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4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냉동보존이 진주조개(Pincata fucata martensii) 유생의 형태 및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냉동전후 D형 및 각정기 유생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동해방지제는 0.2 M sucrose를 첨가한 2.0 M 를 사용하였다. 냉동후 유생은 일부 패각이 손상되긴 했지만 hinge와 prodissoconch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소포체, 지질 과립, 미토콘드리아, 핵 등을 포함한 세포내 소기관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4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기 저장시 취반특성에 영향을 주는 벼 품종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변화, 지방산 함량 및 식미치 등 쌀 품질저하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도(b값)는 모든 품종에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상온저장이 저온(5~10℃,10~15℃) 저장보다 높았으며, 저온저장의 경우 6개 월 후부터, 상온저장의 경우 4개월 후부터 b값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2. 공시품종중 조생종 품종인 삼천벼가 가장 높은 색도 증가를 보였으며 중생종 품종인 간척벼, 세계화벼가 중만생 품종인 동진벼와 호진벼보다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3. 토요 식미치는 품종간 차이가 있으나, 상온저장시 저온저장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폭이 커서 저온 저장보다 낮았는데, 저온저장시는 8개월 저장 후부터 약간 감소하였고, 상온저장시는 2개월 후부터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4. 저장온도간 토요 식미치는 5~10℃ 에서 감소 폭이 가장 적었고 품종간에도 색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생종 품종일수록 감소폭이 컸다. 5. 현미 지방산도는 저장 2개월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상온저장시 저온저장시보다 증가폭이 컸다.
        4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간 이화학적 특성 및 취반특성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여 취반특성별 품종 군을 분류하고 밥맛이 좋은 품종의 취반특성 요인을 구명하여 고품질 품종이 갖는 미질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고품질 품종육성 및 품종선발의 지표로 삼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도는 대야벼, 호평벼, 고시히까리가 높았고 현미의 경도는 일품벼가 낮았으며 신동진벼가 가장 높았다. 2. 호화점도 특성중 호평벼와 고시히까리는 대야, 호안벼에 비하여 강하점도가 높고 치반점도, 응집점도가 낮았으며 특히 고시히까리는 최고점도, 강하점도가 매우 높은 반면 치반점도와 응집점도가 낮았다. 반면 일품, 운광벼는 다른 품종보다 강하점도는 낮고 치반점도가 높았다. 3. 품종별 물성 요인에서는 밥알의 경도는 호평벼가 다른 품종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응집성이 높았다 반면 점성 및 부착성, 균형도는 고시히까리가 높았다. 4. 밥맛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계적 식미치 검정에서는 대야벼 호안벼가 낮고 일품벼, 운광벼가 높았다.
        4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조 함수율과 저장온도에 따른 쌀 품질 변화를 구명하고자 신동진벼와 동진1호를 함수율 13~14,15~16,~18% 로 조절하여 상온 및 저온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정조 함수율이 많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율이 높았으며 함수율에 의한 호흡율의 차이가 저장온도에 의한 차이보다 컸다. 2. 발아율은 16개월 저온저장후 80%이상을 유지하였으나 상온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12개월 저장까지는 함수율이 높은 17~18% 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나 그 이후에는 15~16% 에서 높았고, 13~14% 에서는 16개월 저장후 10%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3. 밥의 윤기치는 저장 초기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후 완만해졌으며 저온에서 상온에 비하여 높았고 함수율이 많을수록 높게 유지되다가 12개월 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현미지방산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8개월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저온에서 상온보다 낮았고, 신동진벼가 동진1호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5. 식미관능평가치는 상온에 비하여 저온저장에서 양호하였고 신동진벼가 동진1호에 비하여 높았으며 저온저장 16개월 후 신동진벼는 함수율 17~18% 에서, 동진1호는 15~16% 에서 우수하였으며 상온저장시는 신동진벼와 동진1호 모두 함수율 15~16% 에서 좋았다. 6. 식미관능평가치는 현미색도 b값 > 밥의 윤기치 > 현미 색도 L값의 순으로 각각 0.731**, 0.625*, 0.615*의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강하점도, 최고점도, 호화개시온도, 현미 지방산도와는 각각 -0.864**, -0.795**, -0.786**, -0.779**의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4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찐쌀과 국내산 일반 쌀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찐쌀은 외관상 금이 많이 나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취반 시 쌀알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았고, 다양한 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높고 수분함량은 낮았으며 윤기치는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2. 호화 및 열분석과 취반특성 분석 결과 찐쌀은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취반 시 일반 백미보다 수분을 1.5배가량 많이 흡수하며, 팽창용적이 크고 용출되는 고형물 양도 2배정도 많으며, 그 과정에서 쌀알 고유의 형태를 잃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식미관능평가를 통해 찐쌀의 식미가 일반 쌀에 비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묵은 쌀이나 싸라기보다도 유의하게 식미가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7.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의 저장가능기간과 안전저장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동진벼와 호진벼를 0.05 m LDPE film bag과 0.1 mm tri-fold craft paper bag에 포장하여 저온과 상온에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식미치와 백도는 급격히 감소하고 지방산도와 색도 b값은 증가하였고, 식미치, 지방산도, 색도 b값은 포장재보다는 저장온도에 의한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백도는 포장재에 의한 차이가 커서 cra
        52.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새로운 소비형태인 풋땅콩의 적정 저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생협실 및 증자협 실을 상온 및 4에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상온 및 4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생협실과 증자협실 모두 상온저장이 4저장보다 감소율이 높았으며, Ny/LDPE film 진공포장이 LDPE film 포 장보다 감소율이 낮았고 증자협실이 생협실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상온 및 4저장 증자땅콩의 협 색상은 저
        5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 수확시기 및 첨가제에 따른 땅콩경엽의 수량 및 사일리지용 사료가치를 비교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 생육은 개화후 90일 수확시 경엽의 병해(갈색무늬병 및 흑색무늬병) 발생 정도가 낮고, 성숙협비율은 89%, 100립중은 81g으로 높았다. 2. 수확시기에 따른 경엽 및 종실 생산성은 개화후 90일에 경엽은 52 t/ha, 종실중은 3.6 t/ha이었다. 3. 경엽과 종실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2 =0.62** )이 있었다. 4. 땅콩경엽의 사일리지 사료가치는 땅콩경엽+볏짚+젖산균 조제시 ADF 42.2%, NDF 49.6%, CP 10.5%, TDN 55.6%이었다. 5. 땅콩경엽 사일리지의 유기산함량은 땅콩경엽+볏짚 및 땅콩경엽+보릿짚에다 젖산균 첨가시 각각 산도 5.04 및 5.10, 낙산함량 3.12% 및 4.64%, 젖산함량은 7.34% 및 2.07%이었다.
        54.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varietal variation of sweet rice- drink, `Sikhe`, made from seven glutimous rice cultivars. The alkali digestion value and protein cont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oked rice materials, but the water absorptio
        55.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조오미자의 장기안전 저장조건을 구명하고자 실내, 창고, 저온저장고 등 저장장소 및 0.05mm P.E, 0.05mm 흑색 P.E, 0.05mm P.E + P.P sack, gauze bag 등 포장재료별 저장기간에 따른 건조오미자의 수분함량, 곰팡이 및 충피해 정도, 안토시아닌색소 함량 및 색도 등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P.E필름 밀봉저장시 저장 장소별 차이는 적었으나 양파망 저장시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곰
        56.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필름과 스티로폴 상자를 이용한 생강 저장시 탄산가스 흡착제 및 저장 온 .습도가 생강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E필름이나 스티로폴 상자에 생강을 저장하여 온 습도와 환기공수 및 탄산가스 흡착제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 필름 포장에 의해 중량감소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0.05 mm보다 0.08 mm에서 중량감소율은 낮았으나 부패율 및 곰팡이발생율이 높았고, 저장온도별로는 15에 비하여 1에서
        5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해안산 북방대합의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유생단계를 선택하기 위해, 담륜자, 초기 D상 유생, 후기 B상 유생, 초기 각정기, 후기 각정기 유생에 대한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로는 dimethyl sulfoxide와 ethylene g1yco1를 사용하였다. 동해방지제에 각 단계의 유생을 10분간 두어 평형상태에 달하게 한 다음, 냉동하여 액체질소에 보존하였다. 해동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유생은 담륜자로서 동해방지제 2.0
        60.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진주양식의 대상패류인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martensii) 담륜자를 냉동보존하기 위하여 4가지 동해방지제를 사용하여 냉동실험을 실시하고, 적합한 동해방지제를 찾고자 하였다. 동해방지제인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glycerol과 1, 2-propanediol을 희석액인 0.2 M sucrose에 각각 0.01, 0.1, 1.0과 2.0 M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10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