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ir food and snack consumption. To accomplish this, a food habit questionnaire and dietary intak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48 children between 2 and 6 years of age (average 4.8 years). According to the Kaup index, the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ity levels of the subjects were 4.7, 60.1, 26.4, and 8.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energy intake met the EAR (1433.94±369.70kcal), whereas the protein, iron, phosphorus, vitamin B and vitamin C levels exceeded the EAR and the RI. Furthermore, the nutrient intake profile revealed that the mean caloric value of breakfasts consumed by preschool children in Daegu (403 kcal)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Gyeongbuk area (271 kcal). Additionally, preschool children in Daegu (382.96±255.79kcal) usually consumed significantly (p〈0.01) less food than those in the Gyeongbuk area (413.82±275.43kcal). The preferred snacks among subjects (in descending order) were milk, bread, fruit, potato or sweet potato and cookies. The mean score of the Food Habit was 3.72±0.35 out of 5, although the score of preschool children in Daegu (3.77±0.3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Gyeongbuk area (3.65±0.32).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level of children in Daegu and the Gyeongbuk area. Therefore, parents and caregiv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and choose healthy snacks for them.
Artist-in-residence which gets chances to create by artists’moving and encounteringnew culture is heightening its level in 21th century.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ssue ofcultural diversity and the role of artists which is for city revitalization and sustainability areaffect residency program in the midst of highly proceeded globalization that internationalexchange. Therefore, in the aspect of creative city, a new model is creating by reuse of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Asia or Eastern country become the subject in residencyprogram management, the issue of cultural diversity is getting more important, programsbased on project not just residence are managing. Furthermore, it has inter-countrycooperating system in the rage of cultural management. It means that artists’space ofcreating activity has a new, social role in spontaneously we need to approach to followingmodel in Korea, as well.
지진 시 광범위한 가스누출에 의한 화재는 인명피해 및 심각한 재산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지진피해를 줄이는 효과적이 고도 합리적인 방법의 하나로 가스공급정지를 고려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진세기와 빈도 및 도시가스의 공급체계를 생각하면 지진시 가스공급정지는 일반 가정에서 개별차단기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보다 도시가스사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시 신속하게 가스공급 정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긴급대응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스 공급지역내에서 계측된 지반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있도록 2단계의 기준지진도를 제안하였으며, 지진 피해를 입은 지역에 한해서 가스공급을 정지할 수 있도록 공급지역 블록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가스공급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지반해석과 피해도 해석을 수행하여 기준지진도를 설정하고 긴급대응시스템을 적용하였다.
Today, the people wish to enjoy a pleasant and safe life and high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in their neighborhood. Now is the time when we must give up government-oriented urban- planning(Top-Down) and adopt new city plans(Bottom-Up) of which the focus is placed on building an environment friendly city and based on citizen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ies ar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renaissance in japa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city recreation board of japan are urban renaissance agency and regional renaissance agency. 2) The renaissance thema is 8 types: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 oriented and academic oriented, eco-life practice oriented, experience and community oriented, industrial and job-creation oriented, urban-scene(view) and art-creation oriented and holistic renaissance oriented types. 3) The key aspects are citizens' participation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of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renaissance in Japan.
이 논문은 중국의 개혁 개방 30년 이래 혼인 영역이 중국 사회 변화의 거센 물결 속에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중국 대표 여성작가인 왕해림의 작품인 『신 결혼시대』를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 왕의 소설은 중국 도시의 두 세대간 3가지 특이한 혼인 유형 즉, 도시-농촌 커플, 연상녀-연하남 커플, 노교수-파출부 커플을 다루는 과정에서 개혁 개방 전후의 신구 가치관의 충돌이 혼인 영역에서 어떻게 비춰지는데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신구 가치관의 대립 및 중국 도시 혼인의 현황은 네 가지 측면에서 관찰된다. 우선, 혼인의 속성에 있어서 모택동 시대의 혁명적인 혼인관이 사라지고 개혁후 사회의 급속한 분화 및 이질성의 증가로 인해 양 결혼 당사자간 집안의 형편이 고려되어야 하는 전통적인 문당호대의 관념이 부활한다. 둘째, 배우자 선택 조건에 있어서 모택동 시대의 금욕주의가 부정되고 물질주의, 외모지상주의 등의 요구가 정당화되는 가운데 전통적인 남재여모의 선택 모델이 주류 관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셋째, 혼인ㆍ성ㆍ사랑 삼자의 관계에 있어서 과거 삼자 일심동체 관계는 개혁 이래 삼자 분리라는 전면적인 도전을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혼인에서의 여성 이미지는 모택동 시대의 강하고 독립적인 철인여성상이 무너지고 부드러운 현모양처의 의존적인 여인상에 의해 대체되어 가고 있다. 지난 30여 년간 중국 도시의 혼인 문제는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였으나 왕의 작품은 바로 이러한 신구 관념의 충돌에서 방황하는 중국의 혼인관이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려는 시도라 할 것이다.
최근 녹색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이용자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차대 자전거사고 감소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노력은 미비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교차로 설계지침 제공 및 자전거 사고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안전성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인천광역시 사지교차로에서 발생한 56건의 자전거사고 자료에 대한 분석과 사고발생 교차로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3가지 경우에 대한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분석결과, 사망사고 유무, 부도로 교통섬 유무, 도로위계, 사고당시 날씨, 주도로 버스정류장 유무, 주도로 차로폭, 인적유발요인이 자전거 사고 유형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디오영상에 의한 간접설문조사방식을 통하여 도시부 간선도로의 운전자들이 주행 시 느끼는 인식서비스수준과 도로용량편람(KHCM)에 의해 산정된 실제서비스수준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운전자가 인식하는 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제서비스수준과 인식서비스수준간의 인식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호교차로구간의 경우 40.8%, Mid-block구간의 경우 59.2%가 두 서비스수준을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서비스수준간의 동질성 검정(F통계검정, t통계검정)결과에서도 두 서비스수준 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신호교차로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통류(26.4%), 신호운영(23.1%), 기하구조(18.1%), 이용행태(15.9%) 도로경관(10.0%), 유지관리(4.4%), 교통정보(2.2%) 요인을 순서대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교통류 등 상위 3개 요인이 정량적 요인으로 67%를, 이용행태, 도로경관요인과 같은 정성적 요인이 26%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id-block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하구조(25.3%), 경관(20.0%), 신호운영(19.2%), 교통류(15.3%), 이용행태(9.7%), 유지관리(6.4%) 교통정보(4.2%)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중에서 정성적 요인에 해당하는 도로경관이 신호교차로구간 10.6%보다 높은 20.0%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분석 시에는 운전자가 실질적으로 인식하는 정성적인 요인 (이용행태, 도로경관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
목적: 농촌과 도시 거주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농촌 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도시지역의 1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166명의 어린아이(저학년 36명, 고학년 47명)를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시력 관리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력 검사 주기는 농촌 학생은 74.7%가 `6개월~1년`, 도시 학생은 66.3%가 `6개월`이었으며, 시력검사 장소는 농촌 학생은 `학교`, 도시 학생은 `안과`가 가장 많았다. 평일 TV 시청 시간과 공부 시간, 전기스탠드의 사용 여부는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 환경에 따라 시력 관리 실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영양제 복용, 컴퓨터 사용 시간, 전기스탠드의 위치, 공부 자세 책과의 거리, TV와의 거리 등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시력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