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projecting media art onto glass-surfaced architecture, addressing challenges such as transparency, reflection, and visibility. Using the Aqua Art Overpass in Seoul as a case study, the research compares glass and opaque surfaces through mock-ups and luminance simulations. By applying high-lumen projectors, special films, and content adjustment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glass facades can effectively serve as dynamic media surfac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visual and spatial potential of glass in urban environments, offering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applications in architectural media art.
본 연구는 설계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민간공사의 단가도급 건축 인테리어 공사에서 각 공사의 기성율에 약정금액을 적용하여 공사대금을 산정하는 공사 대금 감정시, 설계 변경 전의 ‘미시공(제외) 물량’과 기시공 부분의 물량 증감에 대한 공사 내용을 내역서와 공정표를 기반으로 하여 약정금액을 감정인이 임 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를 단계별 COST & TIME TABLE분석을 통한 변경약정 금액 적용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계약 시 또는 공사중 변경 계약된 약정 총공사비를 기준으로 각 공정의 계획물 량과 실적물량을 종합하여 기성율을 산정하고 약정금액을 곱해 기성고 및 추 가공사대금을 산정한다. 기성고 공사대금 산정 시 약정을 우선하고 추가공사대금 약정이 되어 있지 않 더라도 감정 신청에 따라 추가 공사비 약정 존부를 법원에서 최종 결정하기 전 감정인이 추가 공사한 사실을 전제로 감정인이 감정서에 추가공사비의 기성율과 추가공사대금을 산출하게 되는데 각 공사대금의 약정금액은 기시공에 소요된 공사비 이외 설계변경 발생시 미시공(제외)물량과 물량증감, 기시공 중 철거후재시공, 변경시공, 기시공의 하자보수와 지연분석 및 공정표를 함께 고 려해서 최종 약정금액을 적용해야 한다.
알바 알토(1898-1976)는 핀란드 북유럽 지역에서 1920년대 고전주의 시기에 건축 작업을 시작하였다. 알바 알토는 핀란드의 풍경과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건축 공간을 창조하는 것으로 유명한 건축가이다. 세위네찰로 타운홀(1949-1952)은 2차 세계대전 후 알바알토가 핀란드에서 설계한 최초의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 숲을 배경으로 세워진 세위네찰로 타운홀 건축의 외부 공간을 대지, 주변 환경, 주변 맥락 등을 중심으로 배치, 이용자의 동선, 건축재료 등을 분석하였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알바 알 토가 구현하고자 하는 외부공간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알바 알토의 이론적 고찰과 세위네찰로 타운홀 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배치 및 볼륨 구성에 의한 사이 공간, 이용자 동선, 재료 구성에 따른 외부 공간 의 특징 등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세위네찰로 타운홀 건축 외부 공간은 다음과 같은 특징 을 가진다. 첫째, 알바 알토의 외부 공간은 대지의 맥락을 해석하고 유추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간이 변 형되는 특징이 있다. 둘째, 건축물에 중정을 구성하여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이용자의 동선 을 계획하였으며, 중정과 외부공간을 이어주는 계단 동선을 만들어 중정 공간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 었다. 셋째, 서로 다른 재질을 통해 공간의 경계를 나누고 그러한 경계가 다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점 을 중시하였다. 이와 같이, 알바 알토가 설계한 세위네찰로 타운홀 건축에서 나타나는 외부 공간의 특성 에 대해 알아보았다.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with seismically deficient details have premature failure under earthquake loads. The fiber-reinforced polymer column jacket enhances the lateral resisting capacities with additional confining pressures. This paper aims to quantify the retrofit effect varying the confinement and stiffness-related parameters under three earthquake scenarios and establish the retrofit strategy. The retrofit effects were estimated by comparing energy demands between non-retrofitted and retrofitted conditions. The retrofit design parameters are determined considering seismic hazard levels to maximize the retrofit effects. The critical parameters of the retrofit system were determined by the confinement-related parameters at moderate and high seismic levels and the stiffness-related parameters at low seismic levels.
This study chiefly aims to clarify efficient methods considering behavioral pattern of refugees in multi-use facilities which can be applied to architectural planning. Accordance with COVID-19 situation, it is mandatory to check the temperature of visitors as a measure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in multiuser facilities. When disaster occurs, for people in multi-use facilities such as medical facilities, museum, concert hall etc,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hort and right route to outside sinc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 familiar to visitors. If we design floor plans and circulation system considering behavioral pattern of refugees we can prevent the spread of disasters when they happen.
목구조에 있어서 횡력에 저항하는 전단벽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이 목조 전단벽은 다양한 수종의 스터드 와 다양한 판재, 접합철물로 제작되어 재료의 성능을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구조설계에서 초기단계에 서부터 적용해야하는 경골목조 전단벽의 환산 전단성능값을 미국, 캐나다, 일본 그리고 국내기준의 설정방법을 통하여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경골목구조기준과 소규모 건축기준에서 기본사양으로 제시하고 있는 2×4의 스터드에 두께 11㎜ 의 OSB를 적용한 기본 전단벽의 허용전단력은 3.5~4.5 kN/m의 범위, 또한 환산 전단강성값으로는 1100~1150 kN/m정도로 설계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기준은 국외기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전단내력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기준에서와 같이 북미기 준과 동일한 전단강성을 활용할 경우, 재료의 비선형거동 때문에 실제 변형량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어, 허용응력의 설정범 위와 전단강성값의 산정기준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Recently, an unprecedente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has rapidly spread, causing a global shortage of wards. Although various temporary beds have appeared, the supply of wards specializing in infectious diseases is required.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should maintain their function even after an earthquake. However, the current seismic design standards do not guarantee th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operational (OP) performance level. For this reason, some are not included in the design target even though they are non-structural elements that require seismic design. Also, the details of non-structural elements are usually determined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It is often necessary to complete the stability review and reinforcement design for non-structural elements within a short period. Against this background, enhanced performance objectives were set to guarantee the OP non-structural performance level, and a computerized tool was developed to quickly perform the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elements in th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This study created a spreadsheet-based computer tool that reflects the components, installation spacing, and design procedures of non-structural elements. Seismic performance review and design of the example non-structural ele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computerized tool. The strength of some components was not sufficient, and it was reinforced. As a resul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strength evaluation, displacement evaluation, and reinforcement design were reduced through computerized tools.
The domestic of modern architectural remodeling method emphasizes simple aesthetic elements, and the correct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are not established based on quantitative grounds, thus damaging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attempts to re-examine the value of modern buildings recognized as old buildings. It is a basic step to present the correct remodeling of the building. The design criteria for exterior wall remodeling of modern buildings were presented. These research results are suitable for energy conservation design standards and can prevent defects in buildings. In the future, more accurate analysis will be required by securing physical property values for various domestic material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ecast concrete modules that can be used as a booth and a single-story building with a large space. This precast concrete module is originally designed to have a hexagonal facade when the upper and lower parts, which are symmetrical about horizontal connection line, are combined. A structural design was conducted to ensure structural safety of these precast concrete modules and to extend the slope of the inclined members as far as possible. The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lateral and vertical deflection of complete precast concrete modular structures.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safety of these precast concrete modules, weight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upper and lower module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ture-oriented high-rise buildings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t the top of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is used as a part of the building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The suspended structure is proposed as a suitable structural system for architectural planning. This system is free to design because there are no limitations on column planning compared to conventional designs. In particular, the low-floor plan can be used as an open space because colums are not arranged in the lower-floors. Thereby opened low-floor plan has advantages that visual perception of the space is improved, noise problems along the side of the street is solved and planning underground parking spaces are easier. These advantages can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columns with vehicle traffic in the building.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the suspension structure is mainly a formal form and the usable area is small compared to the core area because it is a core-oriented structural system. In this regard, a new structural system was proposed by combining the concept of suspended structure and cable stayed colum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style of high-rise housing suspended Structure and proposes a new structural system and the concept of design for autonomous vehicles.
필로티는 현대건축에서 주차공간의 활용, 보행자의 통로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파트와 오피스텔과 같은 고층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축물의 필로티 형태 특성상 강풍이 불 때 바람이 집중되기 때문에 필로티 천장과 벽 면에 위치하고 있는 외장재 및 주골조가 파손되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외장재 및 주골조의 탈락으로 인해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는 고층건축물에 대한 천장 및 벽면의 풍압계수만을 제시할 뿐 필로티에 대한 기준이 명시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고층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필로티의 종류로서 관통형, 개방형 필로티를 선정하였고, 필로티의 폭과 깊이를 변수로 하여 풍동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변수에 따른 풍압계수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비교 및 분석하였고 본 논문의 실험결과를 통 하여 필로티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주골조 및 외장재 설계용 풍압계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