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Chat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은 인공지능 에 대한 낙관과 비관이 엇갈리는 가운데 기독교 선교가 새롭고도 실제적 인 방향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주요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행위자로 인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공지능 기술의 최전선에 있는 거대 언어 모델의 기술적 특성과 작동원리를 상세히 분석하여 인공지능이 인간과 맺는 관계에 주목한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인공지능과의 선교적 접점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은 첫째, 인공지능을 선교 현장으로 인식하는 것, 둘째, 인간에게만 주어진 선교적 삶을 사는 것. 셋째, 인공지능을 선교사역의 협력자로 받아들이는 것, 넷째, 오픈소스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선교적 목적의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기독교 선교 가 단순히 인공지능을 도구로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인공지능과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새로운 선교의 지평을 열어가야 함을 제안한다. 이는 데이비드 보쉬가 주장한 것처럼, 선교는 각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관점에 기반한다.
모빌리티 예측은 단순한 통행 경로 예측을 넘어, 사회 전반의 효율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핵심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 요하다. 기존의 예측 기법은 시공간적 규칙성과 개인 이동 패턴의 통계적 특성 분석에 주로 의존하였으며, 최근 딥러닝 기반의 시공간 모델링을 통해 예측 성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개인 통행의 단기·장기적 시공간 의존성 및 복잡한 패턴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규모 사전 학습된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도입하여, 개인 속성뿐 만 아니라 실제 통행 데이터를 반영한 객체 단위 통행 생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LLM 기반(ChatGPT-4o) 객체 단위 통행 생성 프레 임워크는 (1) 개인 모빌리티 패턴 학습, (2) 통행 생성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후 한국교통연구원의 개인통행 실태조사(2021) 데이 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워크의 통행 생성 성능을 확인하였다. 통행 시작·출발 시간 분포, 출발·도착지 장소 유형, 통행목적, 이용 교통수 단의 정확도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 항목에서 7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하지만 통행목적은 13개의 목적 중 하나를 예측해야 하기 에 정확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약 40%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행 생성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에 맞춰 입력 데이터를 가공 및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수행함으로써 LLM 기반 통행 생성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프레임워크의 예측 성능 검증 및 개 선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날씨, 대규모 행사 등과 같은 외부 요인들을 고려하면 더욱 정교하고 현실적인 통행일지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거대 언어 모델은 교육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보 이며, 교육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그 활용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공학 교육에서도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활용 분야와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거대 언어 모델을 이용한 교육과정 설계와 개선에 대한 연구는 인공지능 공학과 교육학 두 분야에서 모두 중요한 연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필요성에 대한 예시이자 전략으로써, 본 연구는 OpenAI에서 발표한 최신 거대 언어 모델인 ChatGPT-4o를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과대학 학부 전공 과 목과 S전자 DS부문(반도체사업부) 직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과 기업체 양측에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과 채용에 대한 실질적인 응용 전략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KAIST 공과대 학 학부과정에 개설된 모든 전공 과목과 S전자 DS부문(반도체사업부)의 직무기술서를 ChatGPT-4o에 학습시켜 각 과목이 특정 제품군, 직무와 가지는 연관성을 특정 범위와 기준에 의거하여 정량화된 점수로 평가했다. 또한, 각각의 직무, 전공, 과목별로 확보한 데이터를 기초적인 통계 분석을 통해 평가했으며, 구직자와 구인자의 활용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특정 전공의 각 직무별 연관성과 특정 직무의 각 전공별 연관성, 그리고 특정 직무 및 전공의 반도체 제품군별 연관성 등 다양한 조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 한 본 전략에 대한 반도체 산업 실무자 견해를 수집하여 실제 전략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분 석 결과, 간단한 질문과 분석만으로도 전공, 교과목별로 유의미한 직무 연관성의 차이를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의 개선과 기업 채용 및 양성 과정에서의 응용 전략을 제시한 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인적자원 개발과 채용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 다. 또한, 후속 연구로 구직자와 구인자, 교수자 등 본 연구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문조사 및 전문가그룹 대상 질적연구 등을 제안하여 실제 활용도와의 비교 분석 연구를 제안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 설계의 구체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인공지능을 이용한 교육 분야에 대한 기여 방안을 모색한다.
이 글의 목적은 지난 21대 총선과 한국의 민주주의를 반추(反芻)하면 서 한국의 민주주의에 얼마나 국민적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가를 고찰하 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1대 총선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여야 거대 양당의 공천과정에 어떤 변화를 보여주는지를 선거제도의 비례성과 당내 공천과정의 민주성을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의 변칙성,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비례성의 감소, 거대 양당에 의한 위성정당 난립과 비제도화, 공천과 공직후보자 추천에서 정당의 당내 민주화 부재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총선을 통해 당내 민주주의를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은 당리당략이 아닌 여야 합의에 의한 비례대표제 채택, 제대로 된 국회의원 선거제도에서의 비례성 확대, 거대 양당에 의한 위성정당 난립 방지 위한 정당법 및 선거법의 개정, 비례대표 의석을 거대 양당 배제하고 군소정당만으로 전국 득표율 수 에 따라 배분, 총선과정에서의 정당의 비민주적 행태 지양과 당내 민주 주의 확대하는 것이다.
해사안전법에서는 거대선을 전장 200m 이상의 선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기준은 1986년에 도입된 이후, 선박이 대형화되는 등 해상교통환경이 큰 폭으로 변화하였음에도 개정되지 않고 있다. 전장 200m는 건화물선의 경우 핸디막스급에 해당하여 현대 선박의 크 기 분류에서는 대형선박으로 보기 어렵다. 한편, 해사안전법에서 거대선이란 용어가 적용되는 조항은 교통안전특정해역에 관한 조항으 로, 거대선의 통항이 잦을 해역을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사관련 법령을 검토하여 이 미 전장 200m 이상 선박보다 큰 선박에 대한 법령이 도입되어 있음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각 항만의 입항 선박 통계를 조사하여 현 다섯 구역의 교통안전특정해역보다 거대선의 통항이 많은 해역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해사안전법에서 거 대선 관련 조항 삭제 및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설정할 수 있는 통항 선박의 전장 기준을 상향할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Lymphoma, which accounts for 3.5% of all oral cancers, is further divided into Hodgkin's lymphoma (HL) and non-Hodgkin's lymphoma (NHL). NHL accounts for 96% of lymphomas, and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the most common subtype accounting for 32% of NHL. In the oral cavity, extra-nodal non-Hodgkin's lymphoma may develop in the dentoalveolar region of the maxilla or mandible. It can also mimic inflammatory lesions that occur around periodontal tissues, such as periapical granuloma and chronic osteomyelitis. Misdiagnosis of jaw lymphoma can delay appropriate treatments and worsen the prognosis. Therefore, to avoid delay in diagnosis, clinicians should identify the possible malignancy based on unusual symptoms, clinical findings, radiographic examinations, and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We present two cases of DLBCL in the right posterior mandible of a 64-year-old man who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acute apical abscess and in the right posterior maxilla of an 81-year-old woman who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chronic periodontitis. These cases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for both pathologists and clinicians to consider malignant lesions such as lymphoma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pical radiolucency.
본 논문에서는 OTT 플랫폼에서의 킬러콘텐츠 분석틀을 제시하고, 킬러콘텐츠로 주목받아 온 K-드라마 4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는 킹덤(시즌 1, 시즌 2, 아신전), 오징어게임, 지옥 그리고 애플티비플러 스가 출시한 파친코(시즌 1)이다.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킬러콘텐 츠 분석도구를 활용하였다. 킬러콘텐츠 분석도구는 문화콘텐츠 창출-소 통-향유의 체계 및 내적 구조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4편은 공통적으 로 내적구조 ① 스토리텔링, ② 이미지투르기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킹덤의 경우 이외에도 ③ 캐릭터빌딩 구조가 탄탄했으며, 오징어게임의 경우 ㉡ 시대상황 및 ③ 캐릭터 빌딩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지옥은 ③ 캐릭터 빌딩에서 압도적 강점을 나타내었고, 파친코는 (a) 문화원형 과 ㉢ 마케팅 부문에서 강점이 있다.
It is well documented that giant cells can be observed in some types of odontogenic tumors such as central odontogenic tumor and dentinogenic ghost cell tumor. However, the presence of stromal giant cells has only rarely been reported in ameloblastoma, although being the most common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In this study, we present a novel case of peripheral ameloblastoma associated with peripheral giant cell granuloma arising in the mandibular alveolar mucosa of a 65-year-old male patient. The possible pathogenesis of this combined lesion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review of previous reports of ameloblastoma accompanied by stromal giant cells.
비록 예이츠는 『3월의 보름달』을 『거대한 시계탑의 왕』 보다 더 좋은 극으로 여겼지만 성격묘사와 연극적인 관점에서는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살로메 모티 브를 똑같이 가지고 있는 이들 연극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완전히 다르다. 본 연구는 『거대한 시계탑의 왕』 이 ‘공연’의 측면에서는 더 나은 작품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두 버전의 희곡들을 비교한다.
A 20-year-old woman who had a main symptom of intermittent pain in both mandibular third molar visited our hospital. In CBCT findings, the #38, 48 teeth were located on the lingual sid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 addition, a large stone about 12mm in length was observed in the right Wharton's duct in CBCT findings. Neck CT scan was performed and a large stone about 12mm in length was observed, and the accumulation of saliva in the rear of the stone was observed. The patient underwent sialolithotomy and #38, 48 tooth extraction through intraoral approach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removed stone was similar in shape and color to a tooth. The removed stone was markedly fragmented and composed of dentin and enamel-like tissue which showed lamellate arrangement in microscopic examination. Patient was presently symptom free after 10-months postoperatively.
거대억새의 수확물은 물리적 특성상 밀도가 낮아 바로 운송하기에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바로 전처리 작업을 통하여 거대억새 수확물의 밀도를 높여줄 수 있는 기계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절단, 분쇄, 압축 성능을 극대화하여 거대억새 분쇄물의 압축밀도를 높여줄 수 있는 두 가지 형태의 기계를 개발하였다.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가지 형태의 기계는 동력원으로 전기 혹은 트랙터 동력취출장치인 PTO로 작동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절단 및 분쇄 통합시스템은 분쇄 및 절단을 동시에 처리하여 시간당 1 ton 이상 처리가 가능하였다. 또한, 개발된 압착기는 압축된 분쇄물이 240 g/L 이상 밀도로 압축할 수 있었다. 개발된 거대억새 전처리 가공 기계들은 유통상 경제적 이점을 증가시킴으로써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e myxoma(odontogenic myxoma, myxofibroma) of the jaws is a benign, usually slow-growing infiltrative tumor of connectice tissue. This article describes a case history of the treatment of recurred odontogenic myxofibroma in the maxilla and further discusses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such cases with reference to the literature review. A 55-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a gingival swelling in the right side of maxilla. He had history of second time recurred disease. Microscopically, a high cellularity fibrous tumor with fibroblastic cells was observed. Tumor cells were composed of stellate and spindle shaped fibroblasts. Islands of odontogenic epithelium were seen in the specimen. The final diagnosis was made with odontogenic myxofibroma in consideration of twice-time recurrences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high likelihood of recurrence, an accurat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hology at the time of initial visit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reatment options, and immunohistochemical tests may be helpful. Also close following up is required.(155 words)
생명공학 기술이 실용화되면서 종자는 단순히 씨앗이 아니라 농업생명공학의 필수불가결한 전략자원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 굴지의 종자회사들이 거대 다국적기업들에 인수되면서 그 존립기반이 위태로워진 국내 종자산업의 현실을 인식하고, 향후 세계 종자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 종자산업은 유용 유전자원의 확보와 육종 연구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 산업이기 때문에 자본력과 연구역량을 갖춘 거대 다국적기업들이 독과점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의 종자주권이 위협받는 상황에 있다.
2. 글로벌 종자시장의 70% 이상을 주요 7개 거대 종자기업이 점유하고 있으며, 그 중 최대 종자기업은 몬산토(2018년 독일 바이엘사 인수)이고, 듀퐁, 신젠타(2017년 중국화공그룹 인수)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3. 거대 종자기업에 지나치게 과점화된 국내 종자시장을 점차 변화시켜 우리의 종자주권과 식량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내 식물자원 및 육종자, 생산자를 정책적으로 보호해야 한다.
4. 종자산업은 오랜 연구와 많은 투자비용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산업이기 때문에 국내 종자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기업과 정부가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외국의 관련기업들과도 다각도로 협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5. 융복합산업이라고 볼 수 있는 종자산업을 유망 수출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토종 우량종자를 적극 발굴하고 품종육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 및 유용 유전자원 확보, 품종보호제도를 정착시켜 민간 종자기업들의 역량을 더욱 강화시켜야 한다.
6. 다국적기업들과 세계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규모의 국내 종자기업들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자본력과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국내 대기업들이 종자산업에 적극 진입할 수 있도록 향후 정부의 획기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며, 또한 기존의 해외 중소 종자기업들을 인수·합병하여 다변화된 글로벌 종자시장에 점차적으로 진입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the most common non-Hodgkin's lymphoma, and usually showed painless neck swelling, fever, sweat, and weight loss. Although about 5% of all lymphomas appeared in the oral area, the primary maxillofacial lymphomas were rare and sometimes clinically tended to be misdiagnosed such as chronic periodontitis, osteomyelitits, etc. This study demonstrated three cases of primary DLBCL mimicking localized osteomyelitis at mandible or maxilla. A series of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using different biomarkers of lymphoreticular cell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neoplastic cells of DLBCL. The first case occurred in a 45 years old male exhibiting mandibular osteomyelitis and neck swelling. The second case simply showed a gingival swelling at left upper premolar area in a 55 years old male. And the third case is from an 84 years old female who felt numbness at left lower lip and had severe periodontitis involving regional alveolar bone resorption. All of three cases had experienced no systemic manifestation of lymphoreticular malignancy before the diagnosis of oral lymphoma. Immunostainings of CD3, CD20, TNFα, BCL-2, Ki-67, PCNA, and c-Myc were strongly positive in these tumor cells, while those of p53 and CD31 were slightly positive, and CD56 immunoreaction was negative. These three cases were diagnosed as DLBCL and referred to the hemato-oncology unit for treatment. Therefore, every chronic granulomatous periodontal lesion hardly cured by simple medical treatment should be carefully explored through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it was presumed that DLBCL is closely related to the chronic inflammatory periodontal lesions recruiting mucosa-associated lymphoid cells in older patients. It was also suggested that DLBCL be differentially diagnosed from T-cell lymphoma, Burkitt’s lymphoma, and Hodgkin’s disease, etc. with immunohistochemical determination of tumor cell subtypes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be treated with appropriate therapy.
The dentigerous cyst is defined as a cyst that originates by the separation of the follicle from around the crown of an unerupted tooth. This is the most common type of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making up about 20% of all epithelium-lined cysts of the jaws. Large dentigerous cysts are uncommon, but some cases are large cysts. The usual treatment for a dentigerous cyst is careful enucleation of the cyst together with removal of the unerupted tooth. Large dentigerous cysts also may be treated by decompression. This permits decompression of the cyst, with a resulting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bone defect. The cyst can then be enucleated at a later date with a less extensive surgical procedure and important structures such as teeth and the inferior alveolar nerve can be preserved. These cases are large dentigerous cysts treated by decompression. Less extensive surgical procedures were used and some teeth were p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