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31

        202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stressed concrete PSC girders are efficient in terms of structural performance, economical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However, PSC girders have overtuning risk in construction in which extra work needs to protect. The low center of gravity girder (MPC girder) is more stable and easier to construct than the traditional PSC girder, which has tweaked end point and mono-tendon ancho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ructural advantages in the deflection (slope) and stress on the link slab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inforcement in the link slab for the bridge continuation may be reduced because of less displacement.
        202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evaluate system reliability of a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more than two structural membe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at the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s in parallel or in serial. Especially for parallel composite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confirm that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for the members are brittle or ductile. For parallel system of brittle materials, if one part fails, that part cannot resist load anymore and the whole load transfers to the other part. However, for parallel system of perfectly plastic materials, if one part fails, that part can maintain the amount of its maximum load capacity and the remaining load transfers to the other part.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determine reliability index for composite structures consisting of quasi-brittle materials. By assuming quasi-brittle materials as brittle or perfectly plastic materials, the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reliability index can be determined. The reliability index for parallel system of quasi-brittle materials is then determined by interpolating the upper and lower bounds indices using ductility number extracted from stress-strain curves of quasi-brittle materials.
        2023.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presented the analytical safety evaluation of precast modular bridge super-structure, using standardized modular members and robotic construction during the transportation routing and lifting condi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bridge system, linear and nonlinear 3D full scale Finite Element (FE) for 12 m and 16 m standardized modular blocks was developed in ABAQUS and then analytical study wa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structural systems according to steel girder structures: 1) modular bridge block lifting method including the steel girder system; 2) modular bridge block lifting method without the steel girder system. As a result, in analytical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ximum stress of each modular member was in maximum allowable stresses, during lifting condition. However,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connected area was more critical in comparison to the behavior of entire modular blocks both 12 m and 16m, during lifting time.
        2024.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the Load of upper structures is transferred to concrete foundations through columns supporting them. So, the anchor connection system is usually adopted in order to connect the columns and the concrete foundations. To apply this system, the column-foundation connections need to be designed with enough stiffness. This study was experimentally conducted to effectively improve the structural detail of circular CFT column-foundation connections, to which axial and lateral load simultaneously apply. For this study, the test specimen with a general anchor and an anchor frame, and the specimens with the high-tension bolt and inner reinforcement were fabricated. In addition, double base plates were adopted to have the enough stiffness of connection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failure mode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nd the improvement of structural detail of circular CFT column-foundation connections was suggested.
        3,000원
        202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performed non-elastic dynamic analyses using LS-DYNA for plate structures made of laminated composite materials. It was used mat_59_composite_failure_shell_model providing from LS-DYNA as material model of composite material The material which is applied in the analysis as CFRP and GFRP, were compared by performing the dynamic analysis in accordance with various layup sequences. Numerical results show structural resistance against impact loading for different material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layup sequence in analyzing composite structures under impact loading is enunciated in this paper
        202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deals with the strengthening effect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sheets (CFSs). Fifteen strengthened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to determine improvements in structural performance. Test parameters in this experimental study are strengthening ratios and strengthening methods of CFSs (I-S, I-W, U-S, U-W type). RC beams strengthened with CFSs were tested under sustaining load. Considering strengthening ratios and strengthening methods of carbon fiber sheets, structural performance and failure mode of test specimens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maximum capacity of beams strengthened with CFSs is about 28.8% in I-S type, 20.5% in I-W type, 26.0% in U-S type, 28.7% in U-W typ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eam.
        202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structures into minor-damage column (URM), moderate-damage column (URO), and severe-damage column (URS), depending on the RC column of damage degree, and reinforced columns with the UHMWPE fiber in order to perform modeling of the structures. Then, we execut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of NRF (non-reinforced column) and URF (column with UHMWPE fiber reinforcement). The maximum strength was increased with 14.91% of URF, 14.05% of URM, 14% of URO, and 6.5% of URS on the basis of NRF and the columns with minor and moderate damages exhibited the similar stiffness as that of the URF.
        202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Nayoung. 2015. “A sociolinguistic study on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sociocultural meaning of pun and speech play in Korean young children’s peer talk”.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1~30.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pun in a Korean preschool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and analyze how Korean young children learn and speak their peer talk and cultural theme in regard to forms and meaning of pun and speech play. For this study, I conducted ethnographic fieldwork for one year at a Korean preschool, focusing on intensive participant observation of teachers’ and children’s interactions, supplemen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in classroom, I argue that 1)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pun(sound patterns, lexicon, syntax, and pragmatics) and 2) sociocultural and interactional meaning(performance, pun in class, taboo as sexuality and curse) in various forms of everyday talk.
        7,000원
        203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낙동강 상류에 설치된 수중보 2곳(St.1, St.2)과 본류에 설치된 낙단보(St.3) 및 상주보(St.4)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2014년 봄, 여름, 가을 총 3회 수질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분류군별 출현현황은 소형 수중보(St.1, St.2)와 대형 보(St.3, St.4)에서 각각 총 11목 32종, 14목 52종, 13목 34종, 9목 18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평균 다양도지수(Hˊ)와 풍부도지수(Rˊ)는 St.2에서 각각 2.65와 2.54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우점도지수(DI)는 St.4(0.8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FFG) 분석결과, P(Predator)와 GC(Gathering Collector)의 종수 점유율은 대형보에서 88.0%~90.0%, 수중보에서 64.3%~83.3%로 나타났다. 서식기능군(FHG) 분석결과, 비교적 유수역을 선호하는 종으로 구성된 CL(Clinger)의 점유율이 소형 수중보에서는 32.3%~48.4%로 대형보의 9.7%~2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대형 보에서 I 그룹(저항력↑, 회복력↑)과 III 그룹(저항력↓, 회복력↓)에 속하는 종들이 수중보에 비해 각각 더 높은 점유율(75.0% > 70.0%, 16.7% > 14.0%)을 나타냈다.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수 및 개체수는 물리적 환경요인인 pebble입자와 양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또한 전기전도도, COD가 종수, 그리고 DO가 개체수와 음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203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19개의 방 형구(10m × 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태백산 당골계곡 19개의 조사구들은 다양한 지형적 특성 및 방위, 경사도와 해발고에 의하여, 토심 및 토양산도 등을 비롯한 입지인자의 차이로 인한 수종분포의 차이와 각 조사 구들을 Cluster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 되었다. 평균상대우점치(M.I.V.)의 경우 군집 A는 산개벚 지나무 16.2%로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으로 군집 B에 소나 무가 평균상대우점치 12.5%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군집 C 는 거제수나무가 평균상대우점치 18.6%로 가장 높았고, 군 집 D 또한 거제수나무 평균상대우점치 17.4%로 가장 높았 으며, 군집 E는 낙엽송이 우점종으로 평균상대우점치 31.5% 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중요치(Importance value)는 군집 A의 경우 상층에서는 산 개벚지나무의 I.V.가 18.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산겨릅나 무가 나타났다. 중층에서는 시닥나무의 I.V.가 33.3%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산개벚지나무, 분비나무, 함박꽃나 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 B의 경우 상층에서는 소나무의 I.V.가 20.9%로 가 장 높았고, 다음으로 분비나무, 들메나무 등의 순이었고, 중 층에서는 당단풍나무의 I.V.가 20.8%로 가장 높았고, 다음 으로 귀룽나무, 분비나무, 회나무 등의 순으로 높았다. 군집 C는 상층에서는 거제수나무의 I.V.가 23.4%로 가장 높았 고, 다음으로 들메나무, 당마가목 등의 순이었고, 중층에서 도 거제수나무의 I.V.가 1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함 박꽃나무, 복장나무, 까치박달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 D는 상층에서 거제수나무의 I.V.가 26.2%가장 높 았고, 다음으로 산겨릅나무, 복장나무 순으로 나왔고, 중층 에서 당단풍나무의 I.V.가 13.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복장나무, 들메나무, 함박꽃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 E는 상층에서는 낙엽송의 I.V.가 52.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으로 거제수나무, 신갈나무, 당마가목 순으로 나왔고, 중층 에서는 당단풍나무의 I.V.가 24.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으로 당마가목, 물개암나무, 신갈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별로 조사된 목본식물의 종다양성을 보면 군집별 방 형구수는 군집 A와 군집 B는 4개, 군집 C는 3개, 군집 D와 군집 E는 4개로 군집 간 방형구수의 차가 심하지 않게 나타 났다. 출현종수는 군집 B가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 로 군집 D와 E가 22종으로 나타났다. 종간의 상관관계는 거제수나무와 부게꽃나무, 산겨릅나 무,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당단풍나무와 신갈나무,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 간에 서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까치박달나무와 잣나무, 복장나무와 회나무, 신갈나무와 철 쭉이 수종 간에 매우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종 다양도 (H')는 군집 A, B, C, D, E에서 각각 1.0172, 1.3011, 1.1483, 1.1882, 1.0459로 나타났다. 종 다양성을 최대종다양성으로 나눈 균재도(J')에서는 군집 B가 0.8991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군집 C, 군집 D 순으로 나타났다.
        203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 실시 이후에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확대 및 자율권 등에 기인하여 규모와 역할 범위 뿐 아니라 그 수에 있어서도 2014년 6월 현재 396개로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방공기업들이 이와 같은 양적인 증가에 상응하는 거시적 성과를 창출하지 못하였고, 경영 및 관리의 책임소재 또한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수의 지방공기업이 부실 경영으로 인한 부채 증가로 인해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지방공기업의 사장(이사장 및 관리자) 등의 전문성 부족과 통제 및 감사기구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즉,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고찰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지방직영기업의 관리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인사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일정부분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종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따라서 관리자를 임명할 때 지방의회의 추천을 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임명하는 구조로 바꾸고, 아울러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만을 관리자로 임명할 수 있었던 것을 전문성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민간인도 관리자로 임명할 수 있게 하여 관리자의 독립성을 보장해주고, 지방직영기업의 경영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공사·지방공단의 이사회의 구성에 있어서 현행 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사장(이사장)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사회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장(이사장)을 포함한 상임이사, 비상임이사의 정수를 100분의 50 미만으로 사외이사의 비율을 100분의 50 이상으로 한다”로 개정하여 사외이사의 비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원추천위원회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2명 추천할 수 있었던 규정을 삭제하고, 의회와 이사회의 추천 권한을 각각 1명씩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사회의 평가 결과를 지방공기업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이 알 수 있도록 공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감사제도에 있어서는 감사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을 17개의 광역자치단체권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모든 지방공기업에 대해 감사를 할 수 있도록 외부감사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자산규모가 2조원 이상인 대규모 지방공기업의 경우는「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운영하는 바와 같이 감사위원회의 설치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203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ccessful development of weapon systems requires a stringent verification and validation (V&V) process due to the nature of the weapons in which continual increase of operational capability makes the system requirements more complicated to meet. Thus, test and evaluation (T&E) of weapon systems is becoming more difficult. In such a situation, live fire tests appear to be effective and useful methods in not only carrying out V&V of the weapon systems under development, but also increasing the maturity of the end users operability of the system. However, during the process for live fire tests, a variety of accidents or mishaps can happen due to explosion, pyro, separation, and so on. As such, appropriate means to mitigate mishap possibilities should be provided and applied during the live fire tests. To study a way of how to accomplish it i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To do so, top-level sources of hazard are first identified. A framework for T&E is also described. Then, to enhance the test range safety, it is discussed how test scenarios can be generat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use of the anticipatory failure determination (AFD) and multiple event tree analysis (ETA) in analyzing range safety. It is intended to identify unexpected hazard components even in the environment with constraints. It is therefore expected to reduce accident possibilitie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root-cause analysi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