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2

        126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rural villages and a space of amenity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basic data for rural renewal planning in the future. 15 villages were selected to analyze amenity resources. A Space Syntax Method(SSM) was used to analyze a spacial structure of each villag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amenity resources. Finall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was used for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spacial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Depth of rural villages was 4.482 and Global Integration Value(GInteg) was 0.956. Relatively, a depth was lower and GInteg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villages. Rural villages were easily recognized and accessible by outsiders, compared to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In the case of rural villages, the MeanDepth of amenity resources was low and GInteg was high i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a nonhierachical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an access was easy and amenity resources were closely located each other. However, the deviation of each village was great in mountain villag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n effective maintenance of road network for improving accessibility would be given priority in an undevelope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renewal. Especially, using a spacial analysis in village renewal planning process can improve accessibility and maximize a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amenity resources.
        126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화도시는 다양한 출현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 문화도시처럼 문화를 주제로 선포한 도시를 의미하기도 하며, 문화시설이 잘 갖추어지고, 문화예술에 관한 정책지원이 풍부한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삶이 문화가 되는 도시, 나아가 시민들의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도시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현대사회와 현대도시의 당면 과제로 대두된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해결의 방안으로서 제시되기도 한다. 이는 도시의 시간적 배경과 공간적 여건 속에서 만들어진 문화적 기반과 환경을 토대로 도시와 도시민의 삶을 스스로 성장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문화도시의 기본속성으로 보는 견해에서 비롯된다. 문화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소로는 정책을 비롯한 합리성, 공공성, 장소성, 상징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문화도시의 유형을 도시상징중심, 역사전통중심, 문화산업중심, 친환경중심, 스마트중심으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문화도시의 정체성 형성을 위해서는 이 다섯 가지의 유형과 공공디자인 지원 요소들이 적절히 어우러져 조화를 이룰 때 가장 바람직한 문화도시의 정체성이 형성 된다고 할 수 있다.
        1264.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CT)등장은 인체의 검사 시에 비 침습적인 검사로서 환자의 병변을 발견하는데 사용된다. 전산화단층촬영장치가 주는 정보는 3차원 영상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이 발전함에따라 최근에는 전산화단층촬영장치를 사용하여 물리학적인 또한 생물학적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좀 더 세밀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마이크로 시티(Micro-CT)가 등장하였다. 마이크로 시티가주는 영상정보는 더욱 더 세밀하고 구체적인 영상 정보이며 따라서 생명공학과 고분자 재료공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마이크로 시티의 사용자에 관한 피폭선량의 한도에 관한 공간선량 측정 정보가 정확하게 보고된바 없다. 또한 마이크로 시티를 사용함으로써 원치 않게 발생 할 수 있는 산란선에 관하여 공간 피폭 선량이 보고되지 않았다. 마이크로 시티는 장비의 외관은 피폭 산란선 제거용 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산란선에 의한 피폭을충분히 예방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르고 장비가 노후되어짐에 따라 꾸준한 장비의 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우리는 우연치 않게 발생 될 수 있는 마이크로 시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운영자의 산란선 피폭에 관해 공간선량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이크로 시티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치 않게 발생되는 산란선에 관하여 피폭 관리가 필요하다고알리고 싶다.
        1265.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내공간연출에서 화훼조형물의 설치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실내공간(병원 및 카페) 화훼조형물 3점, 일반조형물 3점을 전시하여 병원 및 카페의 방문하는 고객 100명을 대상으로 작품 관람 후 설문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 구분 가능여부에 있어서는 전체 83.0%가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을 뚜렷이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물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20.0%만이 화훼조형물에 대해 비교적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의 상업적 가치에 있어서는 20-30대에 비해 4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화훼조형이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도시화 현대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인간의 자연귀화나 자연 친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화훼조형의 가치는 상승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업공간인 실내공간에서 화훼조형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고, 화훼조형물의 부유물 유출에 따른 뒤처리의 단점이 지적되어지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안한다면, 실내 상업적인 공간에서의 화훼조형물의 공간연출이 확대되어지길 기대한다.
        126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998년부터 2011년까지 강릉 지역의 지방 방사능 측정소에서 측정된 공간 감마선량률의 통계 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Autocorrelation Function Analysis(ACF), Rescaled Range Analysis(R/S Analysis), DetrendedFluctuation Analysis(DFA)의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며, 이 중 DFA는 non-stationary한 시계열의 장거리 상관성을 보여주는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은 두 가지다른 경향을 갖는 크로스 오버가 나타난다. 이것은 연중 공간 감마선량률은 강한 장기 기억 특성이 나타나는데 비해연간으로 넘어가면 상관성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각 분석 방법들의 지수들이 있는데 이 지수들 사이의관계식이 맞음을 확인 하였다.
        126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세대 무선통신에서는 다양한 서비스, 높은 신뢰도와 함께 빠른 전송속도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시공간 격자부호와 터보 부호기를 결합시키는 계층적 시공간 부호기를 사용하였다. 계층적 시공간 부호기에서는 내부 부호와 외부 부호의 두 부호를 연속적으로 연접 시키는 방식이다. 내부 부호로는 DVB-RCS NG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제안된 터보 Pi 부호를 사용하고, 외부 부호로는 Blum에 의해 제안된 시공간 격자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효율적으로 두 부호기를 연접시키기 위하여 인터리버 기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기존의 복호 방법은 시공간 격자 부호와 터보 복호기 내부에서만 반복 복호를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BCJR 복호기와 함께 전체 반복을 통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효율적인 연접 방식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연접 방식에 비하여 약 1.3~1.5dB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1268.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일 양 언어의 공간 형용사의 의미적․형태적 유사성을 비교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 속성을 가지며 어떻게 의미 전이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대립어로 이루어진 7쌍의 공간 형용사를 선택한 후, 한국어의 ‘멀다/가깝다’와 일본어의 ‘遠い/近い'를 가지고 그것의 의미 속성과 의미 전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멀다/가깝다’와 ‘遠’い/近’い’는 서로 완전히 동일한 의미 속성을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미 전이에 있어서도 일치성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전적 의미만을 가지고 의미 속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여준다. 앞으로는 공간 형용사의 관용어 대응, 다의 구조, 연어 대응에 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6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비문화공간으로 대표되는 신사동 가로수길, 삼청동, 서래마을의 세 곳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용기정원을 조사, 분석하여 장소에 따른 용기정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사동 가로수길은 초기 패션과 디자인 계열이 입점했던 것에서 영향을 받은 패션업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원형의 테라코타 용기에 상록과 그린색의 식물을 이용하여 입구에 가장 많이 위치시켜 동선을 유도하며, 패션소품으로 활용하였다. 삼청동의 경우는 오래되고 규모가 작은 공간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모든 업종에서 고루 나타났고, 목재의 직사각형의 용기에 분홍색의 초화류를 이용하여 전면하부에 많이 위치시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서래마을의 경우는 프랑스마을의 장소성과 관련하여 야외 테라스의 카페와 레스토랑에서 많이 나타났고, 걸이와 벽면에서 난색계열의 초화류와 덩굴식물을 주로 이용하였다. 장소는 문화적이고 지역적인 것을 기반으로 하여 나타나는 맥락적 의미로 현재 소비문화공간에서 활발하게 조성되는 용기정원의 특성 또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것은 다시 장소성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차후에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용기정원이 재방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장소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27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피녹화와 달리 실내녹화는 공간이용 고객의 요구나 민감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용자의 선호도 및 트렌드 조사를 통하여 식생선정, 공간점유, 공간 배치, 디자인 유형 등을 업무공간에서의 실내녹화 공간 표준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의 업무공간은 현재 90.4%가 식물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주업무공간’과 ‘입구, 현관’에 많이 위치하고 있었다. 실내녹화의 형태는 화분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실내녹화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다. 세부공간은 ‘주업무공간’, ‘휴게공간’에 녹화를 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2~3개소를, 빈 바닥면적의 1/10~1/5에 바닥과 벽에 녹화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화분형태로,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마감하고, 자연석과 조명을 첨경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사용하는 식물은 2~3종을 관엽과 꽃을 혼합배식하는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중간크기의 밝은 잎을 가지고, 20~50cm의 크기에 가로세로 풍성한 형태의 식물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업무공간의 ‘주업무공간’은 공간의 구분과 함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휴게공간’은 심리적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준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녹화의 설계에 적용 공간유형별 사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표준유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실내녹화를 도입할 시 이용자들의 선호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에는 실질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7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一蠹 鄭汝昌(1450-1504)의 삶과 학문적 특징이 무엇이며 그의 생활 및 강학 공간인 지리산권, 그 가운데서도 하동의 악양정과 함양의 남계서원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하는 것을 따진 것이다. 정여창에게 있어 하동과 함양은 대표적인 삶의 공간이었기 때문에 하동은 악양정을, 함양은 남계서원을 중심으로 살폈다. 악양정은 그가 은거하며 심성수양과 강학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곳이라는 측면에서, 남계서원은 정여창 사후 이곳을 중심으로 추모사업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정여창은 김종직 문하에서 『소학』을 중심으로 한 실천유학을 배워 김굉필과 함께 도학의 선구가 되었다. 하동의 악양정은 중요한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는데 李澄이 그린 「花開縣舊莊圖」나 한말 정재규의 「岳陽亭會遊記」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함양의 남계서원은 북인, 남인, 노론의 장악이라는 정치적 변화과정을 거치기는 하지만, 그 중심에는 정여창의 정신을 계승하려는 노력이 굳건히 유지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여창을 추모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수많은 시문이 창작되기도 했다.
        127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rick walls are being widely introduced in rural areas. Walls are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of space. However, most brick wall works do not consider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rick wall bonds such as the stack bond, running bond, english bond, flemish bond, america b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psychological evaluation results among student group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using 10 adjectives. 2)Stack bonds have an uninspiring, artificial, simple, restful, boring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Running bonds have an uninspiring, restful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merica bonds have a unique and modernis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English bonds have a unique, modernistic, complex and chao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lemish bonds have no crit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3)The running bond earned the highest score in preference, while the stack bond scored the lowest. Employment of brick wall bonds on this study wa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brick wall bond design. 4)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brick wall bonds is very important and we should consider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of rural areas.
        1273.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biological assessment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were carried out in the lower reach of Seomjin River from May 2009 to November 2010. The collected fish from the six surveyed sites were 63 species belonging to 24 families, and 10 orders. Although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sites, the numbers of individuals were not shown significance on sites. Locational dominant species were different. For example, the dominant species on May were Zacco platypus at W-1, Zacco temminckii at W-2, Acanthogobius flavimanus at W-3 and W-4, and Leiognathus nuchalis at W-5 and W-6. There is no seasonal differences in species. Species diversity was the best up to 2.64 on May at W-1 from 1.33 on November at W-6. As a result of an analysis about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numbers of fish species and individuals in each surveyed sites, the most effective groups were DO, BOD, and COD. The proportional difference was high on May than November between transient and asymptotic projections for population size and population growth rate for simulations starting at the current or theoretical stage distribution.
        127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죽나무의 확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간분포를 조사하고 입지특성, 식물상 분석을 실시하여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지점은 군락의 우점도가 높고, 생육입지가 균질한 유형을 고려하여 김천, 산청과 양평의 3장소를 선정하여 Line-transect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 면적 크기는 양평 1,435 m2, 김천 1,118 m2, 산청 760 m2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510개체가 공간상에서 무작위(random)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흉고직경(DBH) 계급범위(Class) 중 I(1.0-3.4 cm), II(3.5-6.4 cm))에 포함되는 가죽나무는 평균 83.2%로 가죽나무군락은 직경이 작은 개체가 우점하며 생육지의 교란정도에 따른 분포 패턴이 밝혀졌다. 식물상은 총 43과 75속 91종이 조사되었으며 3지역 모두 일년생식물(Th)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생육지가 최근에 교란이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가죽나무개체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도로변 개체군 제거와 동시에 산지개체군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27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게임 맵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공간 분석 수치를 제공함으로써기획자들로 하여금 게임 객체를 배치하는데 있어서의 합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이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Space Syntax을 이용한 게임 플레이어들의 행태 분석에 국한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게임 개발 단계인 레벨 디자인에서 Space Syntax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게임 객체의 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논문의 산업적인 가치로는 합리적인 게임 객체의 배치에 따라 기존의 레벨 디자인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복적인 작업들을 줄여 게임 개발 기간 및 개발 기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278.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기관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방사선 발생장치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방사선으로 인해 환자가 받는 직접적인 피폭을 가능한한 줄이는 목적도 중요하지만 촬영시 공간 내에서 받을수 있는 간접적인 피폭을 줄여 의료업에 종사하는 의료인, 방사선 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의 피폭을 줄여야 한다. 엑스선촬영실에서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에게 방호복의 착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불가피하게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가 환자의 촬영 보조를 할 경우, 방호복 착용에 의한 중량감 및 불편함 때문에 방호복 착용이 등한시 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호복 유무에 따라 공간산란선량을 측정하고 거리, 가로면 각도 및 높이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방호복 착용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279.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남한에서는 설악산 고산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였다. 선발된 9개 I-SSR primer에서 총 78개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0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48개의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구(40 m × 70 m)에는 눈잣나무 65개체가 자생하고 있었으며, 채집한 눈잣나무의 위치자료를 바탕으로 군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약하게 집중분포(Aggregation Index = 0.871)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든 개체에 대하여 I-SSR 유전자형을 비교한 결과, 65개체 중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40개의 genet이 식별되었다. 유전자형 비율(G/N)은 61.5%, 유전자형 다양성(D)은 0.977, 유전자형 균등도(E)는 0.909로 각각 나타났다. Shannon의 다양성지수(I = 0.567)는 적은 개체수와 제한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종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나타났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 내의 눈잣나무 집단은 12 m 이내에서 유전적으로 유사한 군락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el 검정 결과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눈잣나무 집단이 초기에 여러 개의 모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현지외 유전자 보존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은 최소 12 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280.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 천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 특성에 의한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분석하고, 유출 및 유사량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점 강우 내삽기법(Thiessen Polygon: TP,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Kriging) 및 레이더 강우 합성기법(Gauge-Radar ratio: GR, Conditional Merging: CM)을 이용하여 태풍으로 인한 3개의 집중호우 사상기간동안의 강우장을 생성한 후 각 기법들에 의해 생성된 강우장의 양적, 공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기법별로 생성된 공간분포형 강우를 분포형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에 따른 유역에서의 강우-유사-유출 분석 및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상 우량계를 이용한 내삽기법의 경우 유사한 우량주상도 및 수문응답을 나타내었으며, 원시 레이더 자료 및 GR기법에 의한 결과는 각각 과소, 과대산정된 반면 CM기법은 레이더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양적으로도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양적으로 유사한 강우장임에도 불구하고, 각 기법에 의한 강우장의 공간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상유역내 침식 및 퇴적양상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