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6

        163.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저항성과 방어관련물질 유도에 관련된 salicylate가 담배 미분화세포로부터 분리된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Fe2+ 의 첨가에 의하여 salicylate에 의한 효소활성 억제가 보호되는 양상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salicylate가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48mM salicylate에 의하여 isoperoxidase A3의
        4,000원
        164.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가루이(B biotype)의 온도조건과 기주별로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에서 86.2일이었고, 에서는 17.0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 5배 짧았다. 알, 약충 그리고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 ,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110.3, 204.7, 317.3일도였다. 부화율은 에서 87.0%, 우화율(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은 에서 76.7%로 높았다. 성충수명은 에서 23.6일이었고, 에서는 14.0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그리고 암컷한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 에서 103.3개로 가장 많았으나 온도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1세대당 순증식율()은 에서 97.33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 질수록 높아졌으며, 에서 0.196으로 가장 높았다. 토마토, 고추, 가지, 포인세치아를 기주로 조건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각각 21.2, 28.1, 22.2, 25.5일이었다. 부화율은 고추에서 90.3%로 가장 높았고, 우화율은 가지에서 89.6%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가지에서 26.5일로 가장 길었고, 고추에서 가장 짧았다.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토마토와 가지에서 많았다. 1세대당 순증식율()은 가지에서 106.1로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 토마토에서 0.165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담배가루이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범위는 이었고, 가장 적합한 기주식물은 토마토와 가지로 분석되었다.
        4,000원
        165.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와 NeemAzal-T/S의 혼합처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인공사료에 혼합 처리하여 실내 검정한 결과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1108 PIBs/ml과 NeemAzal-T/S ppm 혼합한 경우에 과 가 각각 1.94일과 8.33일로 다른 처리구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1106~8 PIBs/ml과 NeemAzal-T/S ppm 혼합살포로 단독처리보다 에서 3일 정도의 살충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배추유묘에서의 병원성 검정 결과 바이러스 단독처리는 4일째의 살충율이 10.7~6.7%로 낮으나,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와 NeemAzal-T/S혼합 처리시에 살충효과가 빠르고 살충율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1108 PIBs/m1과 NeemAzal-T/S 75~200 ppm처리에서는 9일째에 100%의 살충율을 보였다.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초기 235mg에서 7일째에 2,194 mg으로 9.4배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NeemAzal-T/S 단독처리시에는 200 pprn에서 1,120mg으로 4.8배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바이러스 단독처리에서는 1108 PIBs/ml에서 7.0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두처리를 혼합하면 7일째에 SINPV1104~8 /+NeemAzal 75~200 ppm에서 3.9~2.9배만이 증가하여 단독처리보다 체중증가가 둔화되어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가 있었다.
        4,000원
        16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의증폭 다형 DNA(RAPD)와 미토콘드리아 12S, 16S rRNA 유전자의 제한단편 DNA 표식자에 의해 한국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의 biotype을 판별하였다. 진천의 장미 온실과 서울 내곡동의 포인세티아 온실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는 일본, 이스라엘, 호주의 B biotype 과 동일한 DNA 단편들을 보유하였다. 여러 지역의 노지 콩 (Glycine max), 고구마 (Ipomea batatas), 들깨 (Perilla frutescens)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은 일본 시코쿠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와 같은 DNA로 표식되었다. 이들 non-B biotype은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고유한 계통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형태적 특정을 온실 원예작물의 주요해충인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와 비교하여 기재하였다.
        4,000원
        17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에는 접종 후 6일이나 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4,000원
        171.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류의 품종별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사육에 따른 용발육 및 성충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용기간은 8.7~9.5얼로 강낭콤 및 동부에서 짧았으며, 두유콩, 새알콩 및 선화녹두에서 길었고, 암컷의 용기간이 수컷보다 약 1일 짧았다. 전용기간은 약 1.7~2.0일이었으며, 후용기간은 약 6.7~7.7일 이있다. 용무게는 0.23~0.38g 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무거웠다. 용무게의 변화율은 검정공-1호에서 11%로 가장 낮았으며, 부광콩에서 16%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약 7.8~11.2일로 강낭콩에서 가장 짧았으며, 부광콩에서 가장 길었고, 암컷의 수명이 수컷보다 약간 긴 경향이었다. 엽수분과 용이간, 용무게 및 성충수명과는 유의한 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17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류 품종별 잎특성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발육과 식엽량을 조사하였다.유충 기간은 검정콩 l호에서 11.5일로 가장 짧았으며, 대광땅콩에서 15.7일로 가장 길어어 두류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 발육기간은 l령에서 3 .2~5.0일로 가장 길였으며, 4령에서 1.0- I.5일로 가장 짧았다. 유충의 식엽량은 영기가 증가함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여 마지막 6 령기 동안의 식엽량이 유충기간 총 식엽량의 약 55~7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유충의 성별 식엽량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유충의 사망율과 성비는 두류 품종별 식엽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4,000원
        17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24, 28 및 32) 및 기주조건이 담배거세나방의 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화유은 23~88%로 온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기주별로는 인공사료, 고구마잎, 들깨잎 및 콩잎의 순서로 높았다. 용무게는 0.28~0.40g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약간 무거워지는 경향이었으며, 기주별로는 들깨잎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그밖의 기주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용기간은 , 28 및 에서 각각 약 14일, 10일 및 7일로 기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우화율은 21~89%로 온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기주별로는 28와 에서 인공사료, 고구마잎, 들깨잎 및 콩잎의 순서로 높았으나, 에서 인공사료, 콩잎, 들깨잎 및 고구마 잎의 순서로 높았다. 성충의 산란전기간은 , 및 32에서 각각 3.2일, 2.8일 및 2.5일로 온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기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3.9~6.4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으며, 지주별는 인공사료, 고구마잎, 콩잎 및 들깨잎의 순서로 긴 경향이었고, 암컷보다 수컷에서 약간 길었다. 성충의 총 산란수는 803~1,441개로 온도 및 기주간에 변이가 심하였으나, 인공사료보다 천연기주에서 산란수가 현저히 많았다. 난괴당 난수 및 개체당 난괴수도 각각 약74~186개 및 6~14개로 온도 및 기주에 따라 변이가 심하였다., 28에서 43.1%, 65%로 느타리버석의 적정재배온도인 내외에서 검정날개파리류(Sciarid fly) , Bradusia sp.의 생육도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까치깡총거미(Dedryphantes atratus), 닷거미과의 번개닷거미(Perenethis fascigera), 갈거미과의 백금갈거미(Tetragnatha pinicola), 염라거미과의 아시아염라거미(Zelotes asiaticus)등 10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사려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대구 \ulcorner경북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하겠다.지점의 특성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비구매 설치 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차후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있어 가능한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되 동일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서 위의 망구축이 이루어져 현재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에 최소한 1대의 AWS 설치방안을 제시하였지만, 금후에는 15km내에서도 능선, 계곡 등 구체적인 위치확정을 위한 선행연구가 실시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의해 원고는 결과발생지인 미국법원의 재판관할을 강제할 수 없을 것이다. 지적재산권을 둘러싼 분쟁에 관한 재판관할과 국제법상의 판결의 승인 및 집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2001년 1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가 제안한 WIPO 협약초안
        4,000원
        17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의 월동생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휴면 유기시기에 지역별로 유충을 채집하여 휴면용을 얻은후 수원과 진주등에 묻고 월동용의 생존욜과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휴면용의 월동 중 생존육은 5%미만으로 매우 낮은 반면, 인공사육용기에 담아서 흙에 묻었을 경우 60%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항온조건에서 발육기간은 지역이나 시험연도 또는 보관환경에 따라 20.4일에서는 43.9일로 개체간 변이가 컸다. 월동양상은 30일 이내에 우화하는 개체들과 30일이상 걸리는 개체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30일 이상인 개체의 비율은 중부지방이 남부지방보다 높았다. 반면 중부지방에서 채칩한 개체를 남부지역인 진주 야외조건에 보관할 경우 그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7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체내빙결점과 내한성이 검정되었다. 체내빙결점은 발육시기에 따라 다양했다. 알(약 -)이 가장 낮았고 용과 성충(약 )이 다음이었으며 유충이 (-1~-)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유충의 체내빙결점은 유충의 영기가 진행함에 따라 상승했다. 각 발육단계의 치사저온온도는 각자의 체내빙결점보다 높았다. 알과 유충을 아치사온도에 미리 노출시킴으로서 치사온도에 대한 생존력을 높였다. 아치사온도는 또한 5령충의 혈림프 삼투압을 증가시켰으며 저온에 특이적인 단백질들(20과 27kD)을 발현하게 했다. 이상의 결과는 이 해충이 동결감수성 곤충류에 속함을 나타낸다.
        4,000원
        17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 및 기주종류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난과의 부화율은 온도에 관계없이 천연기주에서 100% 부화하였으나, 인공 사육용 갱지에서 약 65-87%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난기간은 , 및 에서 각각 약 4.4일, 3.9일 및 3.0일 이었으며,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충발육기간동안 유충무게는 와 의 경우 발육초기에는 고구마 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으나 중기이후에는 콩잎과 들깨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다. 하지만 의 경우 유충발육 12일까지 고구마잎에서 사육된 충이 다른 기주에서 사육된 충보다 무거웠는데, 이는 가 와 32에 비해 저온으로 유충의 발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유충의 사망률은 온도별로는 에서 가장 높았고, 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기주별 사망률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유충발육이 진행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항이었다. 유충기간은 에서 약 23.6-30.4일, 에서 18.6-22.3일 및 에서 약 14.5-18.0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기간이 ?아졌으며, 기주별로는 콩잎에서 가장 짧았고 다음이 들깨잎 및 고구마잎 순 이었고, 인공사료에서 가장 길었다. 난과 유충의 발육임계온도는 각각 평균 약와 였다.
        4,000원
        177.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옥도(肥沃度)가 상이(相異)한 토양(土壤)에서 잎담배를 재배(栽培)할 경우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최대(最大) 수납대금(收納代金)을 확보할 있는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비옥도(肥沃度)에 따라 상(上), 중(中), 하(下)로 구분(區分)하여 시비반응(施肥反應)을 조사(調査)하고 그에 따른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을 조사(調査)하였다. 상급지토양(上級地土壤)은 유효인산(有效燐酸), 유기물(有機物) 및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잎담배 중(中)의 전질소(全窒素), nicotine 및 reducing suger의 함량(含量)은 후엽(厚葉) 3등(等)이 박엽(薄葉) 3등(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용(煙草用) 복합비료(複合肥料)의 시용량(施用量)을 증가(增加)함에 따라 전질소(全窒素) 및 nicotine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reducing sugar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잎담배의 수량(收量)은 상급지토양(上級地土壤)에서 75kg/10a, 중급지(中級地)와 하급지토양(下級地土壤)에서 100kg/10a이 시비량(施肥量)일 경우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잎담배의 수량(收量), 품질(品質) 및 대금(代金)으로 볼 때 적정시비량(適定施肥量)의 한계(限界)는 상급지(上級地)는 50~75kg/10a, 중급지(中級地)와 하급지(下級地)는 100kg/10a이하(以下) 이었다.
        4,000원
        17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영기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시험된 약제 모두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약제감수성은 낮았다. Chlorpyrifors-methyl과 chlorpyrifos의 독성은 3령부터, etofenprox+PAP와 deltamethrin은 2령부터 현저히 떨어졌다. 포트시험결과 deltamethrin을 제외한 4약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담배거세미나방의 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야외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전 영기가 혼재되어 있고 영기별 약제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약제선택은 물론 유충 발생초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4,000원
        179.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와 고추의 주요해충인 담배나방 [Helicoverpa assulta(Guenee)]의 미생물적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아직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담배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담배나방 사충으로 부터 분리하고, 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관찰 및 바이러스 DNA의 제한효소 분석 등을 통한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담배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다각체는 구형에 가까운 20면체로서 크기는 평균 약 1.0m 정도이고, 다수의 바이러스 입자가 다각체 단백질에 포매되어 있었다. 포매된 바이러스 입자는 한개의 봉상 nucleocapsid가 하나의 envelope 내에 매립된 형태의 SNPV(single embedded nuclear polyhedrosis virus)로, 형태는 전형적인 봉상으로서 그 크기는 약 였다. 또한 다각체 단백질의 SDS-PAGE 분석 결고, 분자량은 약 31 Kd이었으며, 담배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DNA를 분리하여 EcoRI. HindIII 등 수종의 제한효소로 처리분석한 결과, 그 genome의 크기는 약 120Kb 정도였다. 본 핵다각체병바이러스는 담배나방 유충에만 병원성을 나타내 기주특이성을 보였다.
        4,000원
        180.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포장에서 담배나방의 발생은 조식 및 만식 재배구 모두에서 2 또는 3개의 뚜렷한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에 Campoleitis chlorideae는 담배 조식구에서는 담배나방의 두번째 최성기 직후 짧은 기간동안 발생하였으며 만식구에서는 담배나방 유웅이 존재하는 한 발생하였다. 만식구에서의 담배나방 발생은 조식구에서보다 많았다. 4가지 담배 품종중 NC-744에서 담배나방 유충의 발생이 비교적 컸다. 그러나, 기생벌의 발생은 Burley-21과 NC-82에서 많았다. 담배나방 유충의 포장에서의 인위적인 방사 및 재포획법에 의한 결과는 C. chlorideae의 활동은 6월말부터 9월초까지 보였으며 7월초 부터 8월말까지는 비교적 높은 밀도로 발생하였다. C. chlorideae의 담배나방에 대한 생물적방제 수단으로서의 가치평가를 위한 포장내 소규모 케이지 실험결과 방사밀도가 높을수록(암컷 4마리/2 ) 유충기생률이 높고(86.1%) 담배잎의 피해는 감소함을 보였다.(8.7%) 무처리구에서의 담배잎의 피해는 상당히 높았으며(23.2%) 살충제처리구에서 피해가 가장 낮았다.(1.6%)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