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2

        110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숲은 도시민의 건강욕구 충족 및 건전한 도시 이미지 창출을 위한 중요 자원이다. 도시 환경과 대조를 이루는 숲의 환경요소들은 도시의 미적 아름다움 증진, 대기환경 개선, 미기후(微氣候) 조절 등 건강한 도시환경을 만들며, 이를 배경으로 시민들은 쾌적한 생활을 향유하며 살아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시숲의 관리와 쾌적한 활용은 자연과의 공생을 도모하는 실천적인 수단으로써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소재의 제석산을 대상으로 방문객들의 이용행태와 도시숲 이용 의식 및 요구도를 조사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민들은 도시숲이 가져다주는 맑은 공기와 물 그리고 물, 바람, 새소리와 같은 자연 고유의 소리를 즐기며, 대다수가 건강과 운동을 위해서 1주일에 1~2번, 혼자 또는 가족, 친구와 함께 숲을 찾고 있다. 숲에서는 주로 1시간 30분~2시간 정도 체류하며, 등산 또는 산책을 즐겨한다. 이들은 도시숲이 도시민들에게 휴양 및 쉼터기능을 제공하고 도시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해주기를 기대한다. 또한 잘 정비된 등산로/산책로, 화장실 등 위생시설과 자연관찰 프로그램과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한다. 추후 사유림을 공유화하기 위한 기금 모금 마련에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공유화된 숲은 산림욕장이나 휴양림으로 활용하고 싶어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민들에게 건강과 휴양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고 도시 쾌적성(amenity)을 향상 시킬 도시숲 조성 및 관리 체계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된 도시민들의 도시숲 이용행태 및 이용 의식 분석은 도시숲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 방안 제시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와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는 도시숲 이용 분석에 대하여 도시숲의 유형별 접근이 필요하고, 또한 전문가와 관리자적 측면에서 도시숲의 운영 및 관리실태 파악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방안의 적용 가능성 범위를 높여가야 할 것으로 본다.
        1104.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BIE엑스포에서 주제와 메시지의 중요성과 역할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주제와 도시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2012년 여수엑스포 계획에 유용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1998년 리스본엑스포를 전환점으로, 엑스포의 주제와 메시지는 과학기술의 성과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진보에 대한 반성과 지구의 미래를 강조한다.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 인류 사회가 당면한 전지구적 환경문제의 해법 모색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보장하는 신기술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바다와 연안에 대한 신기술과 신사상을 경연하는 여수엑스포는 비슷한 주제의 리스본엑스포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동시에 이와 차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여수엑스포의 주제와 도시개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해양과 관련된 신기술의 강조와 더불어 그것의 개도국 보급을 위한 여수프로젝트 비전의 강화. 둘째 리스본의 수도재개발과 다른 도시개발전략 즉, 남해안시대와 연계된 해항도시네트워크 구상.
        110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도시화 시험유역에 대한 기존 토사유출공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도시 시험유역의 실측자료와 모의기법 적용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용된 토사유출량 산정 모의공식으로는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 -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활용하였다. 시험유역은 유역면적 약 3.81 로 면적대비 56 % 정
        110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pistemology of urbanism and rurality, that is,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claims about how to intervene in understanding of urban and rural way of life and their implications to space. It is not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truth" as such, but rather with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knowledge as truth that subsequently lead to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scholarly arguments. Rural areas vary considerably, and we define it as of a socially constructed category and so does urban as a comparative construction. As with community, rurality has been defined in widely different ways so has urbanism. In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these two concepts, we incorporate diverse western epistemologies such as empiricism and pragmatism. In addition, we hee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Silhak, a philosophical ideology of Kore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nd it's effect on social way of life encompassing the realm of rural and urban spaces. We found that Silhak is particularly useful in that it deals with substantiv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ity and urbanism arising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values and perceive conditions of the rural and urban way of liv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pistemology of Silhak is particularly superior to those of western ideologies since it accentuates unity of spaces rather than differentiating urban and rural way of life. We concludes with demanding more studies in the field of urban and rural analyses incorporating more diverse concepts of Korean orthodox epistemology.
        110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도시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사교육활동의 특성과 공간적 패턴을 대도시급인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것이다.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상류층 주거지구, 중류층 신흥(아파트)주거지구, 중하류층 주거(소형 단독주택)지구에 입지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각각 1개교씩, 총 9개학교를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것이다. 회수된 649매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사교육활동은 매년 증가되었고 중․상류 주거지구의 학생들이 중하류 주거지구에 거주하는 학생들보다 훨씬 많은 사교육활동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사교육을 위한 이동거리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들의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하류층 주거지구 학생들의 사교육을 위한 이동거리는 중, 상류층 학생들의 그것보다 더 길어서 계층구조를 더욱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광주광역시내의 사교육활동 패턴은 주거지내에서 완결되는 단거리형, 도심부를 지향하는 장거리형, 새로 건설된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집중하는 중거리형으로 식별되었다.
        1113.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has become worse, such as days on which the temperature goes above 30℃, sultry nights and heat stroke increase, due to the changes in terrestrial cover such as concrete and asphalt and increased anthropogenic heat emission accompanied by artificial structure. The land use type is an important determinant to near-surface air temperature. Due to these reasons we need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fifth-gener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Mesoscale Model(MM5) was applied to the metropolitan of Daegu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and cover changes and urban modifications increase of Albedo to the surface energy budget on the simulated near-surfac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The single urban category in existing 24-category U.S. Geological survey land cover classification used in MM5 was divided into 6 classes to account for heterogeneity of urban land cover.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simulation intended for the metropolitan of Daegu assumed the increase of Albedo of roofs, buildings, or roads, the increase of Albedo (Cool scenario)can make decrease radiation effect of surface, so that it caused drops in ambient air temperature from 0.2 to 0.3 on the average during the daylight hours and smaller (or near-zero) decrease during the night. The Sensible heat flux and Wind velocity is decreased. Modeling studies suggest that increased surface albedo in urban area can reduce surface and air temperatures near the ground and affect related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winds, surface air temperature and sensible heat flux.
        1114.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merical simulation is essential to indicate the flow of the atmosphere in the region with a complicated topography which consists of many mountains in the inland while it is neighboring the seashore. Such complicated topography produces land and sea breeze as the mesoscale phenomenon of meteorology which results from the effect of the sea and inland. In the mesoscale simulation examines,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in relation to the one of the sea surface for the boundary condition and, in the inl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land surfa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land surface. This research developed and simulated PNULSM to reflect both the SST and vegetation effect as a bottom boundary for detailed meteorological numerical simulation in coastal urban area. The result from four experiment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protocol revealed the change of temperature field and wind field depending on each effect. Therefore, the lower level of establishment of bottom boundar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atmospheric flow more precisely, and if the characteristic of the surface is improved to more realistic conditions, it will facilitate the simulation of regional environment.
        111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observed temperature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emperature by zoning an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ir impact on temperature. The empirical results of analyzing observed data are as follows. In order to make up for multicollinearity, a problem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give more specific explanations, this study conducted factor analysis and obtained desirable data with adequacy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rrelation matrix, factors decreasing temperature were planted areas, water surfaces and grasslands, and those increasing temperature were bare grounds, paved areas, and building area. According to land cover patterns, commercial areas had the highest temperature lowering effect. Through the rotated component matrix, we found that factors are grouped into those decreasing temperature, those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ose with low significance in increasing or decreasing tempera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between the land use patterns and temperature and confirmed the usability of factor analysis as a new analysis method in urban heat island.
        1116.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aims to find processes for developing the design language for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of street furni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sign language implies to get how to represent condensed symbols of the street furnitures. 2) The configuration of the street furnitures has their visual note and design meaning of community identity, represented their own detail design languages. 3) The detail design languages are useful to solve the matters of what design elements of the street furnitures can be composed of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4) The detail design languages can be applied to the pattern of tools of Microsoft Office Word.
        111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green 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with rural amenity and demand of citizen. The new index which was named GPD(green tourism potential degree) is designed to propose the green tourism potential of rural areas using spatial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patial interaction of gravity model. And in order to evaluate the green tourism potential with supply side and demand side, two indices were defined; One is green tourism demand degree(GDD) which is developed to quantify a demand side potential by the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and urbanization index, and the other is green tourism attraction degree(GAD) which is developed to quantify a supply side potential by the analysis of rural amenity values using AHP algorithm, based on opinion of related experts.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a part of Kyounggi province, Seoul and Incheon. All the study area's GAD, GDD and GPD were assessed and the proposed green 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could be used in developing rural development plans and green tourism policies considering spatial interaction with citizen and green tourism resources.
        111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하수관망과 하천을 포함하는 복잡한 토지이용으로 구성된 도시유역으로서는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유역의 홍수예보모형으로 수문모형과 수리모형을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유역면적이 약 에 해당하는 중랑천 유역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수문모형으로는 SWMM과 수리모형으로서는 HEC-RAS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적용대상유역인 중랑천 유역은 25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다. SWMM모형은 각 소배수구역의
        112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지역의 하천수와 지하수의 교류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는 낙동강, 금호강 및 25개 하천이 총 유로길이 240 km로 유하하고 있다. 하천수와 지하수의 교류량의 산정은 Darcy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을 16개 소유역으로 나누어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류량 산정에는 지하수위, 하천수위, 투수계수, 대수층 두께 및 하천과 가장 근접한 우물과의 거리를 적용하였다. 소유역별 지하수의 하천 유출량, 하천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