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101.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10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융⋅복합을 기반으로 4차 산업 혁명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가구산업에도 IT기술과 융합한 스마트가구가 출시되면서 지금까지 전혀 새로운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복합을 기반으로 하는 가구개발 및 디자인 사례를 분석 하였다. IT 기술융합 가구는 IcT, IoT기술에 의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생활정보 제공과 검색 기능 등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가구로 개발되었고, 의료기술 융합가구는 인간의 수면이나 휴식의 질을 높이고 맞춤형 케어를 통해 건강한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헬스케어 가구로 개발 되고 있다. 또한 첨단산업 소재융합 가구는 항공우주 및 의료산업 등 첨단산업 소재를 통하여 강도와 내구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일상생활 가구로 개발 되고 있다. 또한 기능, 융⋅복합형 가구는 1인 가구 및 소형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과 다용도, 그리고 분리겸용을 통해 공간의 융통성을 지원하는 가구로 개발 되고 있으며, 디자인 융⋅복합 가구는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가구로 개발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융⋅복합의 형태가 IT기술 & 디자인, 메디컬 & 디자인, 그리고 기능과 소재와의 융⋅복합 등이 연관되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구산업은 디자인의 혁신 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과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국내 가구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첨단 가구산업으로의 발전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10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10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화를 위한 포천지역의 자개가구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지역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성과 지역문화를 대변하는 이미지 개발에 의한 특성화의 제시로, 가구산업육성방안의 사례를 지역이미지디자인을 통하여 그 방 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천시의 가구사업의 현황 분석과, 신사고로서의 자개가구디자인을 대안으로, 포천시 를 대변할 수 있는 문화를 담은 현대적 가구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는 한국가구산업의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고, 포천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이미지 산업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보수적인 디자인과 소극적인 마 케팅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 요구에 부흥하는 친환경적인 상품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구가 새로운 기품과 엘리트 의식으로의 차별성을 담는 가치를 담고자 하였고 또한 전통가구디자인과 모던디자인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키워드 와 디자인을 정리하여 그 분석내용을 토대로 거실가구 중 벽걸이TV와 같이 사용 할 수 있는 장식장을 상품화 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이미지 개발과 기업육성을 위한 제품디자인의 적극적인 제시는 지자체 산업 활 성화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10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과 관련한 소비가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리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한 제품들이 계속해서 대중 속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디자인가구 산업에서도 디자인 개발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구산업은 시대적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제품의 특성상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과정에서 산업 단계별로 매우 다양한 환경폐해물질들을 생산해 내고 있으나, 합리적인 재사용을 위한 노력은 매우 미비하다. 최근에 리디자인에 대한 의식들이 생기면서 한정된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자인관련 산업에서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와 이를 적용하는 브랜드들이 나타나고 있다. 가구 산업에서 리디자인을 실행하고 있는 앞선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성장 방향을 제시하며 그 영향력과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리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본 연구는 가구제품에 나타난 리디자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관련 분야의 산업체의 발전과 학계의 연구에 기초가 되고자 한다.
        10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ferences for the physical features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arget the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senior congregate housing and general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the ru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howed that housing conditions are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conditions,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senior congregate housing. Among them was the most important house prices and rents. Also among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conditions is the distance to the workplace were very important. So the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congregate housing showed that more important considering the economic aspects. Finally, want to be the foundation of sustainable housing policies for rural elderly households.
        10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bed into som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ousehold such as household income, number of the household, age distribution of the family members, their characteristics of shopping behavior such as the shopping place, types of the packag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series, using consumer panel data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t further examined how the above factors affect fruit purchasing prices and then estimates the degree of the influence by each factor. The study looked at the purchase of apples, pears, tangerines, and oranges - the most favorite fruit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ies and/or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policy plans related to fruits consumption.
        10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양과 서양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며 각자 발전을 추구 해왔다. 최근 인터넷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문화적 경계의 구분이 완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수세기동안 각자의 문화권에서 발전을 이루어 왔던 보이지 않는 차이는 존재 한다. 따라서 디자인의 원천적인 소스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 중의하나로 서양에서는 건축가가 가구를 직접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은 과거에서부터 현재 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가구는 가구디자이너가 건축은 건축가가 따로 디자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서양이 문화적, 경제적으로 교류가 활발해진 최근에도 이런 관행은 지속되어가고 있다. 이는 분명히 역사적으로 특별한 계기가 있었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연구의 절차로는 문화형성과 디자인의 체계, 건축과 가구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하다 보면 표면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동양과 서양의 오랜 관습과 문화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영역이 구분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현재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향후에는 가구디자인 분야가 건축,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와 조율되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의한 디자인과 관계된 다른 사례도 많이 있을 것이지만,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추후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할 분야가 많을 것으로 보여 진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