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 노인 5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으로는 수면활동, 일상활동, 노동활동, 여가활동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상생활 유형, 여가과다 유형, 노동과다 유형, 작업균형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시간 사용 부족감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 유형별 분석 한 결과 여가과다 유형 33.62%, 일상활동 유형 31.71%, 노동과다 유형 21.78%, 작업균형 유형 12.89% 이었으며, 모든 작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 유형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작업균형 유형보다 일상생활 유형이 될 가능성은 60대와 70대보다 90대의 치매를 가진 남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으며, 여가과다 유형이 될 가능성은 치매와 뇌졸중을 가진 남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결론 :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 분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질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활동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xamine the effect of smart problem-based learning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to meta-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76 students who took basic nursing practice, which is a major subject, from August 29 to December 13, 2018.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meta-cognition in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used a scale consisting of self-regulat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confidence. The measurement of practical satisfaction is a 5-point Likert scale that employs a questionnaire. Flipped learning uploaded a 10-minute lecture video, and the subjects learned through PC or smartphone. PBL teaching was developed in two modules: gavage and indwelling urinary tract. Results: Resul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meta-cognition after education than before education (t=3.21, p=.043).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t=-2.19, p=.032). Conclusion: The smart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nursing majors. Nursing students with high meta-cognition will be able to perform well in their learning outcomes; therefore, this positive performance experience will enhance self-efficacy.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김광석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가로 구성요소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김광석길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김광석길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김광석길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면, 이용자의 과반수 이상이 거리풍경을 감상하기 위하여 김광석길을 방문하였고 주말 오후 이용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 구성요소 인식 분석결과, ‘고유한 특성’, ‘추억과 낭만’, ‘벽화 및 조형물’ 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분석된 반면, ‘주차공간’과 ‘음식 및 상품 비용’에 대한 인식은 낮게 평가되었다. 김광석길의 이용 만족도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스토리 적합성’, ‘경관 조화성’, ‘시설 적합성’, ‘소비 다양성’, ‘문화 예술성’ 인식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스토리 적합성’ 인식요인의 표준화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김광석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식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김광석길 활성화를 위한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특색있는 가로 계획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학년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과의 대화시간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가족과의 대화시간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았으며, 2025년 5월 울릉도 사동항구 공항완공예정으로 관광객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울릉도·독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자원가치평가 및 개발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지질공원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개의 만족도 지표 중 교통편리, 편의시설, 도로상태가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울릉도·독도를 이용한 이용자들의 전체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숙박시설, 관광자원의 체험, 교통 편의성 등 유의한 지표를 중심으로 한 울릉도·독도 개발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숙박시설에는 현포1리 해안주변과 태하1리 산악주변으로 선정하였으며, 관광 및 체험에서는 현포리와 태하리의 해양체험지구, 천포리와 울릉읍을 잇고 있는 등산로는 산악레포츠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가지질공원 명소벨트, 지질트레킹벨트, 울릉옛길, 해안경관벨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로는 죽암몽돌해안 주변의 도로확장과 도로정비, 구암터널, 남양~남통터널, 통구미터널확장, 통구미터널 주변 마을의 도로확장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기존의 공급자 위주 개발계획이 아닌 방문객들의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바탕으로 개발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향후 이용자뿐만이 아니라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구체적인 개발계획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a follow up to the previous study which reveals that smartphone users are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se groups are called as ‘general’, ‘entertainment’, and ‘work-assistant’, taking into account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general’ is a group whose smartphone usage characteristics are not focused on a specific purpose, the ‘entertainment’ is focused on music, internet, SNS, picture, and e-banking, and the ‘work-assistant’ is on work, GPS, diary. Inte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chase determinants to the groups is investigated. In addition, Kano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is also performed, which includes quality typ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ndex, and PCSI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inte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differs by user group. ‘Internet’, ‘Ease of use’, and ‘Performance’ purchase determinants are evaluated as competitive determinants in ‘work-assistant’ user group. Secondly Kano quality typ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lso differs by user group.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an attractive (A) types to ‘entertainment’ group and so on. ‘Internet’ ‘Failure/Bug’, ‘Touch response rate’ and ‘Charging’ are located in ‘Nice’ Region of S-PCSI Diagram and have to be considered as strategic qu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ome helps in establishing a customer tailored quality strategy.
본 연구는 공공구매시장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에 대한 경쟁요인(낙찰가 격, 조달적합품질, 납품사후서비스, 납기)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제도요인으로 정책부합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경쟁요인은 만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요인과 만족 간 관계에서 정책부합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구매자 혁신성에 따라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게 공공구매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민간시장 중심의 고객만족 연구를 공공구매시장까지 확장했다는데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스트레스가 높다고 대답한 우리나라 서울지역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경험적으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3.0 및 AMOS 21.0을 사용하였다. SPSS 23.0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 설문지 척도 간의 다중 공선성을 검증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 설문지 질문의 신뢰성을 판 단하기 위한 신뢰도 검증이 실시되었다. AMOS 21.0에서는 요인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고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χ2 검정과 적합도 지수를 기본으로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가지며 수영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입시 제도의 사각이라 할 수 있는 체육 교과 문제 해결 방안의 마련에 중요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노인의 공원이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위해 서울 강동구 고덕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은 전체 항목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으로 작용하는 항목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3개로 구성되었고, 총 분산의 69.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간의 표본적합도를 의미하는 KMO값은 .756으로 분석되었다. 요인은 항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용적측면, 생태적측면, 쾌적성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도출 된 요인을 통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공원 이용만족도에 대한 다중회귀식은 Y = 3.678 + 0.202X1 + 0.125X2 + 0.236X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전문지식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평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연령별 생태적, 이용적, 기후적 측면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were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the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show that, becaus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ence,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요구조건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자료는 2017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4,577명의 패널 대상자 자료 중 1,624명의 장애인 근로자의 자료를 본 연구에 필요한 문항만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직무요구조건과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직무요구조건 하위 요소 중에서 컴퓨터 활용 능력과 업무 적성 및 전공일치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직무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상용근로자일 때와 사무종사자 일 때 유의하게 높았고, 건설업에 종사하거나, 단순노무직일 때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요구조건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업재활 업무 수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job aspiration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at and job satisfaction for wage-earners using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We use the stochastic frontier model for measuring the job aspiration and testing its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Fstochastic frontier model is introduced to explain that each company potentially produces less than it might due to a degree of job aspiration, measured by decomposing the residuals. In this model framework, it can be regard that the upper bound of the job satisfaction is the ideal frontier, and the bias between the ideal condition and the reality is the job aspiration. If this concept is applicable to the job aspiration, we can measure this bias and investigate a relationship with the job satisfaction. We find that there exists the job aspiration, and it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upports that if job aspiration increases, job satisfaction level decreases.
최근 패션 e 커머스 시장이 팽창됨에 따라, 온라인쇼핑몰시장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많은 유통업자들은 온라인 쇼핑몰에 뛰어들어 물류서비스 품질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온라인 쇼핑몰에 대하여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율에 영향을 주는 물류서비스 품질이 무엇인지, 또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였다. 200명의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를 대상을 표집하였으며 SPSS25 패키지를 이용, 분산분석, 요인분석, t-test, 상관분석 등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품이유에 따라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품질에 차이를 보이거나 다른 제품이 배달되어도 남성은 여성보다 반품을 덜 하고 있었다. 또 패션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반품물류서 비스는 일반적인 물류서비스 요소와 동일하게 정보성, 신뢰성, 신속성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 와 고객만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재구매 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 렉 쇼핑몰이 반품이유, 재구매 의도와 만족도가 높은 반면에 전문쇼핑몰이나 일반 쇼핑몰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품물류 유통은 물류서비스의 품질과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This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ustomers using Michelin restaura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9 respondents who had visited and used restaurants by classifying the Michelin restaurants into starred restaurants and Bib Gourmand restaurants. The data was collect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verification,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hoice of starred restaurants. Overall,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cleanliness was recognized by many customers that the expectation for the overall Starred restaurants was very high. Bib Gourmand, showed that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In term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taste of food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satisfaction is high. Comparing the IPA analysis of the attributes of 1) hygiene and cleanliness, food quality, convenience, and facade of food, 2) service professionalism and variety of menus, 3) food price, atmosphere and amount, and 4) the attitude and kindness of the employees were shown.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domestic Michelin restaurants.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경제 조직 근로자들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서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정보화마을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사용하여 사회적경제 조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근무기간, 현 직장 근무의향 등과 함께 근로조건, 직무, 주위사람과의 관계와 같은 세부적인 만족도가 근로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문제점들을 근로자의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경제 조직의 내실화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근로조건 향상, 사업 지원기간 연장,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조직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정책방안으로 제시하였다.