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9

        20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 present, the actual condition is that Korean modular structures are limited to a low rise detached house and military barracks. And there is no standardized structural design method of stacked modular structure. Accordingly, in general, they don't review impact force in the stage of stacking and installing a module, the effect which wind load has on a structure in the stage of lifting, and inertial force occurring in the stage of lifting or transporting a modu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ystem to be studied in stages, and decided on the position to which load was applied and boundary condition in structural analysis at each construction stage. Besides, inertial force according to each speed was calculated in the lifting and wheeled transport of module. And we calculated impact load according to lifting speed in module stacking and installation work and wind load due to instantaneous wind speed in the installation work by lifting. On the basis of the suggested method, in the modular system to be studied, it carried out review of structure by changing determining conditions of load being applied by construction stage, such as in the stage of lifting, in the stage of transport, and in the stage of installation, and drew construction conditions securing stability structurally.
        20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화물 운송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륙지역의 화물운송량 예측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 지만 종래의 기종점 자료(O/D Data)는 화물 운송수단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조사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는 화물의 운송 특성을 제대로 반영시 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화물의 운송은 단순히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화물을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화물운송 도중에 운송수단을 변경하거나 화물의 임시 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화물운송모형에서는 중간 경유지(물류센터 또는 내륙컨테이너기지)를 포함시켜야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간 경유지를 고려한 기종점 자료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물류센터를 고려한 화물운송 경로에 대한 모형을 제 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화물운송 경로모형은 각 구간별 운송계수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화물량을 예측하는 모형으로서 유전 알 고리즘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고 오차의 범위가 ±1.0%이내로써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204.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라지차, 가자미, 생강, 마늘, 엿기름을 1차로 숙성한 후 쌀과 조를 동량 혼합하여 지은 밥, 무채, 고춧가루를 다시 혼합하여 완성한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를 30일간 저장하면서 발효 특성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을 제외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에서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점차 감소하는 것에 비하여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는 0일차에서 3일차까지 밥식해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 7일차부터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세균수의 경우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숙성 15일차부터 현저한 증식을 보였다. 저장 8일차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맛에서 새콤한 맛을 제외한 전체적인 맛, 달콤한 맛, 짠 맛, 매운 맛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색을 제외한 전체적인 기호도, 맛, 향기, 식감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밥식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차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식해의 발효와 맛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205.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recast concrete (PC) beam and column connection system using non-prestressed wire strands was recently developed. The system is composed of one unit of two-storied PC-column and PC-beams with U-shaped ends.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lumn and beams is reinforced by deformed bars and non-prestressed wire strands in combination for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Structural performance of this system was verified by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design concept of the beam reinforced by deformed bars and non-prestressed wire strands in combination, in terms of the cross-sectional analysis, based on the preceded experiment. A minimum and maximum reinforcement ratio and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strength of flexural member reinforced by reinforcements having different yield strengths are derived based on KBC2009. Under consideration existing research results for the application of high strength reinforcement bars, the design yield strength of the non-prestressed wire strand is suggested. An example for the cross section design, satisfying the serviceability requirements,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concept developed in the study.
        20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백두산 화산 분출시 화산재의 확산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산재 확산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인 Puff, Fall3D, Tephra 모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세 가지 프로그램의 구성 및 설치환경, 기본적인 특성파악 및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을 위한 입력 조건을 비교하고 각 모델의 계산 결과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207.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전반에 걸쳐 학습내용 요소 및 주요 개념을 설명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는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학습내용 요소를 대수,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영역별 공통 단원 중에서 주요 개념의 설명 방법이 다른 것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념을 소개한 후 체계적이고 형식적인 수학적 지식의 측면을 강조하여 형식화, 공식화하는 경향이 있는 한국과 달리 핀란드의 경우 기본적인 개념 설명과 그 개념에 따른 대표적인 예제 1~2 문제만 풀고 많은 문제를 연습문제로 남기는 등 한국에 비해 양적으로 적고 난이도가 낮은 편이며 덜 형식적이고 보다 직관적임을 알 수 있었다.
        20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에서 오는 직무 스트레스와 개인 내적 요인인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등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고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 스트레스는 적응 유연성의 하위 척도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 효능감은 적응 유연성의 하위 척도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낮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자신감과 대인관계 효율성이 낮을수록, 낙관적 태도가 부족하고 분노 조절을 못할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 유연성의 하위 요인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는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적,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탐색과 더불어 이를 매개하는 개인 내적인 적응 요소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209.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교사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교사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또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심리적 소진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은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지각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에 따라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적응 유연성의 주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적응 유연성이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21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
        21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필 검사와 면담을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특성을 「얻으려는 자료에 대해 미리 기술하기」,「얻은 자료를 정돈하고 압축하기」,「자료의 특성을 요약해 표현하기」,「자료를 분석․해석하기」의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통계적 자료에 대해 시각적인 요소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뚜렷했으며, 중심 경향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지 못함으로 자료의 해석에 어려움을 가졌다. 또 학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범위와 같은 자료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에 대하여도 자연스럽게 비형식적 개념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 자료를 스스로 자료의 사용목적과 문맥에 적합하게 분류, 정리하는 데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러 개의 그래프를 동시에 고려하여 자료의 문맥과 상황을 바탕으로 해석하거나 추론하는 데는 큰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213.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의 보존기한 연장 및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포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와 의 저장조건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일반적인 품질특성 및 관능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포도에 대한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총당, pH, 적정산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일반 품질 특성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미생물분석 결과 포도의 초기 오염미생물을 약 단위() 감소시키는 미생물 제어 효과
        215.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모르타르 패널을 철근콘크리트 보부재의 전단 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보강재의 종류와 보강량, 탄소섬유시트의 간격을 변수로 가력실험을 수행하고 부재의 구조적 성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에폭시 모르타르 패널을 철근콘크리트 보부재의 전단 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한 설계 방법은 , , , 의 합으로 전단강도를 가정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실험값/제안값의 평균값은 1.10, 표준편차는 8.16%로 나타났다.
        216.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사과로부터 분리, 동정한 P. crustosum과 patulin 생성균주인 P. griseofulvum(ATCC 46037)에 대하여 malt extract broth(MEB), sucrose yeast broth(SY) 및 5% glucose, yeast extract, peptone(5-GYEP) broth를 이용하여 생육정도와 독소 생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균체 생육도와 독소 생성능과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배양액의 pH에 따른 균체
        217.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초기균열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혼화재료를 혼입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분석한 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변수를 가진 시편에 대해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혼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률로 설정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30%로 고정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를 치환한 경우에는 자기수축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기수축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혼입량이 클수록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혼화재료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자기수축 예측식은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21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α-pinene, limonene + β-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α-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γ-terpinene, germacrene-d, (E,E)-α-farnesene, β-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α-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γ-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219.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복제기술은 매우 낮은 성공률 나타내고 있어 실용화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후생적인 유전현상인 reprogramming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다(Reik et al., Theriogenology 2003, 59: 21-32; Han et al, Theriogenology 2003, 59: 33-44). 체세포 핵이식 후에 태아사망의 원인이 태반의 비정상적인 기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