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Palazzo Firenze of B. Ammannati, designed between 1550~1572. He was active in Rome and Firenze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His most important project, such as Palazzo Pitti, is located in Firenze. But there are some projects that are important as well as Palazzo Pitti in Rome, such as villa Giulia and Palazzo Firenze. Usually, in the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the period in which Ammannati was active is denominated as late-Renaissance or Mannerism. In this period there was very important progress in field of artistic theory. There were active many great Masters such as Michelangelo, Vignola and Giulio Romano. But, over the all,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was a transition period between Renaissance and Baroque. This paper try to reveal such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architectural projects designed in this period, focusing on, over the all, B. Ammannati and his Palazzo Firenze project..
Through the volume change of Sn in a low-temperature phase transformation, the Sn nanopowder with high, purity, was fabricated by an economic and eco-friendly process. The fine cracks were spontaneously generated. in, Sn ingot, which was reduced to powders in the repetition of phase transformation. The Sn nanopowder with 50 run in size was obtained by the 24th repetitions of phase transformation by low-temperature and ultrasonic treatments. Also, the powder was fabricated by the oxidation of the produced Sn powder to the ingot and milled by the ultrasonic milling method. The nanopowder of 20 nm in size was fabricated after the milling for 180 h
복잡한 산악지형과 숲이 있는 나로 우주센터의 미규모 바람장을 MUKLIMO를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지형과 나무가 있을 때 모델의 민감도를 실험하기 위하여 각종 초기조건하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나무는 평지 위에 서는 큰 영향을 미치나 언덕지형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나로 우주센터의 10m 상공에서의 미규모 바람장과 또, 발사장의 건설전후의 바람장도 모의하였다. 본 연구결과 MUKLIMO는 복접한 지형에서도 바람장의 수치모의가 가능하며 매우 유용함을 알았고 우주센터에서의 바람의 특성이 규명되었다.
Im 18. Jahrhundert stritt man um allgemeingültige Kriterien für die Kunstkritik, welche ebenda aufzblühen begann. Im Zent ru, dieser Auseinandersetzung die uns als "Laokoon-streit" bekannt ist, befanden sich Johann Winckelmann einerse its und ein französischet Bildhauet Etienne-Maurice Falconet(1716-1791) andererseits. Die beiden waren von gamz unterschied lichen Kunstideen überzeugt. Obwohl sie niemals zusammentraf, fielen sie in eine hegtige schriftliche Diskussion. Wie bekannt, vertrat Winckelmann den aufkommenden Klassizismus. Er setzte die griechische Kunst auf die höchste Rangstufe auf und bezeichnet sie als Träger der sogenannten "edlen Einfalt und stillen Größe, doe sonst in der Natur verborgen bleibe. Nach Winckelmann sollte der Künstler die griechischen Vorbilder wie Apollo von Belvedere und Laokoon nachahmen, um das wrsentlich Schöne zu erlernen. Falconet übte eine scharfe Kritik gegen die Meinung Winckelmanns und die Diletantismus in der Kunstkritik aus. Selbst als Theoretiker warf er vor, dass die Klassizisten um ihr dogmatisch struktuiertes Lehrgebäude willen alle andere Eigenschagten der Kunst sowie Kunstwerke übersahen und ihre Apotheose der klassischen Kunst auf die Entwicklung der Kunst eher als Hindernis wirkte. Im besonderen Hinblick auf den Aus druck der menschlichen Leidenschaft distanzierte Falconet sich von der Lehrmeinung des Klassizismus, nämlich Zurüakhaltung derselben Leidenschaft wegen der idealen Schönheit. Vor dem Laokoon teilten Falconet und die Klassizisten ihre Meinung unüberbrückbat coneinander. Für diese war der Laokoon die Repräsenta- tion des erhabenen Menschen, der leidet, ohne seinen Affekt zu en- thüllen. Im Gegensatz sah Falconet in demselben Werk einen erlungenen Ausdruck des menschlichen Gefühls. Sein Debütwerk <Milon von Croton> ist also die Visualisierung seiner Kunstauffassung. Unter Einfluss Pierre Pugets sowie seines Lehrers Jean-Baptiste Lemoyne bemüht er sich darum, den Ausdruck der menschlichen Leidenschaft durch kunsttechnische Lestung und wissensch aftliche Forschung zu erstarken. Daraus ergab sich die expressive Ausdrucksform des Affekts. In diesem Fall verband sich Falconet mit der Tradition des barocken Kunstwollens, aber er ging einen Schritt weiter, indem er die Ausdrucksweise noch realistischer und lebendiger zu machen vermag. Faconet war vielleicht der einzige Künstler, der Vorteile der barocken Kunst ausnut zen konnte, ohne dabei die klassische und realistische Formensprache zu verlieren. Dutch sein Werk und seine theoret ischen Schriften eröffnete er neue Prinzipien sowohl für die Kunstpraxis als auch für die Kunstkritik, deren wesentliche Sinn jedoch erst in der Romantil anerkannt wurde.
역삼투 공정을 농축공정에 이용하기 위해 향류식 역삼투 나권형 모듈을 고안, 제작하여 염수의 농축실험을 수행하였다. 역삼투 분리의 배제도와 농축도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 배제유량에 대한 투과유량의 비가 양쪽 관계의 중요한 매개 변수이며, 반사계수 값에 따라, 역삼투막의 배제도와 농축도가 Spiegler-Kedem 식의 경향을 따른다. 향류식 역삼투 공정은 일반 역삼투 농축 공정에 비해 농축의 장애 요소인 삼투압차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농축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향류식 나권형 모듈의 수치모사 결과 농축공정의 농축도 증가를 위해서는 모듈의 지름보다 모듈의 길이를 늘리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산 창나무이과 해충은 지금까지 10종만이 정확히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을 뿐이다. 저자들은 목 조사를 통해 새로이 6신종 및 4미기록종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보고코자 하며, 따라서 우리나라산은 모두 20종이 된다. 또한 과거의 잘못 사용되어 오던 학명을 정리하였으며 각 속 및 종의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그 국내산지 및 분포, 기생식물을 정리하였다.
Background :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is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Korea for the treatment of many diseases. Poor water solubility of the active compounds from A. gigas Nakai is a major obstacle to bioavailability.
Methods and Results : This work aimed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active compounds by a chemical (viz. surfactant) and physical (HME, hot melt extrusion) crosslinking method (CPC) in A. gigas Nakai. Infrared fourier transform spectroscopy (FT-IR) revealed multiple peaks in extrudate solids representing new functional groups including carboxylic acid, alkynes and benzene derivativ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alysis of the extrudate showed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lower enthalpy (ΔH) [Tg: 43℃; ΔH: <6 (J/g)] compared to the non-extrudate (Tg 68.5℃; ΔH: 123.2) formulations. X-ray powder diffraction (XRD) analysis revealed amorphization of crystal materials in extrudate solid. In addition, enhanced solubility (53%), nanonization (403 ㎚), and higher amount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were achieved in the extrudate solid compared to non extrudate (36%, 1499 ㎚, respectively). Among the different extrudates, acetic acid and span 80 mediated formulations showed superior extractions efficien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HME successfully enhanced the production of amorphous nano dispersions of phenolic compound including decursin from extrudate solid formulations. human dermal fibroblast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procollagen biosynthesis resulting from AMRP-induced TGF-β1 expression and the mitogenic activity in HDF cells, and therefore, is expected to reduce the age-dependent los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Background: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is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Korea for the treatment of many diseases. However, the poor water solubility of the active components in A. gigas Nakai is a major obstacle to its bioavailability.
Methods and Results: This work aimed at enhancing the solubility of the active compounds of A. gigas Nakai by a chemical (using a surfactant) and physical (hot melt extrusion, HME) crosslinking metho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revealed multiple peaks in the case of the extrudate solids, attributable to new functional groups including carboxylic acid, alkynes, and benzene derivativ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alysis showed that the extrudate soilid ha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enthalpy (ΔH) (Tg : 43℃, ΔH : < 6 J/g) as compared to the non-extrudate (Tg : 68.5℃, ΔH : 123.2) formulations. X-ray powder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e amorphization of crystalline materials in the extrudate solid. In addition, enhanced solubility (53%), nanonization (403 ㎚), and a higher amount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were achieved in the extrudate solid than in the non-extrudate (solubility : 36%, nanonization : 1,499 ㎚) formulation. Among the different extrudates, acetic acid and span 80 mediated formulations showed superior extractions efficiency.
Conclusions: HME successfully enhanced the production of amorphous nano dispersions of phenolic compound including decursin from extrudate solid formulations.
TV CF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과 중간 또는 끝 부분에 간단명료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는 절제된 영상으로, 수용자들 은 이를 통해 시장에 존재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려운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박카스는 오랜 기간 동안 TV광고를 통하여 상품이 아닌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며 수용자들에게 공감과 찬사를 얻고 있으며 국민 광고로서 확고한 지위를 갖고 있다. 지난 2016년 3월부터 시작한 박카스의 새로운 캐페인 ‘나를 아끼자’의 ‘콜센터편’ ‘좋더라편’ ‘아껴서편’ 그리고 ‘생일파티편’까지 총 4편의 TV CF는 20대 젊은 세대들에게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를 희망적으로 전달하였는데, 특 히 ‘콜센터편’은 이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광고 시작 1년 6개월이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수용자들에게 회자되고 기억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콜센터편’을 통하여 박카스 광고의 성공 이유와 차별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소비자 행동 이론을 모태로 한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을 활용하여 연구의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수용자 정보처리 과정(Information Process)은 우연적이든 의도적이든 수용자가 노출된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내용을 이해하여 새로운 신념이나 태도를 형성하거나 변화시키는 과정을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4단계로 구성하고 있다. 연구의 구성은 우선 수용자의 정보처리의 요인과 이 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이어서 ‘콜센터편’을 각각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단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 서는 이를 통해서 수용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저장된 기억이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 더불 어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이 TV광고의 분석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는 캐나다 국적의 아빠와 한국 국적의 엄마를 둔 다문화가정의 자녀, 9살 David가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관하여 심 층적 이해를 수행하였다. David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내면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3개월 동안 7번의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vid의 자아정체성은 타고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가 처한 사 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 관계를 맺으며 끊임없이 협상의 과정을 통하여 유동 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David의 자아정체성 형성은 그가 사용하 는 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자신의 다중 언어 사용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셋째, 어린 학생도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생각, 관점, 가치관, 느낌 등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춘 연구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통 계적인 숫자나 이성적인 관점이 아닌 내러티브 관점으로 그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 는 성숙한 세계시민으로서의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용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닌 다양성을 어떠한 카테고리에 범주화시켜 편견이나 차별이 아닌, 그 자체로 존중해주고 인정해주는 개방적이고 수용적 사회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 뿐 아니라 일반 학생 모두를 위한 통합적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통 계적 연구에서 벗어나, Bakhtin의 대화주의 방법을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로 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다문화교육 분석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향 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일원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체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성숙한 세계시민의식 형성과 함께 유연하고 다양 한 다문화교육을 마련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나트로라이트(Na-제올라이트)의 탈수현상에 따른 변화와 특성을 라만 및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고온,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에서 특성을 확인하였다. 고온실험은 최고 온도범위에 따라 ~450℃까지 증온한 XRD 실험에서는 가역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630℃까지 증온한 라만분광실험에서는 포스트라트로라이트로 상전이하는 비가역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온과정 약 380℃에서 포스트 나트로라이트 상이 나타나는 온도구간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하였다. 동시적인 고온-고압 하(상온 〈 T 〈 300℃, 0 GPa 〈 P 〈 2.1 GPa)에서 나트로라이트 분광선의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결혼과 일에 대한 적응 과정을 삶의 현장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에 시집온 지 8년이 되고, 연구자에게 베트남어를 2년 동안 가르치면서 친구로 지내온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A이다. 한 개인의 결혼과 일의 삶에 관한 생생한 경험을 전달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남자와의 결혼선택은 드라마의 영향과 친구의 권유로 이루어졌지만, 자신의 삶의 변화를 기대하였다. 둘째, 상이한 문화·관습·시부모로 인한 힘든 적응과정이 결혼 초기에 많았다. 셋째, 한국에서의 명절은 가장 슬픈 날이며, 베트남어로 이야기할 때 가장 행복함을 느꼈다. 넷째, 한국에서 일의 시작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일은 그녀의 삶에서 스트레스를 풀게 하고, 가족의 미래를 저축하고, 자기계발을 증진시키는 역할로 삶에서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드러나지 않은 삶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가)․(나)형에서 성적 지표로 표준점수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원점수에 대한 표준점수의 유․불리 여부와 이에 따른 수리 (가)형의 응시자 감소 현상을 통계․수치적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리영역 원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계적 절차에 의하여 추정하였고, 추정한 값을 근거로 (가)․(나)형의 원점수와 표준점수를 실제로 계산하여 두 점수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여부를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수리영역 (가)․(나)형에서 원점수가 같더라도 유형의 선택에 따라 표준점수로의 변환 시 수험생의 유․불리가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지 못한다면, 현재와 같은 형태로 개편안이 논의 중인 2014년 수리영역 A․B형의 표준점수 체제에서도 유형의 선택에 따른 표준점수의 유․불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표준점수의 유․불리 문제가 발생한 2005년 수능부터 수리 (가)형의 응시자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고등학교 자연계열의 3학년 수학 교실에서 (가)형과 (나)형을 응시하는 학생이 같이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은 돌발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