mono-oleate 4g and water 1g was excellent in its characteristics. Some of the properties of Nylon filament treated with SF-2 were better than those treated with Spinnar N-100. Also, optimal physical conditions of nylon fila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 of oil roller were obtained at conditions of 5rpm of number of revolution oil roller, 1.25% of SF-2 oil pick up, and denier 69D.
이 연구에서는 전보에서 어군의 유영공간을 3차원으로 고려하여 제안한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치 모델의 잔차에 대한 백색성검정 및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형 그물이 없는 경우와 모형 그물이 있는 경우 모두 잔치의 평균이 0에 가까우며, 그 표준편차는 대체로 ±7 이내로서 잔차의 거동이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수가 5마리 이상이고 유속이 20cm/sec 이하인 경우에는 수치 모델에 의한 잔차의 자기상관함수가 95%의 유음수준에서 유음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잔차는 백색잡음의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수치 모델은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에 대하여 어군의 유영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영궤적, 수조벽과 개체 사이의 거리, 유영속도, 유영 깊이, 개체상호간의 최근접거리 등을 비교하면,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그 경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군의 유영공간을 3차원으로 고려하여 유속의 변화에 따른 어군행동의 추정이 어느 정도 가능해짐으로서, 앞으로 보다 발전된 모델링 기법을 도입하면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서는 실험의 편의를 위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유향과 유속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 방향의 일정 유속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환경요인, 공간상의 환경조건 및 어군의 규모에 의한 차이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현단계에서의 과제는 축양장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어군행동의 예측, 제어등이 가능하도록 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어군행동의 추정 및 제어등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어군행동의 모델링 기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모델을 작성하고 유속이 있는 실험수조에서 유영하는 무지개송어를 대상으로 개체 및 어군의 3차원 위치 시계열 데이타를 이용하여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 모델의 파라메터를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하였다.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모델의 개체수 및 유속에 따른 파라메터 값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추정한 파라메터 값을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되게 파라메터를 표준화하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의 전방추진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a*는 개체수 및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개체 사이의 영향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b*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대체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성군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c*는 개체수 및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수조의 벽이나 바닥 등에 대한 반발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w+*|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소 커졌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수조의 벽이나 바닥등에 대한 유인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w+*|는 개체수에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저항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v*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소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생양극법에 의한 발전소 복수기 수실의 음극방식 효과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복수기는 해수설비중의 하나로 여러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방식을 하지 않은 경우 수실과 tubesheet와의 갈바닉 부식이 심하게 발생되며, 수실벽과 갈바닉 부식이 심하게 일어나는 부위에 희생양극을 부탁하면 많은 방식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치해석 결과의 타당성 검토로서 model test를 행한 결과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치가 잘 일치하였다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position) TiN 박막을 다양한 온도와 압력에서 tetrakis-dimethyl-amino-titanium(TDMAT (Ti[N(CH3)2]4))의 자체 열분해와 NH3와의 반응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비저항은 박막내의 불순물 함량에 의존하였는데 특히 XPS curve fitting 결과 주요 불순물인 탄소와 산소 같은 불순물들이 박막내에서 다양한 침입형화합물을 만들어 박막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Metal-organic source만을 사용하여 TiN을 형성할 경우 지름이 0.5μm이고 aspect ratio가 3:1인 구멍에서 step coverage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NH3를 흘림에 따라 step coverage가 감소하는 것이 SEM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각각의 활성화에너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dentify college students' patronage behaviors, (b)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s university foodservices management practices, (c) determin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s the four typ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and (d) provide recommendations on marketing strategies for university foodservice. Questionnaires were hand delivered to 600 Yonsei University students by designated coordinators. A total of 549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an 93.3% response rate.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28 to December 4, 1995.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χ2 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st (88.3%) of students were patronizing university foodservices for lunch. Underground student foodservice (40.1%) and Restaurants outside the campus (33.7%) were primarily used for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Eighty six perc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1 to 2 meals per day at university foodservices. The reasons given by students for patronizing university foodservices were as follows: location, time, price, menu, taste.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least satisfied with hygiene, taste, menu and atmosphere. Data indicated strong support for eight priori dimensions in terms of food, menu, atmosphere, hygiene, employee attitude, facilities and convenience. After the factor analysis, price, fast service and foodservice location attributes were rearranged, combined and created a new dimension called as 'access'. Three dimensions in terms of menu, hygiene, convenience were important to students although performance was perceived as poor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ost of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all four typ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In terms of food quality and price which university foodservices offer, most of respondents were moderately satisfi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93.31% of the variance respondents' satisfaction score could be explained by food, menu, price, atmosphere, hygiene, employee attitude, facilities, and convenience dimen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