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3

        124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8가지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여 176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SD법에 의해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개인차가 큰 감성어휘에는 '매니쉬, 수공예적인, 귀족적인, 섹시'등의 중간정도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감성어휘들이 포함되었으며, 개인차가 적은 어휘로는 '건조한, 인공적인'등의 비선호감성과 '멋스런, 유연한'등의 선호감성이 있었다. 선호감성에 의해 남녀 대학생들을 유형화시키면 남녀 대학생의 선호감성은 크게 10가지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캐주얼파'였으나(32.4%), 이는 다시 '비장식 개성 캐주얼파, 역동적 쿨개성 캐주얼파, 정성청결 캐주얼파'로 세분화되었다. 다음으로 많은 대학생들이 '로맨틱 모던파'(21.4%)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단순 내추럴파'(17.3%)였다. 또한 '클래식파(9.2%-수공예 로맨틱 클래식파, 획일적 클래식파)', '비표현파'(8.7%). '호화개성 복고파'(7.4%), '민족감성 선호파'(4.6%) 등이 있었다. 감성어휘와 대학생의 집단들은 크게 두 개의 선호감성축(정적-동적, 경량-중량)을 중심으로 가시적으로 함께 그룹화/도식화될 수 있었다.
        4,000원
        1244.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92 students in five differ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fty(10.2%) of respondents were vegetarians, 81(16.4%) were heavy meat eaters and all the others were light meat eaters. All students had their biggest meal at supper. Three hundred and ninety-three(79.9%) of the respondents usually had rice for breakfast. Three hundred -sixteen(64.2%) ate 3 meals a day, 155(31.5%) ate 2 meals and all the others ate 1 meal or more than 3 meals. The length of mealtime was 30 minutes in 268(54.5%), 10 minutes in 209(42.5%) and more than 1 hour in all the others. Respondents considered taste the most important meal factor with nutrition, hygiene, and amount ranked accordingly. A majority(63.0%) of respondents ate occasionally ate between meals, while 28.1% snacked frequently, and 8.9% ate no snacks. Although nutrition dept. students had studied nutrition subject, some results of nutrition dept. students were desirable and others were undesirable in dietary behaviors.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for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4,000원
        1245.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25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25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258.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rigates the current state of English education/research institutes belonging to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ut of 102 institutes that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167 universities, 67 institutes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foreign-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to help students meet the challenge of the internationalization era, many of which establisheà in the 1990s. Most of the institutes, however, were small in their size and focusing on short-term profit-making programs, neglecting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institutes should strive to develop good program, improve its research efforts, and networking among similar institutes in different universities.
        7,000원
        125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tional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Yanbian by ethnic : Korean, Korean-Chinese, Chinese. The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individual interviewing method. Statisticai data analysis was completed by SAS 8.0 package program for t-test,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verage energy intake per day was high in Korean-Chinese. Nutrient Adequacy Ratio(NAR) was highest in iron and lowest in zinc. Mean Adequacy Ratio(MAR) score was 0.68~0.85 for each group.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were over 1.0 for most nutrients except 0.41 of zinc and 0.76 of calcium. Average energy intake ranked high in Korean-Chinese, Korean and Chinese.
        4,300원
        126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9 ∼ 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지구과학 II 선택 경향 및 선택과목간의 점수를 비교하고, 지구과학 관련 문항의 탐구과정 및 내용 요소별 분포와 각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정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한 오답 유형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계 응시자는 1995학년도에 43.14%이었으나 최근 2년 동안에 급격히 줄어들어, 2001학년도에는 29.51%이었고, 2002학년도에는 26.92%로 감소하고 있다. 자연계 응시자의 지구과학 II 선택 비율은 약 22%로 생물 II(약 38%), 화학 II(약 28%)에 이어 3번째이다. 탐구과정별로는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II 모두 자료 해석에 대해서 가장 많이 출제되고 다음으로 결론 도출 및 평가에 대해서 많이 출제되었다. 내용별로는 공통과학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지각변동’(20.83%)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온실효과’와 ‘우주과학’에 대해서는 출제되지 않았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대체로 고루 출제되었다. 지구과학 II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변화’ (22.92%)영역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전반적으로 고르게 출제되었으나 ‘환경과 자원’에서 출제되지 않았고, ‘태양계’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게 출제되었다. 문항 난이도 분포를 보면 1999학년도는 예상정답률 40 ∼ 59%와 60 ∼ 79%의 문제를 각각 6, 10개 출제하였고, 2000학년도에는 40 ∼ 59% 1문항, 60 ∼ 79% 14문항, 80% 이상 1문항 출제하였으나 2001학년도는 16문항 모두를 60 ∼ 79%에 해당하는 것을 출제하였다.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문제 해결에 지구과학 개념이 요구되지 않고 탐구 과정만 요구되는 문항, 매년 출제되어 학생에게 익숙한 분야, 탐구 능력 없이도 특정 지식만 있으면 해결되는 문항이다. 반면에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지구와 행성의 운동, 해파에 관한 문항이며, 특히 복합개념이 요구되는 문항의 정답률이 낮다. 학생의 오답 반응 분석 결과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주요 내용은 공통과학에서는 변환단층 및 부정합에서 지질학적 현상, 혼합층과 수온 약층의 의미, 온대저기압 통과 전후의 날씨 변화이며, 지구과학 II 에서는 달의 위상과 위치변화, 화성암의 구성광물 · 화학조성 · 조직 변화와 마그마 분화 및 풍화와의 관계, 지진파 주시곡선, 대기순환의 종류와 규모, 해파, 혼합층과 수온 약층, 서안강화 현상, 행성의 위치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