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교육 현황과 초등학교 漢字교육에 관한 교사 및 학 부모 의견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밝히고, 그 결과와 지금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적용되고 있는 정책적 여건들을 대조하여 본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漢字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은 재량활동시간의 2시간 중 1 시간이었다. 그런데 2009학년도부터는 5,6학년 재량활동시간에 각각 연간 17시간 이상 보건교육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그나마 있던 1시간의 여유마저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처럼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한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현장에서는 초등학교 漢字교육에 대한 열의가 식지 않 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敎育課程상 漢字교육을 편성하고 있는 학교는 63.1%였고, 어떤 형태로든 漢字敎育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90.2%, 한자관련 시험이나 대회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44.3%였다. 그리고 응답학교의 36.9%가 특별활동시간에 한자 관련 부서를 운영하고 있고, 29.5%가 방과후학교(특기적성 부서)에 한자 관련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을 보면, 교사와 학부모의 90%이상이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한자가 정규 과목이 아니기 때문이 다. 또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되 기 때문이라는 점을 뽑고 있고, 한자 어휘 중심으로 지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 다고 생각하고 있다. 지금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한자와 어휘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데, 이는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앞으로도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한자 어휘 중심으로 지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방향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지금과 같이 학교 자율 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가장 많이 바라고 있으나, 이는 수업부담, 학생들의 학습량 증가에 대한 부담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이 필요하 지 않은 이유로 가장 많이 응답된 것도 학습량 증가로 인한 부담 가중이다. 따라 서 앞으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정규과 시간 편임 또는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습 량 증가로 인한 부담 가중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한문 과목이 개설되는 것을 전제로,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구상해 본 것이다. 특히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초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을 구성해 보려고 하였는바, 이는 과 목의 명칭에서부터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에 이르기까지 한문 과목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기도 하다. 초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계(안)는 2007년 개정 중․고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 정의 내용 체계를 그대로 따르되, 내용 요소는 일부 수정하였다. 곧, 한문 영역의 경우, ‘읽기’와 ‘이해’ 에서는 한문 텍스트를 ‘短文’, ‘산문’, ‘한시’의 세 종류로 나누고, 이 각각에 대한 ‘읽기’, ‘이해와 감상’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 ‘문화’에서는 ‘전 통 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 였다. 한문지식 영역의 경우, ‘한자’에서는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을 내용 요 소로 선정하고, ‘어휘’에서는 ‘단어의 형성’, ‘어휘와 의미’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 ‘문장’에서는 ‘문장의 구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영역별 내용은 2007년 개정 중․고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의 제시 방식을 그대로 따르되, 일부 하위 학습 요소를 초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 계(안) 및 학년별 수준에 의거하여 재조정하였다. 초등학교에 한문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는 정규 교과로 개설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창의적 재량 활동의 汎敎科학습 과목으로 개설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한자 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초등학 교에 한문 과목이 정규 교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으로는 국어 교과에서 한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 교과서마 다 주요 학습 용어에 한자를 倂記함으로써 모든 교과에서 한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현재 初等學校의 漢字敎育은 주로 漢字와 漢字語및 故事成語등을 學習內容으로 삼고 있다. 中․高等學校의 漢文敎育은 주로 漢文文章을 학습 내용으 로 삼고 있다. 初等學校의 漢字學習內容은 현재 우리 言語生活에서 사용되는 漢字語彙(漢字語)를 위주로 한 것이며, 중․고등학교의 한문 학습은 20세기 초 까지 創作되었던 漢文學作品에 쓰인 漢文文章등이다. 漢字語와 漢文의 두 학 습 내용은 전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國語體와 漢文의 統辭構造와 한자로 쓰인 漢文體의 相互關係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言語의 文體는 表記를 비롯하여, 統辭構造, 語彙, 修辭法등을 고려하여야 한 다. 우리 민족이 역사적으로 사용했던 문체는 매우 다양하다. 첫째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둘째 朝鮮風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한역 어휘(우리말을 한역한 어 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셋째 壬申誓記石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넷째는 吏讀鄕札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가차 어휘(우리말을 한자의 뜻과 음을 가차하여 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다섯째는 口訣풀이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 자와 한글 및 구결 등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여섯째는 口訣懸吐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구 결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일곱째는 經書諺解體와 한글懸吐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 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여덟째는 國漢文混用表記國語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 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아홉 째는 한글轉用國語體이다. 표기는 한글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체는 국한문혼용 국어체와 한글전용 국어체이다. 이 들 국어체는 한문체에 구결이나 한문체를 언해한 국한문혼용체에서 발달한 것이 다. 현재의 국어체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문장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자 어 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순수한 국어체가 존재하기는 하나, 일부 시에서만 가능 할 뿐이며 언어생활 전반에서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가 동시에 사용되는 국 어체이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국어체와 한문의 통사구 조와 한자로 쓰인 한문체는 역사․발전적 상호 관계가 있다. 한편 해방 이후 초등학교의 한자 교육은 방향성을 상실하고 우왕좌왕하다가 한 자․한문 교육을 도외시하는 쪽으로 진행 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을 연계할 필요가 생겼다. 상호 연계의 근거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한자 어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박지원 의 열하일기, 정약용의 목민심서 등과 같은 수많은 한문 작품이 오늘날의 ‘국 어체’로 번역되어 읽히고 있다. 이는 한문의 독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한자 어휘가 사용되고, 한문학 작품이 ‘국어체’의 문장으로 독서된다는 것은 기본적인 한자․한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절대적 근거이다. 따라서 ‘국어체’의 기초 교육과 정인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한자 교육을 정식으로 도입하는 것이 옳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30여 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한글전용정책을 폈지만, 私敎育市場에서는 도리어 漢字敎育熱風이 일어나고 있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은 敎科書나 專攻書籍에 나온 漢字語마저 속 시원히 읽고 뜻풀이를 하지 못하는 세 상이 되고 말았다. 대학생은 졸업 시기가 되면서 就職때문에 다 늦게 漢字工夫 에 熱中하여야 하는 세상이다. 위의 이러한 문제들은 짧은 시일 내에 解決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먼저 初等學校敎育現場에서 漢字敎育이 正規敎科로 施行되어 제 位相을 찾 을 때, 문제는 解決될 것이다. 이 논문은 오늘날 初等學校의 漢字敎育의 變遷과 그 必要性과 意義를 살펴 본 논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ultilateral weight control program provided by the university health care cent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rogram was 8weeks long and composed of nutrition consultation,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tion.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a low calorie and balanced diet, increasing the intake of protein and micronutrients and reducing carbohydrate and fat consumption. Evaluations were made upon completion of an 8-week program and upon follow-up at 6 months after the end of program. A total of 92 women completed the 8-week program, while 20 completed the follow-up survey. Upon completion of the 8-week program,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BMI, body fat (kg), and %body fat were observed, and muscle mass was also reduced. The total energy and carbohydrates intake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bjects with weight loss, while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se consumption of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B1, B6, and niacin did not meet the EAR, were decreased. The blood value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decreased. The follow-up survey revealed that the subjects continued to lose weight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addition, a Mini nutrition assessment revealed that diet quality improved, especially with respect to reductions in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fried, greasy and salty food. In conclusion, the multilateral weight control program with diet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as effective for long lasting weight control and improved dietary behavior. Nutrition education for weight reduction should focus on balanced nutrition as well as lowering the total caloric intake.
지구과학 분야에서 대기와 해수의 운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인 전향력의 이해를 돕고자 전향력 실험장치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교과서에 제시된 전향력 실험 장치는 구슬을 내려 보내는 굴림대가 회전원판과 함께 회전하지 않으므로 구슬의 궤적을 이용하여 지구 위에서 전향력에 의해서 일어나는 대기나 해수의 운동을 바르게 설명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굴림대(빗면)를 원판에 부착하여 원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구슬을 보낼 수 있는 새로운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장치와 기존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향력 실험을 각각 실시하여 교과서의 실험 장치와 개발한 실험 장치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실험 장치는 구슬이 원판에 부딪히는 순간에 운동이 매끄럽지 못하여 구슬의 궤적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에 개선된 실험 장치는 구슬의 궤적을 분석하기 쉬웠으며, 구슬의 속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어서 구슬의 속도가 다를 때 궤적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최근 들어 과학관과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가 강조되고 있으나 과학관이 학교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의 교육과정 반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수 있는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학관 패널 전시 설명문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충청도지역의 세 과학관에서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와 교육과정 도달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는 38.7%로 측정되었으며, 교육과정 도달 수준은 5.0 만점에서2.82로 평가되었다. 차후 과학관 전시물의 패널 전시 설명문의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와 도달 수준의 평가 결과가 활용될수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