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6

        70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Finite Element(FE) analysis using ABAQUS with respect to new type of modular bridges. In additio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safety analysis in term of stresses and deformation of the modular bredge incorporated with GFRP to the steel plate during lifting.
        70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ginseng marc powder on egg freshness in laying hens during 4 weeks. A total of 60 Hy-line Brown laying hens, 50 week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with diets containing 0% and 2% red ginseng marc powder. There were 3 replications per group with 10 laying hens per pen.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rial, there were no effects of red ginseng marc powder on egg weight (but not 4 weeks). Haugh Unit (HU) values were observed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d ginseng marc powder and controls at 0 and 4 weeks, except for HU at 1 through 3 weeks. For egg yolk color, red ginseng marc powder has no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controls at 0, 3 and 4 weeks (but not 1 and 2 weeks). In conclusion, the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2% red ginseng marc powder improved HU values throughout the experiment.
        70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연계 나눔 경험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차원의 다문화 교육을 운영한 실행 연구로, 국제이해교육과 연결하여 나눔 봉사 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진행하며 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경험과 인식에 대한 설문지와 함께 지속적인 토 의, 면담, 저널 등을 통하여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실행해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나눔 봉사를 위한 다문화 기관과의 연계 봉사활동의 초기 관찰자에서 계 획자이자 평가자로서의 역할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편견에서 벗 어나고 이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의 다문화 교육을 이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70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textiles는 학습자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STEAM 교육에 적합한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을 설계 및 적용하여 이 방법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이 학습자의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70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유동성을 갖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이다. 그러나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비하여 낮은 연성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마이크로섬유의 조합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현무암섬유 조합에 따라 4가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고,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접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제조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기포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밀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현무암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균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의도하지 않은 기포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71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유에서 추출한 Omega-3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C-PUFA), 특히, EPA (20:5)와 DHA (22:6)는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과 함께 대사성 증후군 또는 비만 발병과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물 모델을 이용해 고지방식이 섭취 후 어유 추출 오일과 식물성 오일 투여로 혈중 지질 농도 감소 효과를 비교하고 작용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고지혈증을 포함한 심혈관계질환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42마리의 C57BL6J 마우스를 이용해 정상식이군 (18마리)과 고지방식이군 (24마리)으로 나눈 후 정상식이군 3개 그룹 (대조군, 어유 오일, 식물성 오일)으로 설정하고 고지방식이군도 3개 그룹 (대조군, 어유 오일, 식물성 오일) 각각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다. 고지방식이군은 4주 단위 투여 로 비만을 유도한 후 체중 20g 당 100μl의 식물성 오일과 어유 추출 오일을 각각 투여하여 각 그룹 별로 매일 1회 씩 털 색깔, 몸 전체 모양, 털 빠짐 등 일반증상을 관찰하고 사망동물이나 빈사 상태를 확인했다. 오일 투여 직전과 투여 후 1, 3, 7일에 체중변화를 측정하고 10주 후 마취시켜 부검 후 외관검사 실시와 육안 소견을 관찰하고 장기를 적출하여 효소항체검사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est, ELISA)를 통해 지방 활성에 관련된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했다. 고지방식이 섭취 4주 후 정상식이군 (p=0.56)에 비해 고지방식이군 (p=0.04)에서 체중변화가 나타났고 고지방식이군에서 어유 오일군 (41.27±7.0)에 비해 식물성 오일군 (45.37±6.45)에서 체중감소가 적었지만 물만 먹인 대조군 (48.87±1.0)에 비해 두 그룹 모두 체중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p=0.04), 10주 투여기간동안 오일 투여군에서 체중 감소가 나타났다. 부검 후 적출한 장기에서 관찰된 혈중 지질 농도 수치 역시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고지방식이군 중 어유 오일 그룹과 식물성 오일 그룹에서 혈중 지질 농도 수치 감소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동물모델을 추가 시험함으로써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물성 오일 섭취로 혈중 지질 수치가 감소함을 관찰함으로써 향후 혈관질환의 진단 및 예후인자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