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01.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ramic welding backing material is a mullite-cordierite composite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for welding processes in plant and shipbuilding. It is the optimal material for welding processes thanks to its extremely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strong resilience against high temperature. However, due to the pollutants from welding such as iron and carbon, the entire amount of ceramic welding backing material is being land-filled after a single-time use. In this study, ceramic welding backing material was mixed with clay and kaolin to be used as a new ceramic body. A composition with 20 ~ 50% of ceramic welding backing material showed sufficient plasticity, and when fired at 1,250oC, it was deemed available for ceramic block and others with the porosity of 2.27 ~ 5.94%, water absorption ratio of 0.99 ~ 3.96% and bending strength of 720 ~ 810 kgf/cm2. In addition, color ceramic body, which was made from a waste welding backing material, of which iron was partially removed, added with 3wt% of high temperature pigment and fired at 1,250oC, displayed the unique color of the pigment, meaning that waste welding backing material could be used for ceramic bodies of a variety of colors.
        104.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붉은장목수수(Sorglum Bicolor M.) MeOH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항산화(DPPH assay, 환원력,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당뇨(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lyase 저해활성), 항암(MTT assay) 활성을 관찰 하였다. 항산화활성의 경우 EtOAc fraction이 높은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assay와 reducing power 결과 역시 EtOAc fraction과 MeOH fraction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α-tocopherol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α-Glucosidase, α-amlyase 저해능 평가 결과 D.W. fraction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n-BuOH fraction과 MeOH extract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인 AGS, HT29, HCT116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연구인 MTT assay에서는 EtOAc, n-BuOH, D.W. fraction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독성을 보였으며 이중 n-BuOH fraction이 모든 세포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붉은장목수수의 추출물 EtOAc fraction의 항산화활성, D.W. fraction의 항당뇨활성, n-BuOH fraction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과 관련된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규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normal cell에 대한 MTT assay를 진행하여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붉은장목수수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개발을 통해 건강 증진과 질병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0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정보는 학술적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정책평가 영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이론에 근거하여 수종별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국가산업단지 및 지방산업단지 등에 위치한 제조업체 1,017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을 시도하되 원수·침전수·정수 등 수종별로 구분된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말 기준 공업용수의 수종별 한계생산가치는 정수가 1,861.95(원/m3), 침전수가 896.76(원/m3), 원수가 769.24(원/m3)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개발연구원이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연구(제4판)의 보완을 위한 공업용수 공급편익 산정요령 가이드라인(2011)에서 2003년 산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제시한 공업용수 침전수의 한계생산가치 885.1원/m3(침전수, 2010년 말 기준)과 비교할 때 별 차이가 없다. 이러한 점은 현재 한국개발연구원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공업용수 침전수의 공급편익 원단위가 적절함을 시사한다.
        106.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질악화 등으로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영산강 하구를 대상으로 하구의 환경가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1) 동식물 산란지 및 서식지 기능, (2) 오염정화 기능, (3) 여가 및 심미적 기능, (4) 교육/과학/연구 기능 등 하구의 세부 기능별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MAUT에 근거한 CVM을 적용하였다. 또한 하구 인근 지역만 대상으로 하거나 하구에서 떨어진 지역만 대상으로 해서는 결과의 일반화가 보장될 수 없으므로 하구 인근 지역과
        107.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환경부에서 진행 중인 ‘지하수오염방지기술 개발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의 기초자료로서 지하수오염 개선을 위한 일반가구의 지불의사액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적용하되, CVM 연구에서 지켜야 할 다양한 지침을 엄격하게 준수하면서 가구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수도권 500 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일대일 개별면접을 통해 '지하수오염방지기술 개발사업'에 의한 지하수오염개선을 위
        109.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감잎을 냉풍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첨가한 냉면의 반죽과 숙면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결합능력은 무첨가구와 감잎 분말첨가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아밀로그래프 상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 도달시간은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면의 조리적성에서 조리 후의 무게는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감잎분말 첨가량에
        110.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 온도, 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의 온도, 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이상의 온도, 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의 추출 온도와 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111.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상도지역에서 예로부터 먹어오던 무말랭이 김치(골곰짠지, 오그락지)의 품질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문제점을 보완한 냉풍건조를 이용하여 말린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속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건조시 갈색도는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냉풍건조가
        114.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비파과실을 이용하여 주스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비파주스를 제조하여 그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과 상태로 파쇄하여 압착ㆍ착즙을 하였을 경우 pH 3.4, 당도 8.5 Brix, 총산 0.36% 및 수율 53.2%로 나타났으며, 증기로 데치기한 후 압착ㆍ착즙한 경우 pH 3.6, 당도 8.0 Brix, 총산 0.34% 및 수율 57.4%로 나타났다. 또한 비파과즙을 여과 후 청징(A), 과실을 50일간 냉
        115.
        199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characterization of the -amylase inhibitors from cereals and legumes produced in Korea,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mylase with the inhibitor from barley(Hordeum vulgare), wheat(Triticum aestivun), black bean(Glycine max), bean(Cajanus cajon) and pea(Pisum sativum) were measured. Among the samples tested, inhibitors from naked barley and black bean(sabong) which showed the highest inhibitor activities of cereals and legumes, respectively,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the germination of naked barley and black bean, -amylase activities were gradually increased bu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mylases were decreased. Both activities were gradually decreased when naked barley and black bean were stored. More than 50% of activities of the inhibitors from naked barley and black bean were remained at 100 for 15 min and 20 mi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inhibitor from black bean was more stable to heat than that of barley.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