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0

        54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sensitizing potential of Rhus Veniciflua(Rhus-II), when tested by the guinea pig maximization test(GPMT) and Freund's complete adjuvant test(FCAT) with an identical, intradermal induction concentration. A new grading. classification of the sensitization potential is proposed. The GPMT was conducted according to OECD guideline #406, using a multiple-dose design and test results were analys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uring the induction stage, we injected intradermally each three site 0.1 ml( 1mg/animal) test material. 0.1ml complete Freund's adjuvant and 0.1ml the test agent emulsified in the adjuvant. 7 days later, we induced weak sensitization with 10% sodium lauryl sulfate(SLS) and applide 1ml(10mg/animal) test agent topically on the same site and made a tight occlusion. 14 days later we challenged with 1ml(10mg/animal) of test material on the flank and observed ant 24 hours and 48 hours later. The results were also observed 0% at 24 hours challenge. The results observed 48 hours after challenge were the identical. These data indicated that. although Rhus-II is a no contact allergen. It was reported that the skin sensitization by Rhus-II was not detected the skin sensitization in the guinea pig maximization test (GPMT).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Rhus-Il had no contact allergic sensitization in guinea pig maximization test.
        4,000원
        54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감주나무군락지인 안면도 승언리, 대구 내곡동, 포항시 유강리, 양학리, 발산리, 대동배리,모포리, 서촌리를 대상으로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군락유형을 분석하였다. 2002년 4월부터 2003년 9월까지 모감주나무군락의 자연식생을 Braun-Blanquet의 방법에 의해 8개 지소에 68개의 방형구를 설치, 식생 자료를 수집하여 종조성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전 조사지 역에서 는 총 201종이 출현하였으며 식피율은 교목층 30~100%, 관목층 0~90%, 초본층 20~100%였다. 주름조개풀, 칡, 떡갈나무, 사위질빵, 쥐똥나무, 찔레, 쑥, 환삼덩굴, 아까시나무가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류법과 서열법을 통해 군락을 분석하기 위해 TWINSPAN과 DECORANA를 사용하였으며 TWINSPAN을 이용하여 68개의 방형구에 대한 군락 분석을 수행한 결과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 었으며 DECORANA를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한 결과 68개의 방형구는 I축의 값을 기준으로 3개의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4,000원
        543.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ur week repeated 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orally administrated with Rhus-II (water fraction of Rhus Veniciflua). In acute toxicity test, three groups (40 rats of both sex) were administrated different dosages of Rhus-II, 2 g/kg (high dosage group), 1 g/kg, 0.5 g/kg and one group (10 rats of both sex) were received by orally only saline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change, fee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among different dose groups. There was no alteration in relative organ weight by the administration of Rhus-Il. No death of abnormal clinical signs was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etween the groups orally administered Rhus-II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urinalysis, hematological test or serum biochemical values. There were no gross findings at final sacrifice. There was no evidence of histopathological alteration mediated by four week treatment with Rhus-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observable effect level(NOEL) of the test orally administration was considered to be more than 2g/kg in rats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in this study.
        4,000원
        54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동시에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된 미선나무 자생지에 대한 식생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보전대책 수립과 아울러 자생지 복원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및 방향제시를 하기 위함으로 수행되었다. 교목층의 우점종은 굴피나무(괴산군 추점리 I), 소나무(괴산군 송덕리 II와 율지리 III), 아까시나무(영동읍 매천리 IV), 굴참나무(진천군 용정리 V), 소나무와 굴참나무(부안군 중계리 Ⅵ)였다. 아교목층은 떡갈나무(I지 역), 졸참나무(II지역), 상수리나무(III지역), 아까시나무(IV지역), 느티나무(V지역), 굴참나무(Ⅵ지역)로 우점되었다. 관목층의 우점종은 생강나무(I지역과 V지역), 싸리(II지역), 국수나무(III지역), 갈참나무(IV지역), 철쭉(Ⅵ지역)이었다. 초본층의 우점종은 환삼덩굴과 칡(I지 역), 주름조개풀(II지역과 IV지역), 대사초와 칡(III지역), 덩굴닭의 장풀과 환삼덩굴(V지 역), 조릿대(Ⅵ지역)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들 중, 괴산군 율지리가 종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각각 21종, 116개체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지역은 종다양도(1.123)와 최대종다양도(1.322)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괴산군 율지리가 다양한 식생을 형성하고 있었고 영동읍 매천리와 부안군 중계리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식생을 나타내었다.
        4,000원
        545.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was continually monitored by laser-doppler flowmeter (Transonic Instrument, USA)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system composed of MacLab and Macintosh computer. Contractile force was measured with 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under 1.5 g loading tension. Rhus verniciflua stokes in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The rCBF of Rhus verniciflua stokes was decreased by pretreated propranolol, l-NNA and methylene blue. But atropine indomethacin did not change the rCBF. Contractions evoked by PE 0.1μM were significantly inecreased by Rhus verniciflua stokes. Propranolol significantly altered the effe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but l-NNA, ODQ and indomethacin did not change the relaxation of Rhus verniciflua stok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us verniciflua stokes can increase the rCBF and relax EP induced contraction of isolated rat aorta, and that is related to sympathetics and nitric oxide.
        4,000원
        54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비기나무를 해안의 매립지와 모래언덕뿐만 아니라 각종 훼손지 비탈면과 조경공간 등의 녹화ㆍ조경용 식물재료로서 이용성을 확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생묘와 삽목묘를 이용하여 토양의 종류와 토양함수율에 따른 생장특성을 연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함수율 5%구에서도 실생묘가 70% 이상, 삽목묘가 4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순비기나무는 내건성이 대단히 강한 수종으로 나타났다. 토양함수율 10% 이상에서 실생묘는 92~100%가 생존하였고, 삽묘목는 50~80%가 생존하였다. 2. 토양별 묘목의 평균생존율은 실생묘의 경우 화강암질풍화토에서 94%로 가장 높았고, 바다모래 (93%)와 적색미사질양토(88%)에서도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토양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삽목묘의 경우 56~66%로 실생묘보다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는데, 낙엽기에 이식하거나 생장기에는 전정 후에 이식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3. 줄기길이, 근원직경, 잎, 뿌리길이 등의 생장량은 3개 시험 토양에서 모두 토양함수율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토양함수율에 따른 생장량의 차이는 줄기길이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4. 토양별 생장량은 전반적으로 화강암질풍화토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바다모래와 적색 미사질양토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개 시험토양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5 따라서 순비기나무는 토양적응성이 넓고 내건성이 강하여 해안지역과 육지의 다양한 녹화 조경 대상지에서 녹화식물로서 이용범위가 대단히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4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선나무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생육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전 및 복원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것이다. 토양의 종류는 사양토, 식양토, 미사질양토이고 화학적 특성간 상관성은 전질소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게 나타났다. 생육특성의 경우 수고와 줄기직경은 I지역에서, 수관폭은 II지역에서, 엽수는 V지역에서, 종자수는 IV지역에서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였다.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성에서는 수폭과 줄기직경이 높게 나타났다. 생장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전기전도도와 수고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수고와 전기전도도의 설명력은 약 70.4%. 엽수와 전질소량은 약 70.2%였다. 미선나무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광도, 온도, 유전형질 등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된 정밀 환경분석이 요구되어진다.
        4,200원
        54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지 구성물질로서 발포 유리질 소재(CGF)와 탄화 밤나무 목재입자(CCW)를 이용하여 배지를 재발하고 원예재배용 배지의 국산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토마토 종자는 발포 유리질 소재, 탄화 목재입자, 입상암면(GR), 그리고 피트모스를 혼합한 4종의 배지를 만들어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하여 종자를 200구 플러그 트레이에 4반복으로 파종한 후 fog 번식상에서 3일간 발아시켰다. 발아 후 양지붕형 유리온실에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저면관수로 양액을 공급하여 육묘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공정육묘 배지(토실이)를 대조구로 이용하였다. 플러그묘의 생육은 파종 후 31일째 측정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생육결과를 나타냈지만 특히 CCW(67%)+peatmoss(33%) 혼합배지에서 초장, 뿌리등급, 생체중, 그리고 배지의 기상과 가비중이 다른 처리에서보다 유의성 있게 좋았다. 모든 배지의 pH는 6.3∼7.4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CGF와 입상암면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배지의 pH는 증가하였다. 재배 후 배지의 EC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독성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엽수와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4,000원
        551.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손의 기능, 즉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손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검사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성, 연령, 우세한 손)과 신체적인 특성(앉은키, 몸무게)에 따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의 정상아동 표준치를 제시하여서, 아동 치료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학생 85명(45.2%), 여학생 103명(54.8%)으로 전체 188명이였다. 자료는 8세에서 13세까지 6집단으로 나누고, 평균, 표준편차, 백분위 점수로 나타내었다.결과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평균값은 성별, 연령, 우세손에 따라 계산되었다(남자: 80.15, 여자: 75.68). 성별에 따라 점수를 비교했을 때, 남자 학생들의 점수가 왼손, 오른손 손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결론 : 본
        4,600원
        55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북도 충주지역에서 생육하는 굴참나무림에서 세근에 의한 지하부에서의 연간 탄소축적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달 토양샘플러를 사용하여 0-30cm, 30-60cm, 그리고 60-90cm 토양 깊이에서 샘플을 채취하였다. 세근에 의한 탄소생체량(fine root carbon biomass)은 다른 두 개의 조사 토양깊이에서 보다 0-30cm 토양깊이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근에 의한 순탄소생산량 (kg/㏊/yr)은 0-30cm에서 671kg, 30-60cm에서 599kg, 그리고 60-90cm토양깊이에서 479kg로 나타났으며, 0-90cm토양깊이에서 세근에 의한 총 순탄소생산량은 1749kg이었다 세근고사율은 0-30cm에서 0.43, 30-60cm에서 0.96. 그리고 60-90cm에서 1.03로 나타났다. 세근고사율에 의한 토양으로의 연간 양분투입량은 N의 경우 33.9kg/㏊/yr, P의 경우 1.8kg, K의 경우 11.4kg, 그리고 Ca의 경우 20.1kg으로 나타났다.
        4,000원
        55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가래나무의 조림에 대한 성적평가와 개선대책을 마련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가래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물푸레나무와 가래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9년까지의 직경생장에 가래나무 임분기원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천연림의 가래나무의 연평균직경성장량은 7.31mm/year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맹아림에서는 6.93mm/year, 조림지 에서는 5.28mm/year로 최소값을 보였다. 조림한 가래나무의 초기의 직경생장이 맹아갱신된 나무나 천연생의 나무보다 지극히 낮다는 것은 가래나무 나근묘의 식재는 성적이 매우 불량함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래나무림 갱신에서는 맹아, 천연하종, 직파조림 등의 다른 갱신법들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55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 국립공원 내 용바위골 지역(a.s.1. 560∼640 m)의 신갈나무림에서 토양에 축적된 유기탄소, 질소, 인 및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고 또 O1son(1963)의 부지수곡선 모델을 적용하여 낙엽의 분해상수(k)와 분해시간(t)를 측정하였다. 유기탄소량은 L층 231.25 g m-2, F층 291.50 g m-2, H층 166.91 g m-2, 그리고 A1층 174.51 g m-2, 로 L층과 F층에서 높
        4,000원
        55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55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환경친화적이며 생태적 숲관리를 위한 활엽수의 조림기술을 개발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및 자작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거제수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12년∼13년까지의 직경생장에 자작나무속 세 수종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조림된 거제수나무의 연평균직경생장량이 7.67mm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조림된 자작나무. 조림된 물박달나무의 순으로 나타났고, 천연림의 거제수나무가 4.32mm로 최소값을 보였다. 이 지역에 자작나무속의 수종을 조림한다면 거제수나무가 가장 적절한 수종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자작나무속의 대면적 조림은 문제점은 많으나 적절한 시도였다고 판단된다.
        4,000원
        558.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연폐광지역의 토양에 토양개량제를 처리한 후 구절초와 층꽃나무의 생장반응을 연구함으로서 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아연폐광지의 토양은 유기물 함량ㅇ이 낮았고, 토양 중 중금속 이온은 Z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Pb, Cu, Cd순이었다. 아연폐광지역 토양에 슬러지 처리 시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 중금속 이온 함량은 토양개량제 초리구간의 차이가 적었다. 생육반응을 보면 구정초와 층꽃나무 모두 슬러지 처리구의 효과가 나타났다. 구절초와 층꽃나무의 가용성 단백질,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반응은 슬러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광함성량과 증산량도 슬러지 처리구에서 높았다. 중금속 축적량은 구절초는 슬러지 처리구에서 낮았던 반면 층꽃나무는 슬러지 처리구에서 높았다.
        4,000원
        559.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까시나무 조림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하고 있는 다른 임분의 토양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여 토양특성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 임분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와 양질 사토로 나타났다. 토양 pH, 유효인산의 함량, 탄소와 전질소의 함량이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 임분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에서 토양 pH와 탄소의 함량은 참나무류림보다는 낮지만, 소나무류림보다는 높았으며, 유효인산과 질소의 함량은 아까시나무 조림지가 인접 임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임분들 사이에서는 토양 pH가 높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탄소와 전질소함량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토양 pH, 탄질률, CEC, 전질소함량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까시나무가 인접하고 있는 참나무류림과 소나무류림에 침입하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4,000원
        560.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convenience of use and rapid access to their information to find, many Internet users utilize the search engines or portal sites to find their information and web sites. However, many researches related with web site evaluation pointed out that many factors have to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the site and the degree of user's preference about the site.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preference factors are derived to evaluate the portal sites. And then, five portal sites are evaluated by the questionnaire. CHAID, a decision tree technique, i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survey and the relationships of preference factors. This research can be an indicator when we analyze the preference factors of portal site and other kinds of web sites using decision tre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