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online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based on big data analysis methods. The customer cluster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analyze customer purchase patterns and segment them into customer group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Data was collected from orders placed over one year in 2023 at ‘Jeonbuk Saengsaeng Market’, the official online shopping mall for agricultural, fish, and livestock products of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means clustering was conducted by creating variables such as ‘TotalPrice’ and ‘ElapsedDays’ for analysis. The study identified four customer groups, and their main characteristics. Furthermore, regions corresponding to customer groups were analyzed using pivot tables. This facilitated the proposal of a marketing strategy tailored to each group’s characteristic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online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reliance on the intu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to operate a shopping mall, instead establishing a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big data analysis.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outlin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boost sales.
미술 작품의 가치에 대한 무수한 담론은 시대를 아우르며 형성되어왔다. 현대 미술계는 20 세기 이후로 급진적으로 변화하여 다양한 유통 체제가 발전하였고 시장은 미술품의 생산과 소비 뿐 아니라 작품의 본질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미술작품의 상품화 경향이 심화되며 현대미술과 자본과의 관계에 대한 쟁점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계에서 미술품의 상업적 가치가 작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현상에 대하여 부정적 결론을 도출하기 이 전에 미술 작품의 가치 평가가 어떠한 이론 과정을 통해서 정의되어 왔는지, 작품의 본질적, 상업적, 사회적 가치를 살펴보고 관계적 가치에 대해 모색한다. 또한 예술제도론을 토대로 미술 작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예술계의 체계를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 시장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가치 형성 체계의 주체를 후원자, 화상/비평가, 경매로 정의하고 현대 미술계에서 자본과 상호작용하며 시대에 맞게 진화해나가는 미술계를 고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nglish teachers percei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antity and level of conten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 order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ified curriculum,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nglish teach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ross Korea.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ere also consulted for guidance regarding the appropriate quantity and level of conten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believe that the quantity and level of content are mostly appropriate for students. However, responses related to the appropriatenes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reading and writing were less positive than those for listening and speaking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grades 5 and 6 and middle school grades 1 to 3. In general, methods of optimizing reading and writing content in the English curriculum are discu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ungi, which is used as a breakfast or health food. We manufactured lotus root starch and Eungi by a traditional method and discovered that the viscosity of Eungi with 4-5% starch content was similar to fermented milk. Wh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a Eungi beverage combined with different amounts (0.5, 1.0, 1.5, and 2.0%) of lotus root starch were investigated, consumer acceptability was highest with Eungi combined with 0.5% starch and 6% sugar. Wh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Eungi beverage combined with different extract bases were investigated, the acceptability of taste and texture was highest with purple sweet potato extract and the acceptability of color was highest with omija extracts.
The effort to understand customer is essential and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is needed in today's intensively competitive environment of restaura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customer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to identify relatively important attributes for overall satisfaction in restaurant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32 customers at 78 family-style, pizza and fast food restaura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for t-test, ANOVA,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ur and six- dimensional structures were established from 25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ttributes, respectively. 2) Demographic variables and usage characteristics didn't affect on service quality expectation, but expect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taurant. 3) Expectation/satisfaction matrix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3 types of restaurant. 4) 'Quality of food' and 'atmosphere' were the most relatively important attributes for overall satisfaction in restaura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measure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with five facets of a job: the work itself, promotion, pay, supervision and co-workers, 2) investigate the degree of job characteristics inventory which employees perceived, 3)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levels of the employees in hospital foodservice, 4) measure the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vestigate its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characteristics, 5)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es in hospital foodservic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modifying Job Descriptive Index developed by Smith, Kendall, Hulin and Job Characteristics Inventory developed by Sims, Szilagyi, Keller and Affective commitment Scale developed by Meyer and Allen. Subjects consisted of 76 employees in hospital foodservic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means,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AS P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41 years up(39.5%) and married (92%). High school graduates were 59.2%. 10 years working experienced employees were 35%. 2)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44.7%) ranked work itself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3) They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co-workers. 4)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wage, and supervision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age(p<0.05). 5) Task identify was the most prevalent job characteristics and then task identity. 6) Satisfaction with co-workers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variety(p<0.05).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promotion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friendship(p<0.05). 7) Job satisfaction have not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co-work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p<0.01). 8) Job characteristics of dealing with ot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performance (p<0.05). Job characteristics of variety, autonomy, task ident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p<0.05, p<0.0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dentify college students' patronage behaviors, (b)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s university foodservices management practices, (c) determin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s the four typ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and (d) provide recommendations on marketing strategies for university foodservice. Questionnaires were hand delivered to 600 Yonsei University students by designated coordinators. A total of 549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an 93.3% response rate.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28 to December 4, 1995.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χ2 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st (88.3%) of students were patronizing university foodservices for lunch. Underground student foodservice (40.1%) and Restaurants outside the campus (33.7%) were primarily used for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Eighty six perc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1 to 2 meals per day at university foodservices. The reasons given by students for patronizing university foodservices were as follows: location, time, price, menu, taste.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least satisfied with hygiene, taste, menu and atmosphere. Data indicated strong support for eight priori dimensions in terms of food, menu, atmosphere, hygiene, employee attitude, facilities and convenience. After the factor analysis, price, fast service and foodservice location attributes were rearranged, combined and created a new dimension called as 'access'. Three dimensions in terms of menu, hygiene, convenience were important to students although performance was perceived as poor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ost of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all four typ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In terms of food quality and price which university foodservices offer, most of respondents were moderately satisfi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93.31% of the variance respondents' satisfaction score could be explained by food, menu, price, atmosphere, hygiene, employee attitude, facilities, and convenience dimensions.
본 연구는 다산의 목민론을 중심으로 가르치는 자의 마음가짐과 자세, 그리고 교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민의 직을 수행하는 목민자는 그 근본인 백성을 위해 존재하고[爲民], 백성을 사랑으로 길러야 하며[愛民], 백성을 두려워해야 한다[畏民]. 마찬가지로 가르치는 자로서 교사 역시 교육의 과정에서 배우는 자가 그 근본임을 명심하고, 배우는 자를 사랑하고 나아가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목생자(牧生者)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가르치는 자는 배우는 자들이 내적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그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信] 그들의 후천적 익힘을 충분히 도와야 한다[助]. 목민자에게 백성들의 개전성(改悛性), 즉 변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듯, 교육의 과정에서 가르치는 자에게 배우는 자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조력이 필요한 것이다. 결국 가르치는 자는 배우는 자에 대해 ‘신뢰자’이자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배우는 자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여 개개인의 자질, 처지 등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교육적 조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목민자는 반드시 먼저 자기를 닦고[修身] 이를 토대로 백성을 다스려야 하듯[治民], 목생자로서 교사 역시 우선 자기를 간단없이 성찰하고 이를 토대로 교직에 임해야 할 것이다. 결국 백성을 다스리는 목민자의 역할은 교육의 과정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과 상통하는 것으로, 교육은 바로 목생의 과정이고 가르치는 자는 목생자이다. 특히 목민할 마음은 있으나 몸소 실행할 수 없음을 안타까워한 다산의 토로는 오늘날 목생자로서 가르치는 자에게 그 마음가짐과 아울러 실행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한다.
“교수와 훈도는 교양을 일삼지 아니하고 집에 물러가 있고, 관찰사와 수령은 이를 검찰하지 않는다.” 15세기 당시 향교 교육의 일단을 보여주는 이 구절은 가르치는 자, 즉 교관의 자질과 이들에 대한 엄정한 고과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본 연구는 향교 교관에게 요구된 자질과 그 고과의 기준을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교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관은 깊이 있고[精熟] 폭넓은 학문[博學]을 섭렵하고, 나아가 학문의 방향을 알고[知方] 그 방향으로 배우는자를 이끌어야 한다. 아울러 매사에 마음을 다하여[專心] 부지런하고 성실해야 하며[勤慤], 몸가짐을 신중히 하고 행실을 삼가야 한다[自重心]. 다음으로 이러한 자질을 구비하고 그 역할을 잘 수행 하는지 교관에 대한 고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매월말 교훈한 경서, 생도의 수학 정도 등을 중심으로 학문의 우열(優劣), 그리고 실제로 출근한 것과 신병과 휴가 등 사고로 결근한 것 등을 중심으로 교회의 근만(勤慢) 등을 고과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당시 교관들 중에 학술은 가르치기에 부족했고 기개는 좌절되고 퇴폐된 자질 부족의 교관들이 적잖았고, 이들에 대한 관찰사의 고과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끝으로, 자질 항목과 고과 기준에서 드러나듯, 교관의 자질과 고과는 ‘덕’(德)과 ‘재’(才) 두루 아울러야 하지만, 특히 교직의 도덕적 감화와 실천의 중요성에 비추어 그 도덕적 자질 구비는 절실하며, 이는 고과에 있어서 ‘현부’(賢否)에 대한 고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고려시대 가르치는 자에 대한 호칭은 박사, 조교, 문사, 의사 등 관직명을 비롯, 함장, 사장, 사유, 선생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여기서 문사, 의사, 사장, 사유 등 가장 자주 등장하는 ‘사’에는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데, 가르침[敎]의 의미 외에도 다스림[治]의 의미, 능통함 [能]의 의미가 그것이다. 이는 가르치는 자의 임무와 자질에서도 계속 나타난다. 교유를 돈독히 하고 경의를 강론하여 가르치고 이끄는 임무에는 인지적 영역의 가르침 외에도 정의적 영역의 다스림, 활동적 영역의 능통함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가르치는 자의 자질로 ‘문학’, ‘경학 우장’, ‘경명’, ‘박학’ 등은 인지적 영역, ‘경행수근’, ‘석덕’, ‘행수’, ‘근민’, ‘효렴방정’ 등은 정의적 영역, ‘박달’ 등은 활동적 영역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고과나 포폄의 기준을 보면, 과거응시자가 있는지, 가르침에 성효가 있는지 등 인지적 영역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당시 가르침은 단지 문예를 가르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물음을 던지고 어려운 부분을 서로 논란하게 하는, ‘문난’(問難)하는 교육이다. 경전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밖에서 안으로의 교육’이 아니라, 어려운 부분에 대하여 서로 논의하게 하고 의문점을 토론하도록 이끄는 ‘안에서 밖으로의 교육’은 오늘날 가르치는 자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임무라 하겠으며,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준다. 가르침[敎,인지적 영역]-다스림[治,정의적 영역]-능통함[能,활동적 영역] 세 가지가 조화를 이 루어 간절하게 묻고 생각하는 ‘절문근사’, 스스로 물음을 던지고 논란하게 하는 ‘문난’하는 교육 을 열어가야 하겠다.
『증보문헌비고』 학교고에도 일렀듯이, 인간에게는 아름다운 재질(잠재력)이 있는데 그러한 재질을 길러내고 성취케 하는 것은 가르치는 자 곧 학관의 역할이다. 그리하여 일찍이 문종(1063)은 국자감 학생들의 학업 태만의 책임이 학관에게 있음을 분명히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고려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 학관에 관한 것으로, 그 명칭, 직제, 자질, 고과 등을 통해 당시 학관의 모습을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자감에는 정7품에서 정8품의 유학박사와 종8품에서 종9품의 기술박사, 그리고 종9품의 조교외에 경사교수, 사장, 사유 등으로 불리는 학관이 있었다. 국자감의 직제는 대체로 행정관리직, 유학교수직, 기술교수직, 사무직으로 대별된다. 문종조 기록을 중심으로 볼 때, 행정관리직으로 제거, 동제거, 관구, 판사, 좨주, 사업, 승, 주부 등이 있었고, 유학교수직으로 국자·대학·사문 박사, 조교 등이 있었으며, 기술교수직으로 율·서·산 박사 등이 있었고, 사무직으로 서사와 기관 등이 있었다.
또한, 학관의 자질로는 경명(경전에 통달하고 서적을 두루 읽은 유자, 경전에 밝고 널리 통달한 자, 경학과 제술에 뛰어난 선비 등), 행수(부지런하고 민첩한 자, 덕행을 부지런히 닦아 모범이 되는 자 등), 노성(노련하고 성숙한 자) 등이 중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교관들 중에는 육경 중 겨우 한 두 가지 경에 통할 뿐인 전문적 자질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학관의 평가 기준은 제자의 수, 과거응시자수, 강의과목수, 실제 근무일수, 각종 휴가일수 등이 있었다. 일찍이 목종(1003)이 학관의 교육이 점점 나태해지는 것을 염려하여 박사·사장으로서 생도를 권장하여 근로한 공로가 있는 자를 이름을 기록하여 올리도록 했는데, 특히 부지런히 좋은 가르침을 행한 학관의 경우 순번을 뛰어넘어 관직에 발탁한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예나 지금이나 교육의 성패는 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하여 가르치는 자의 역할을 중시했다. 조선시대 중등 관학인 사학에는 교관, 학관, 사유, 학교수 등으로 불리는 교육을 담당하는 자들이 있었다. 교관제는 겸임제와 전임제가 번갈아 시행되었는데, 계속된 교관 증원 요청에서 볼 때 충분한 교관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교관직은 승진과 출세가 어려운 한직으로 보아 이를 기피했고, 이는 교관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자들이 교관직에 나아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교관의 자질로는 경명, 행수, 그리고 노성 등이 중시되었는데, 인지적 측면에 관한 ‘경명’과 정의적 활동적 측면에 관한 ‘행수’ 외에 대체로 ‘노성’ 즉 나이가 많은 사람을 선호했는데, 이는 다른 자리로 옮겨야겠다는 생각에 가르치는 데 마음을 다하지 않는 젊은 선비들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교관에 대한 평가는 교관 자신의 근만 뿐 아니라 유생에 대한 평가도 병행되었는데, 거재하는 생원은 몇 명이고 유학은 몇 명인지 유생수와 유생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때로는 무시로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평가 결과에 따라 포폄을 가하거나 바로 발탁하여 등용하기도 하였으며, 때로 유생들의 유임 요청이 있을 때는 이를 받아들여 유임키도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근무 여부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려워 다른 방법을 강구토록 하는 등 교관 평가에도 한계가 있었던 듯하다.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경명과 행수를 갖춘 교관이 교육자로서의 긍지와 사명감을 갖고 교육에 임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그러나 당시 사학의 겸임교관제, 부실한 교관 공궤, 교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국 교육 부진으로 이어졌다.
My study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musical scholarship and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Korean music and histor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a new form of rhetoric and strategy for both historical and ethnographic studies of Korean music. By exploring the various attempts of earlier scholars to establish indigenous musical scholarship, my study details how musical scholarship can symbolically represent the core of historical tension and amnesia which has resulted in conflict between indigenous vs. foreign, tradition vs. modernity, and past vs. present in modern Korean society. Following the spirit of Michel Foucault’s dialogics and micropolitics, my study explores the following theme: why and how academic discourses have played an ambiguous role in encouraging, and at the same time discouraging monolithic and canonized language use and scholarly convention. Furthermore, my observation on discourse reveals the interaction produced between power and resistance in the larger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concomitant processes of de-institution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